표 4 콘텐츠 향유 및 이용자 복지 정책의 영역별 세부과제(안)

정책 영역 세부 정책 세부과제 개요
이용능력 향상 콘텐츠 향유 교육 확대 - 일반인, 초등/중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행- 노년층, 장애인 등 소외계층 대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행- 콘텐츠 전문 강사(지도사) 양성- 정규교육 과정에 콘텐츠 이용 프로그램 반영
콘텐츠 리터러시 강화 - 실버 콘텐츠 센터, 커뮤니티 콘텐츠 센터 설치 운영- 콘텐츠 문화교육원, 콘텐츠 교육방송 설립
콘텐츠 제작교육 지원 - 청소년 기획 창작 프로그램 운영, 청소년 콘텐츠 축제 개최- 일반인 대상 음악, 출판, 게임 등 콘텐츠 제작 교육
이용만족도 제고 콘텐츠 평가 및 등급 시스템 도입 - 평가시스템을 통한 이용 가이드라인 제공- 콘텐츠 등급 시스템을 통한 질적 관리 체계화- 이용자 전문 패널단 운영 지원
콘텐츠 품질 제고와 향유 문화 활성화 - 일반인/청소년 창작콘텐츠 공모전 개최- 콘텐츠 팬덤 문화 활성화 지원
콘텐츠 이용 관련수요 조사 및빅데이터 구축 - 이용활성화를 위한 검색 기능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르별·기능별·지역별 맞춤형 수요조사 실시 지원- 콘텐츠향유 실태 및 통계조사 실시 및 데이터 축적
이용환경 개선 콘텐츠 체험 및이용 공간 확대 - 콘텐츠 관련 사업 지역화 및 계충화- 장애인, 다문화 가정 등 소외계층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시행- 콘텐츠 기반 문화축제 활성화, 콘텐츠 박물관 건립
공공 콘텐츠 활성화 - 종합편성 채널 및 SNS 등을 활용한 공공콘텐츠 제공 확대- 사회문화예술 등 공공콘텐츠 연계 콘텐츠 문화사업 추진
이용자 보호 정책 강화 - 콘텐츠 이용자 보호 및 분쟁 해결, 저작권 관리체계, 인증제도 등 종합적인 정책 방안 마련
자료: 이기현·우형진(2011), 「콘텐츠의 문화적 향유 확대방안 연구」에서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