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시·도립 교향악단 노사 갈등에서 나타난 정치적 관리

전략 단원 노조 활동 찬성 단원 노조 활동 반대
기업가적 옹호 이해관계자 분석 노조에 가입한 단원 행정부(시 · 도립 교향악단이 소속된 시,도청)
의사결정 경로선택 기자회견 선점, 거리 시위 등을 통해 노조의 지지층을 넓히도록 노력 노조활동에 대한 입장 전달 수준에서 의견 표명이 그치기 때문에 지지층 확보가 쉽지 않음. 특별한 의사결정 경로 선택이나 프레이밍 설정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음
이슈 프레이밍 행정부로부터의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는 언론 프레이밍에 성공
긴 호흡의 설득 (반복적, 지속적인 보도) 공개적으로 입장을 자세히 알리고, 지속적으로 설득하려는 의지 부족
정책개발관리 시민단체나 전문가 집단을 통한 토론회, 공청회를 통한 문제 제기는 존재했으나,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정책분석 및 개발에는 한계가 있음 노사위원회 설치를 통한 노조와의 소통 기구 마련과 동시에, 노조의 강경한 주장을 약화시키기 위해 공무원 수준의 근무 제도 도입을 시사함
협상 이슈, 관계자 확장 민주노총 산하 산별노조에 가입, 사측과의 협상에 민주노총 관계자와 함께 동행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음. 다만 노조를 와해시키기 위해 단원들을 회유하여 행정부의 편에 서게 함
협상 결렬시 대안 파업, 연주 거부 노조 참가 단원 해촉 및 징계
접근방식 경성적
공적 숙의, 사회적 학습, 리더십 없음 소수의 공청회가 개최되긴 하나, 시민 참여로까지 확대된 장이 열리는지 확인할 수 없음
공공부문 마케팅, 전략적 의사소통 노사 대표간의 좁은 협상이 주된 방식이기 때문에 시민 대상의 폭넓은 정보 전달, 문제 인식 및 해결을 위한 쌍방 소통이 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