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지역축제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

연구자 분석대상 분석방법 주요 분석결과
고숙희(1999) 1998년 단양온달문화축제 산업연관분석 참관객들과 주체측이 소비한 항목별 지출액을 이용하여 생산 및 부가가치 파급효과를 추정함.
고숙희(2000) 1999년 단양군 10개 지역문화축제 산업연관분석 및 회귀분석 생산 및 부가가치 파급효과는 존재하나, 지방재정으로의 단기적 세입증가 영향은 나타나지 않음.
박광국 외(2000) 1982년에서 1999년까지 대구 달구벌축제 관련 공무원 설문조사 및 인터뷰 집행변수 중 정책목표 구체화, 정책결정자 관심, 관료의 전문성 등은 시기별로 증가했으나 주민의 의사결정 참여는 저조함.
서휘석·이동기 (2000) 1999년 익산시 보석문화축제 참여 관광객 설문조사분석 지역축제의 물리적 환경(접근성·매력성·청결성·편의성)이 참여자의 만족과 재방문 및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침.
이환범·송건섭 (2002) 2001년 세계유교문화축제 참여 관광객 설문조사분석 지역축제의 서비스 질(service quality: SERVQUAL)과 지역축제만족도, 지역이미지만족도, 지역관광만족도, 재방문의도의 관계를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함.
송건섭(2003) 2002년 문화관광부 지정 대구경북지역 5개 축제 참여 관광객 설문조사분석 5개 지역축제 서비스 질은 지역축제와 지역이미지 및 관광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축제성과 제고에 중요한 요인임.
김상호(2004) 2004년 함평나비축제 산업연관분석 전남 지역의 제조업·서비스업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남.
김성현(2005) 2001~2002년 10만 미만 인구 지자체가 개최한 1억 원 이상 예산규모의 18개 지역축제 로지스틱 회귀분석 축제예산, 산업승수효과 이용, 경제기반산업 이용 및 관광객 수가 지역경제활성화 변수인 산업체 종사자수 변화에 영향을 미침.
윤견수(2006) 전라남도 함평군 나비축제 스토리텔링 (story telling) 함평군이 나비축제를 통해 전국적인 명성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기초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역할을 담당했으나, 점차 축제 성공기준으로 중요해진 지역의 정체성과 주민의 생업의 가치가 반영되지 못함.
윤주철·문광민 (2011) 2006년부터 2009년까지 230개 시군구의 지역축제 공간패널회귀분석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축제를 개최하는 지방정부 간에는 상호모방 관계가 존재하며, 인접 지방정부 및 자매결연을 맺은 지방정부 간에는 경쟁회피 관계가 존재함.
황소하·엄태호 (2012) 2008년 230개 기초 지자체의 행사·축제 공간회귀모형 이웃 지방정부의 행사·축제경비 지출이 해당 지자체의 지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경쟁에 의한 지방정부 간 공간적 상호작용이 지자체 행사·축제경비 지출결정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함.
김권식·이광훈 (2017) 2014년 강원도 지자체 47개 축제 비율분석 및 자료포락분석 지역 행사·축제의 효과성, 단순효율성, 다중효율성의 구분, 그리고 보조금 포함 여부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간접효과 포함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양한 성과측정 지표들의 타당성 및 적설성을 검토함.
자료: 김권식·이광훈(2017:141-142) 수정·보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