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18461의 집계 항목(6.2~6.8)과 집계 내용의 풀이

번호 집계 항목 집계 내용
6.2 박물관(Museums)
6.2.1 컬렉션의 종류 (Types of collection)

각각의 박물관은 주요한 컬렉션의 종류에 따라 6.2.1에 정의된 범주의 하나로 표시. 박물관이 주요한 컬렉션 종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일반 박물관(general museum)으로 집계

박물관의 주요 컬렉션 종류 예술 박물관(art museum), 역사박물관(history museum), 고고학 박물관(archaeology museums), 과학/기술 박물관(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민속학/인류학 박물관(ethnography and anthropology museum), 전문 박물관(specialized museum), 종합 박물관(general museum), 동물원/수족관(zoo/aquarium), 식물원/수목원(botanic garden/arboretum)

6.2.2 컬렉션의 지정학적 범위 (Geographical coverage of the collections)

6.2.1에서 언급된 박물관 컬렉션의 종류는 로컬, 지역, 국가적 초점(focus)을 가질 수 있음. 각각의 박물관은 주요 컬렉션의 지정학적 포괄 범위에 따라 아래 정의된 범주의 하나로 표시

박물관/컬렉션의 지정학적 포괄 범위

로컬(local), 지역(regional), 국가(national), 특정 지정학적 초점 없음(no specific geographical focus)

6.2.3 표현 유형 (적용가능한 경우)(Type of presentation (if applicable))

박물관이 오픈-에어 박물관(open-air museum) 혹은 생활사 박물관(living history museum)으로 주로 구성되는지 여부(yes/no)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부지가 오픈-에어 박물관 혹은 생활사 박물관으로 주로 구성되는지 여부(yes/no)

박물관이 주로 에코박물관(eco museum)으로 구성되는지 여부(yes/no)

박물관이 주로 가상 박물관(virtual museum)으로 구성되는지 여부(yes/no)

6.2.4 관리 권위 (Governing authority)

박물관의 관리 권위

주 관리 박물관(state-governed museum), b) 로컬/지역 관리 박물관(locally/regionally governed museum : province, county, city, town, etc.), c) 기타 공공 관리 박물관(other public-governed museum), d) 사설 관리 박물관(private-governed museum : 사설 법 하에 등록된 비영리 기관, 가문 혹은 개인), e) 공공/사설 파트너십 박물관(public/private partnership museum) 참조. 종교 기관 관리 박물관은 c), d), e) 중 집계

6.2.5 상설 컬렉션의 소유권 (Ownership of the permanent collection) ·주요 컬렉션의 소유권주(state) 또는 중앙 또는 연방 정부, 지역 또는 지자체 정부, 신탁(trust, 공기업) 또는 공공 재단, 기타 공공 기관, 비영리 사설 기관, 영리 기업, 개인 혹은 가문, 교회 혹은 종교 단체, 박물관 자체(법적 권리 보유), 기타(직접 기입식)
6.2.6 박물관 부지의 집계 (Counting sites of museums) ·각 박물관 부지의 수, 공공이 접근 가능한 박물관 부지의 수참조. 박물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부지만 포함한다.
6.3 박물관의 서비스와 그 이용(Museum services and their use)
6.3.1 일반사항(General) ·이 항목은 전통적, 그리고 전자적인 박물관 서비스 양 쪽의 이용을 다룬다. 인터넷에서의 SNS 서비스와 모바일 장비를 위한 형식화된(formatted) 서비스를 포함한다.
6.3.2 운영시간 (Opening times)

공공에 오픈하는 정규 시간 존재 여부(yes/no)

통상적 주간에 박물관이 공공에 오픈하는 시간의 수

한 해 중 긴 기간 동안(예시:여름과 겨울) 운영시간이 다른 경우가 있다면 가장 긴 운영시간으로 집계

보고기간(통상 한 해) 동안 박물관이 공공에 오픈되었던 날의 수

6.3.3 상설전시 입장료 (Entrance fees to permanent exhibitions)

상설전시에 대한 일반 입장료 징수 여부(yes/no)

해당 국가 통화 기준 보고 기간 종료 시점의 일반 입장료(성인 대상, 할인 또는 면제 없는 금액)

보고 기간 동안 어떤 사람/그룹에 대하여 입장료 할인 또는 면제가 있었는지를 표시(해당되는 경우만) 18세 미만의 사람, 조직된 방문객 그룹, 가족, 노인, 장애인, museum society(friends of the museum) 멤버, ICOM 멤버, 에듀케이터, 로컬 거주자, 기타 할인 또는 면제 대상(주관식 기입)

보고 기간 동안 박물관이 무료로 오픈된 날의 수를 집계

6.3.4 방문(Visits)
6.3.4.1 물리적 방문 (Physical visits)

보고기간 동안 박물관 부지에 대한 물리적 방문 수의 부지별 집계. 다음 중 하나의 방법으로 입구 또는 출구에서 집계될 수 있다.

장비 자동 집계, 수동 집계, 판매된 그리고/혹은 무료 배포 티켓 수

이러한 방법 중 어느 것, 특히 수동 집계를 하나 이상의 표본 기간 동안 시행 및 총합하여 연간 추정치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된 방법은 보고되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박물관 직원의 출입, 카페테리아/박물관샵만을 방문하는 경우, 또한 박물관 건물 내의 다른 기관 혹은 부서를 방문하는 모든 경우를 집계에서 제외한다.

특별전시, 이벤트, 프로그램에 대한 방문은 별도 집계(6.3.5 참조)

박물관내 도서관 혹은 박물관내 기록관리소에 대한 방문은 별도 집계

폐쇄된 수장고 및 연구소에 대한 방문은 별도 집계

물리적 방문의 총 수는 방문객 유형(예시:그룹 방문객 그리고 18세 미만의 사람 등)에 따라 추가로 구분 가능

무료로 박물관을 방문한 사람의 수

할인 가격으로 박물관을 방문한 사람 수

6.3.4.2 가상 방문 (Virtual visits)

보고 기간 동안 열람된 페이지, 또는 엘리먼트(element)와 관계없이 박물관 웹사이트에 대한 가상 방문을 집계

가상 방문의 계산은 특정 분석 소프트웨어를 수반한다. 사용된 방법에 따라 웹사이트 통계의 기록은 핵심 페이지(core pages)에 국한될 수도 있다.

가상 방문의 계산은 방문 웹 브라우저, 방문 IP 주소, 홈페이지에 대한 접근 수와 같은 특정한 기술에 기반할 수 있다. 박물관은 어떤 계산 방법이 사용되는지를 선정하고 특정해야 한다.

만약 가능하다면 페이지 뷰 수는 별도로 집계될 수도 있다.

6.3.5 오프라인 특별전시 (Temporary physical exhibitions)

보고 해 동안의 오프라인 특별전시의 수

박물관에 의해 기획 혹은 협동 기획된 오프라인 특별전시의 수

여러 장소에서 박물관에 의해 기획/협동 기획된 오프라인 특별전시 수(순회전시-travelling exhibitions)

별도 입구가 있는 오프라인 특별전시의 수

오프라인 특별전시에 대한 물리적 방문의 수

전시는 박물관 부지 내·외부에서 개최될 수 있다.

여러 장소에서 보여 지는 전시(순회전시)는 호스트 박물관에 의해 각 장소에서 집계되어야 한다.

순회전시를 기획하는 박물관은 자체 통계를 위해서 모든 장소를 집계할 수 있다.

세일즈 전시(sales exhibitions)는 제외한다.

6.3.6 온라인 전시 (Virtual exhibitions)

보고 기간 동안 선보인 가상 전시의 수

가상 전시에 대한 가상 방문의 수

6.3.7 이벤트(Events)

이벤트의 수(문화적, 교육적, 사회적, 정치적, 학술적 혹은 유사한 목적을 가지는 사전 기획된 단독 활동)

다음 대상을 위한 이벤트의 수 : 어린이, 젊은 성인, 에듀케이터, 노인, 소수 민족(ethnic minorities)

외부 파트너와 협력하여 기획된 이벤트의 수, 모든 이벤트에 대한 참석 수, 모든 이벤트에 대한 어린이 및 젊은 성인의 참석 수

참조. 이벤트 참석은 추정치로 산출될 수 있다.

6.3.8 가상 이벤트 (Virtual events)

가상 이벤트의 수

가상 이벤트에 대한 가상 방문의 수

6.3.9 가이드 투어 (Guided tours) ·가이드된 박물관 투어 수, 자원봉사자에 의해 가이드된 박물관 투어 수, 등록된 외부 인사(예시:선생님)에 의해 가이드된 박물관 투어 수, 학교 학급에 대한 가이드 투어 수, 모든 가이드 투어에 대한 참석 수
6.3.10 프로그램 (Programmes)

박물관 프로그램(박물관의 임무와 관련한 목적을 가지는, 사전 기획된 연속성과 반복성을 띠는 활동)의 총 수

각 대상별 프로그램의 수(어린이, 젊은 청년, 에듀케이터, 노인, 소수 민족)

외부 파트너와 협력하여 기획된 박물관 프로그램의 수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참석 수

어린이 및 젊은 청년 참석 수

프로그램이 여러 세션으로 기획되었다면 참석 수는 각 세션별로 집계

6.3.11 가상 프로그램 (Virtual programmes)

가상 프로그램의 수

가상 프로그램에 대한 참석 수

6.3.12 출판(Publications)

보고 기간 동안 박물관 혹은 박물관 직원에 의해 출판/편집된 문서(서적)수

문서(출판물)의 수 중 다음 내용은 별도 집계 : 도서(카탈로그 포함), 저널(연보 포함), 아티클(articles), 연간 보고서 및 유사 출판물

리플릿 및 브로슈어와 같은 마이너 출판물은 제외한다.

문서는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형태로 출판될 수 있으며 혹은 요구에 따라(on demand) 인쇄될 수 있다.

동료 평가(peer-reviewed) 출판물은 별도로 집계될 수 있다.

6.3.13 박물관 웹사이트 (Museum website)

자체 웹사이트 보유 여부(yes/no)

해당 웹사이트가 다른 웹사이트의 일부인지 여부(yes/no)

박물관이 웹사이트 전체 콘텐츠에 대한 권리 보유 여부(yes/no)

해당 국가 언어 외 박물관 웹사이트가 제공 가능한 언어 버전의 수

6.3.14 온라인 서비스 (Online services) ·다음 중 어느 서비스를 박물관이 제공 가능한가?(yes/no)온라인 예약(티켓, 가이드 투어), 온라인 샵, 온라인 이미지 라이브러리, 온라인 컬렉션, 가상 박물관 투어, 에듀케이터를 위한 온라인 서비스
6.3.15 온라인으로 이용가능한 컬렉션 정보(보고기간 종료시점 기준) (Collection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the end of the reporting period))

하나 이상의 디지털 이미지/사운드/영상 레코딩이 인터넷상에서 이용 가능한 박물관 컬렉션 내 모든 유물의 백분율

검색 가능한 레코드(예를 들어 유물 번호, 유물명, 소유자, 주제, 제작일을 보여주는)가 인터넷상에서 이용 가능한 박물관 컬렉션 내 모든 유물의 백분율

6.3.16 박물관이 제공하는 모바일 장비 서비스 (Services for mobile devices offered by the museum) ·보고 기간 종료 시점에서 박물관이 제공하는 모바일 사용을 위해 형식화된 서비스의 수를 집계. 기존 박물관 서비스로부터 변환된 서비스와 처음부터 모바일 사용을 위해 개발된 서비스 양쪽을 모두 집계예시 : 모바일 웹사이트, 모바일 장비 앱, 모바일 카탈로그/디지털 이미지 컬렉션/박물관 투어 등참조. 모바일 장비에 맞게 설계된 특별 컬렉션은 하나의 서비스로 집계한다.
6.3.17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s)

박물관이 하나 이상의 SNS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yes/no)

예시 : 페이스북, 트위터

6.3.18 소장품 대여(Loans)

보고기간 동안 전시 혹은 다른 목적을 위해 다른 기관에 대여한 박물관 컬렉션 내 유물의 수

보고기간 동안 전시 혹은 다른 목적을 위해 다른 기관으로부터 빌린 유물의 수

6.3.19 특별 서비스 (Special services) ·박물관 부지에서 다음의 특별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여부(yes/no). 반드시 박물관 자체적으로 제공될 필요는 없다.공공 혹은 최소한 연구자들에게 공개되는 박물관내 도서관 그리고/혹은 박물관내 기록관리소, 박물관 샵, on-site 음식 서비스(레스토랑, 카페, 카페테리아 등), 기타(주관식 기입)
6.4 컬렉션(Collections)
6.4.1 보고기간 종료시점 기준 총 컬렉션 (Total collection at the end of the reporting period)

박물관 소유의, 박물관에 등록된 유물의 총 수량. 유물 주제별 수량을 구분하여 표기(모든 유물은 오직 한 번만 집계)

자연과학 표본(natural science specimens : 살아있는 동물 및 식물을 포함), 문화적 인공물(cultural artefacts : 예술품은 제외하지만 건축물, 기술 유물(technology objects), 사회적 역사 유물은 포함), 인쇄 혹은 필사된 문서, 사진 유물 및 시청각 문서

컬렉션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집계는 부록 A(Annex A) 참고

각 카테고리별 아날로그 및 디지털 유물은 별도로 집계

6.4.2 등록(Accessions) ·보고 기간 동안 컬렉션에 추가된 유물의 총 수
6.4.3 탈등록 (Deaccessions/withdrawals) ·보고기간 동안 컬렉션에서 탈등록된 유물의 총 수
6.4.4 수집의 방법 (Mode of acquisition) ·다음의 방법으로 추가된 유물의 집계구입, 교환, 기증, fieldwork 혹은 발굴, 환수(repatriation)
6.4.5 컬렉션 중 전시중인 유물 백분율 (Percentage of objects in the collection on display) ·상설전시 혹은 특별전시 그리고 특정한 날에 공개 수장고에서 전시된 컬렉션 내 유물의 백분율을 계산 혹은 추정한다.
6.4.6 문서화된 컬렉션의 범위 (Documentary coverage of the collection) ·인벤토리에 의해서 커버되는 컬렉션의 백분율, 전자 인벤토리에 의해 커버되는 컬렉션의 백분율, 박물관 카탈로그에 의해 커버되는 컬렉션의 백분율, 전자 카탈로그에 의해 커버되는 박물관 컬렉션의 백분율
6.5 수입과 지출(Income and expenditure)
6.5.1 운영 (통상) 지출 (Operating (ordinary) expenditure)
6.5.1.1 직원(Employees)

급료와 임금, 공제, 직원 복지비, 기타 관계 지출에 소비된 금액의 총합

훈련 재료와 외부 전문가에 대한 비용을 포함한 직원 훈련 비용

참조. 박물관 직원이 훈련하는 데 혹은 훈련받는 데 소모하는 시간에 대한 비용은 제외

6.5.1.2 수집(acquisitions) ·보고 기간 동안 운영 예산 중 박물관 컬렉션에 획득된 모든 유물에 대한 비용
6.5.1.3 컬렉션 유지 (Collection maintenance)

외부 계약자에 의해 수행된 보존 처리 및 보존활동 비용

외부 계약자에 의해 수행된 재생산(마이크로 필름화, 복제, 사진촬영) 비용

이러한 활동이 박물관에 의해 수행된 경우 직원 근무 시간에 대한 비용은 집계되지 않으나 각 활동에 대한 재료 비용은 별도로 집계될 수도 있다.

6.5.1.4 부지(Premises) ·대여, 유지, 서비스(난방, 전등, 물, 하수, 화재예방, 보안)에 대한 비용
6.5.1.5 정보 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자본 지출로 고려되지 않는, 컴퓨터, 네트워크(운영 및 유지),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전기통신에 대한 비용
6.5.1.6 이벤트 및 프로그램

이벤트 및 프로그램을 위한 모든 비용

박물관 직원 시간에 대한 비용은 집계하지 않는다.

6.5.1.7 전시(Exhibitions)

물리적 및 가상 전시에 대한 모든 비용

박물관 직원 시간에 대한 비용은 집계하지 않는다.

6.5.1.8 기타 비용(Miscellaneous) ·복사, 우편, 서비스 홍보, 문구류, 보험, 수송, 통신, 컨설팅, 장비 비용을 포함한 모든 기타 비용
6.5.2 자본 지출 (Capital expenditure)

새로운 컬렉션 혹은 유물에 대한 구입 비용

참조. 어떤 국가에서는 새로운 컬렉션 혹은 유물에 대한 구입이 자본 지출로 처리 되지 않는다.

상설전시에 대한 포괄적 재구성에 대한 비용

건축 부지, 신축 건물 및 증축 건물의 획득 또는 추가를 위한 지출(건축사 수수료 및 competition 지출 포함)

가구와 장비를 포함한 모든 다른 자본 지출

6.5.3 수입과 펀딩 (Income and funding)

아래의 각 경우에 자본 투자에 대한 펀딩을 포함한다.

박물관 자체 기관 혹은 모권(parent authority)으로부터의 펀딩

공공 출처로부터의 펀드

기업 혹은 사립 출처로부터의 펀드(기증은 제외)

기증

자본 수입(예를 들어 재단으로부터의 수입)

원천 소득(income generated), 예를 들어 입장료, 세일즈, 방 대여 등에 의한 원천 소득

6.6 공간(Space)
6.6.1 연면적(Gross floor area)

연면적은 스퀘어 미터(square metres)로 표시

중심 박물관 및 추가적인 부지에 대하여 별도의 수치가 제시될 수 있다.

오픈-에어 박물관(Open-air museum)은 건물 주변의 부지가 박물관의 필수적 부분이기 때문에 전체 부지에 대한 별도의 수치를 제시해야 한다.

6.6.2 박물관 기능을 위한 순사용면적 (Net usable area for museum functions)

순사용 면적은 스퀘어 미터(square metres)로 표시

주요 박물관 및 추가적인 부지에 대하여 별도의 수치가 제시될 수 있다.

오픈-에어 박물관(Open-air museum)은 건물 주변의 부지가 박물관의 필수적 부분이기 때문에 전체 부지에 대한 별도의 수치를 제시해야 한다.

6.6.3 기능에 따른 순사용 면적 (Net usable area by function)

6.6.2*에서 계산된 순면적은 다음 주요 기능에 할당될 수 있다.

(*원문에 6.6.1로 표기되어 있으나 6.6.2로 수정)

박물관 유물의 디스플레이 : 상설전시를 위한 공간

박물관 유물의 디스플레이 : 특별전시를 위한 공간

유물 수장 : 열린 혹은 닫힌 공간이든 상관없이 주로 유물을 수장하는 데 할당되는 모든 공간을 포함한다.

박물관 관리와 기술적 서비스 : 직원 사무실, 복사 기술(reprography) 및 디지털화, 컴퓨팅 및 관리, 프로젝트, 창고, 직원 미팅 공간, 직원 라운지 및 직원 병실을 포함한다.

이벤트와 방문객 서비스 : 강의 및 시네마홀, 이벤트 및 프로그램을 위한 공간, 레크리에이션 및 소통을 위한 공간, 병실, 현관 홀, 박물관내 도서관 및 박물관내 기록관리소

보존 처리 및 복원, 연구실

상설전시 그리고/혹은 특별전시로 사용되는 외부 공간은 별도로 집계

6.6.4 장애물 없는 접근 (Barrier-free access) ·박물관 그리고/혹은 박물관의 다른 단계로의 주 접근 구역이 장애물 없는 접근(Barrier-free access, wheelchair-usable)인지 여부(yes/no)
6.7 관리(Management)
6.7.1 보존처리/보존활동 (Preservation/conservation)

보고기간 동안 보존처리/보존활동 조치를 받은 박물관 컬렉션 내 유물의 수

해당 박물관에서 보존처리/보존활동 조치를 받은 다른 기관 유물의 수

이 국제표준의 관점에서 보존처리/보존활동 조치는 오직 유물을 원래 형태로 보존하는 방법에 국한한다.

원본을 복제본, 마이크로필름 혹은 다른 수단으로 대체하는 경우는 제외

박물관 자체에 의해 그리고 외부 계약자에 의해 수행된 보존처리/보존활동은 별도로 집계될 수 있다.

6.7.2 디지털화(Digitization)

최근 디지털화된 박물관의 아날로그 컬렉션 내 모든 유물의 백분율(보고기간 종료 시점)

보고기간 동안 디지털화된 아날로그 컬렉션 내 모든 유물의 수

총 수량은 각기 다른 종류의 유물 또는 주제로 나눌 수 있다.

2차원 혹은 3차원 유물은 그 메타데이터 및 최소 하나의 이미지가 디지털 형태로 이용가능하다면 디지털화된 것으로 집계

서명(autograph), 도서 혹은 시청각 문서와 같은 문서 종류는 그 메타데이터 및 그것의 콘텐츠가 디지털 형태로 이용가능하다면 디지털화된 것으로 집계

공개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이용가능한 모든 박물관 유물의 디지털 이미지의 백분율

6.8 박물관 직원(보고기간 종료시점 기준) (Museum staff(at the end of the reporting period))
6.8.1 유급 직원(Paid staff) ·총 유급 직원(사람 기준) 수, 유급 직원 중 파트 타임 고용인, 유급 직원 중 임기제 계약 직원, 총 유급 직원(FTE 기준)
6.8.2 자원봉사자(Volunteers) ·자발적인 무보수 어시스턴트를 사람 기준으로 그리고 FTE 기준으로 집계
6.8.3 인턴 및 실습생 (Internships and trainees)

교육 수준 및 기술 수준을 확장하기 위해 박물관에서 보고 해 동안 특정한 시간을 소모하는 사람(학생, 실습생, 방문 학자)의 수를 집계

박물관에서 이와 같은 사람들이 머무는 기간은 최소 한 달은 되어야 한다.

6.8.4 직원 훈련 (Staff training)

직원이 공식적 직원 훈련에 참석한 시간(hour)의 수(보고기간 동안)

공식적 훈련을 받은 직원의 수(보고 기간 동안)

공식적 훈련은 내부 혹은 외부적으로, 그리고 박물관 직원 혹은 외부 전문가에 의해 행해지는 사전 기획된 수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현장실무교육(point-of-use training)과 같은 비공식 훈련은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