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은 필자 의견임. 순서 일부를 조정하고 원번호를 표기함.
구분 | 원번호 | 용어(원어) | 정의 풀이 | |
---|---|---|---|---|
2.1 일반사항(General) | ||||
일반 사항 | 2.1.1 | 기록관리 레코드 (archival records) | 직무 수행 중에 기관 혹은 사람에 의해서 축적된, 그리고 그것의 항구적 가치로 인해 보존되는, 동일한 유래의 레코드(2.8.11) | |
2.1.2 | 기록관리소(archives) | 하나 이상의 기록관리 문서 세트에 대한 수집(2.5.2), 보존활동(2.8.9), 이용가능성에 대해 책임이 있는, 기관 혹은 한 기관의 부분 | ||
2.1.3 | 문화 유산 (cultural heritage) | 과거 세대로부터 계승되고, 현재 유지되고 보호되며, 미래 세대를 위해 보존되는 집단이나 사회의 물리적 유물과 무형적 속성들의 유산 | ||
2.1.4 | 도서관(library) | 사용자의 정보적, 연구적, 교육적, 문화적 또는 오락적 요구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 정보 자원, 서비스 및 시설의 사용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 또는 조직의 일부 | ||
2.1.5 | 박물관(museums) | 교육과 연구 및 향유를 목적으로 유형 및 무형의 인류 문화 자산(heritage)과 그것의 주변 환경(environment)을 수집, 보존, 연구, 홍보, 전시하는, 사회와 그 발전을 위하며 대중에게 열려 있는, 비영리적(non-profit)이고 영구적(permanent) 기관 박물관과 유사한 컬렉션(2.5.9)을 유지한다면 박물관적 기관(museum nature)의 자연사, 고고학, 민족지적 기념물 및 장소, 역사적 기념물 및 장소도 포함할 수 있다. 동물원(2.2.17), 수족관(2.2.1), 수목원(2.2.2), 식물원(2.2.5)도 포함되지만 별도로 보고해야 한다. 오직 교육 및 연구를 목적으로 상급 교육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기관의 컬렉션은 제외한다. 이 박물관의 정의를 따르고 있다면, 보존활동 기관(conservation institutes)과 도서관/기록관리소에 속해 있는 전시 갤러리(exhibition galleries)도 포함한다. 이 정의에 포함되기 위해서 ‘박물관(museum)'으로 호칭될 필요는 없지만 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한다. | ||
2.1.6 | 박물관 부지(museum site) | 박물관(2.1.5)의 위치 | ||
2.2 박물관의 종류(Types of museum) | ||||
동식물 관련 박물관 | 2.2.1 | 수족관(aquarium) | 대중에의 전시 및 연구, 보존 활동을 위해 살아있는 수중 생물/식물 컬렉션(2.5.9)을 보유한 기관 | |
2.2.2 | 수목원(arboretum) | 나무를 전문으로 하는 식물원(2.2.5) | ||
2.2.5 | 식물원(botanic garden) | 과학적 연구와 대중에의 전시를 위해 식물들이 생장하는 기관 | ||
2.2.9 | 식물표본실(herbarium) | 대중에의 전시 및 연구, 보존 활동을 위해 건조된 식물 컬렉션(2.5.9)을 보유한 기관 | ||
2.2.17 | 동물원(zoo) | 대중에의 전시 및 연구, 보존 활동을 위해 일반적으로 공원 또는 정원 안에 살아있는 동물 컬렉션(2.5.9)을 보유한 기관 | ||
특정한 주제의 컬렉션을 가진 박물관 | 2.2.3 | 고고학 박물관 (archaeology museum) | 컬렉션(2.5.9)에서 발굴품(excavations)이 전체 혹은 일부를 차지하는 박물관(2.1.5) | |
2.2.4 | 예술 박물관(art museum) | 시각 미술과 관련한 박물관(2.1.5) | ||
2.2.7 | 민속학/인류학 박물관 (ethnography and anthropology museum) | 문화, 사회 구조, 종교, 관습, 전통 예술 등과 같은 주제와 관련한 박물관(2.1.5) | ||
2.2.12 | 자연사 박물관 (natural history museum) | 생물학, 지질학, 식물학, 동물학, 고생물학, 생태학 등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학문 주제와 관련한 박물관(2.1.5) | ||
2.2.14 | 과학/기술 박물관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 천문학, 수학, 물리학, 화학, 의학, 컴퓨터 조작(computing), 공학 및 응용과학과 같은 명확한 과학 혹은 기술과 관련한 박물관(2.1.5) | ||
2.2.15 | 전문 박물관(specialized museum) | 단일 주제에 대한 모든 측면과 관련한 박물관(2.1.5) 단일 주제의 예시로 ‘고양이’, ‘조나단 스위프트(Jonathan Swift)’ 등을 들 수 있다. UNESCO 분류에서 참조 | ||
종합적 성격의 박물관 | 2.2.8 | 종합 박물관 (general museum) | 복합적 컬렉션(2.5.9)을 가지며 뚜렷한 분야에 의해 구분할 수 없는 박물관(2.1.5) | |
2.2.10 | 역사 박물관 (history museum) | 제한된 기간 또는 여러 세기 동안의, 특정된 지리적 구역 또는 인류 집단의 역사와 관련한 박물관(2.1.5) | ||
전시 형태에 따른 박물관 | 2.2.11 | 생활사 박물관 (living history museum) | 과거의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 역사적 세팅을 모방한 박물관(2.1.5) | |
2.2.13 | 오픈-에어 박물관(open-air museum) | 주로 고고학 유적, 과거의 산업 또는 광산 문화 유적, 과거의 재현 풍경 내에서 건축물과 유물을 야외 전시하는 박물관(2.1.5)으로 건물 주변 부지를 포함한다. | ||
2.2.16 | 가상 박물관 (virtual museum) | 물리적 건물 혹은 물리적 컬렉션(2.5.9)이 없는 온라인 단독 박물관(2.1.5) | ||
기타 | 2.2.6 | 에코뮤지엄(ecomuseum) | 로컬 커뮤니티에 의해 운영되며 어떤 지역의 문화적, 자연적 유산의 중요한 요소를 전시하고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박물관(2.1.5) | |
2.3 박물관 관리 권위(Governing authority of museums) | ||||
박물관 관리 권위 | 2.3.1 | 관리 권위 (governing authority) | 박물관(2.1.5)과 박물관 정책을 승인하는 것에 대한 법적 그리고 수탁적 책임을 지닌 주체 | |
2.3.6 | 주 관리 박물관 (state-governed museum) | 로컬 혹은 지역 등급 이상의 정부 권위에 의해 관리되는 박물관(2.1.5) | ||
2.3.2 | 로컬/지역 관리 박물관 (locally/regionally governed museum) | 로컬 혹은 지역 권위(province, county, city, town 등)에 의하 관리되는 박물관(2.1.5) | ||
2.3.3 | 기타 공공 관리 박물관 (other public-governed museums) | 기타 공공적 권위에 의해서 관리되는 박물관(2.1.5) | ||
2.3.4 | 사설 관리 박물관 (private-governed museum) | (사법(private law)하에 등록된 비영리단체와 같은) 사설 독립체(entity) 집안, 개인에 의해 관리되는 박물관(2.1.5) | ||
2.3.5 | 공공/사설 협력 박물관 (public/private partnership museum) | 공적 및 사적 기관의 파트너십 형태로 공동으로 관리되는 박물관(2.1.5) | ||
2.4 박물관 서비스와 이용(Museum services and use) | ||||
온라인/모바일 서비스 | 2.4.23 | 가상 방문(virtual visit) | 보여진 페이지나 엘리먼트(element)의 수와 관계없이 박물관 웹페이지(2.4.9)에서의 하나의 연속적 이용객 활동 사이클 가상 방문은 대개 외부 페이지를 방문한 후 이용자가 박물관 웹페이지에 접근 했을 때 시작하며, 정의된 시간(최대 30분) 동안 아무런 활동이 기록되지 않을 때 종료된다. 긴 간격 후의 또 다른 접근은 새로운 방문이 된다. 가상 방문은 최소한 고유한 쿠키(cookie) 그리고/혹은 이용자의 IP주소와 브라우저 스트링(browser string:user agent)의 고유한 조합에 의하여 식별되어야 한다. 웹 스파이더와 하베스터로 알려진 것은 제외하여야 한다. [SOURCE: ISO 2789:2013, 2.2.39 - modified] | |
2.4.9 | 박물관 웹사이트 (museum website) | 박물관의 서비스와 자원으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박물관(2.1.5)에 의해서 퍼플리싱 되는, 컬렉션(2.5.9)에 대한 웹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는 인터넷 기반의 고유 도메인(domain) 웹사이트 페이지들은 통상 하이퍼텍스트 링크의 사용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박물관 웹사이트로부터 링크되는, ‘디지털화된 컬렉션(digitised collection)'과 '무료 인터넷 자원(free Internet resources)’의 정의에 부합하는 문서들은 제외한다. [SOURCE: ISO 2789:2013, 2.2.18 - modified] | ||
2.4.11 | 온라인 카탈로그 (online catalogue) | 공공 접근을 위해 제공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박물관(2.1.5)의 유물을 기술하는 레코드와 이미지의 데이터베이스 | ||
2.4.12 | 온라인 이미지 라이브러리 (online image library) | 다운로딩(2.4.3) 그리고/혹은 이미지 구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이미지 컬렉션(2.5.9) | ||
2.4.3 | 다운로드(download) | 박물관 제공의 온라인 서비스 혹은 다른 인터넷 서비스로부터 콘텐츠 단위에 대한 성공적 요청(request) | ||
온라인/모바일 서비스 | 2.4.10 | 온라인 접근 (online access) | 박물관 제공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성공적 요청(request) 온라인 접근은 일반적으로 박물관 제공 온라인 서비스에 이용자가 접속할 때 시작하여 명백한(로그아웃 또는 나가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떠나는 방식을 통해), 혹은 암시적인(이용자의 비활동으로 인한 시간 경과) 활동의 종료에 의하여 종료된다. 박물관 웹사이트(2.4.9)로의 온라인 접근은 가상 방문(2.4.23)으로 집계된다. 만약 가능하다면 로봇/웹 크롤러에 의한 요청(request)은 제외되어야 한다. [SOURCE: ISO 2789:2013, 2.2.1 - modified] | |
2.4.4 | 전자 쌍방향 서비스 (electronic interactive service) | 이용자 간 혹은 이용자와 박물관 간의 양방향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가 포함된 박물관 서비스 | ||
2.4.8 | 모바일 기기 (mobile device) | 휴대용의 컴퓨팅 장비로, 대개 터치가 가능한 스크린, 펜 그리고/혹은 키보드 인풋, 인터넷 연결 기능을 가지고 있다. | ||
2.4.16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 다른 개인과의 소통, 협업 그리고/혹은 콘텐츠 공유를 목적으로, 이용자들이 개인적 혹은 기관에 대한 프로필을 구축하고 다른 개인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디자인된 전자 서비스 | ||
전시 및 관련 서비스 | 2.4.6 | 전시(exhibition) | 명확한 콘셉트(concept)와 메세지 소통을 바탕으로 한, 문화유산(2.1.3)에 속하는 박물관(2.1.5) 유물 혹은 다른 아이템에 대한 큐레이션된 디스플레이(curated display) 전시는 박물관 내외부에서 열릴 수 있다. 전시는 일시적(특별전) 혹은 영구적(상설전) 일 수 있다. 가상 전시(2.4.22)는 제외 한다. 박물관 경내에서 박물관의 참여 없이 박물관 외부의 기관에 의하여 구성되는 전시는 별도로 집계되어야 한다. [SOURCE: ISO 2789:2013, 2.2.10 - modified] | |
2.4.13 | 상설전시 (permanent exhibition, long-term exhibition) | 박물관이(2.1.5) 장기 보관 중인 유물을 긴 기간에 걸쳐 보여주는 전시(2.4.6) | ||
2.4.18 | 특별전시 (temporary exhibition, short-term exhibition) | 제한된 기간 동안 선보이는 전시(2.4.6) | ||
2.4.19 | 순회전시 (travelling exhibition) | 여러 장소에서 연속적으로 선보이는 전시(2.4.6) | ||
2.4.22 | 가상전시 (virtual exhibition) | 특히 인터넷 기반 이용을 목적으로 디자인된, 전자 형태의 전시(2.4.6) | ||
2.4.14 | 물리적 방문(physical visit) | 박물관(2.1.5) 경내의 하나 혹은 모든 부분에 입장하는 행위 | ||
2.4.1 | 오디오 가이드 (audio guide) | 박물관(2.1.5), 갤러리 혹은 다른 흥미 있는 장소를 투어하는 방문객들을 위한, 녹음된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손에 쥐고 쓸 수 있는 장비 | ||
소장품 서비스 | 2.4.2 | 기탁(deposit) | ※과거 용어(DEPRECATED): permanent loan | |
2.4.7 | 소장품 대여(loan) | 다른 수집 기관, 사설 수집가 혹은 에이전시에게 박물관(2.1.5) 컬렉션(2.5.9)의 유물을 빌려 주거나 그들에게 유물을 빌리는 것 | ||
전시 외 행사 | 2.4.5 | 이벤트(event) | 박물관(2.1.5)의 미션(mission)과 관련한 목적을 가지는 사전 기획된 단일 활동(activity) 활동(activity)은 통상 문화적, 교육적, 사회 정치적 혹은 학문적 성질의 것이 될 수 있고 강의 영상 상영, 극장 퍼포먼스, 원형 테이블 토론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벤트는 박물관 경내 혹은 밖에서 구성될 수 있다. 박물관 경내에서 박물관의 참여 없이 박물관 외부의 기관에 의하여 구성되는 이벤트는 별도로 집계되어야 한다. 가이드 투어, 프로그램, 전시(2.4.6), 가상 이벤트(2.4.21)는 제외한다. | |
2.4.15 | 프로그램(programme) | 박물관(2.1.5)의 임무와 관련한 목적을 가지는, 사전 기획된 연속성과 반복성을 띠는 활동 활동은 대개 문화적, 교육적, 사회 정치적 혹은 학문적 성질의 것이 될 수 있고, 워크숍, 여행 프로그램, 학교 수업 등의 형태를 취한다. 프로그램은 박물관 경내 내외부에서 기획될 수 있다. 박물관 경내에서 박물관의 참여 없이 박물관 외부의 기관에 의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램은 별도로 집계되어야 한다. 이벤트(2.4.5), 가이드 투어, 전시(2.4.6) 및 가상 이벤트(2.4.21)는 제외하며 별도로 집계한다. 가상 프로그램(virtual programmes)은 포함하지만 별도로 집계한다. | ||
2.4.21 | 가상 이벤트(virtual event) | 특히 인터넷 기반 이용을 목적으로 디자인된, 전자 형태의 이벤트(2.4.5) | ||
서비스 이용자 | 2.4.17 | 목표 집단 (target population) | 특정한 서비스의 대상 혹은 특정한 자료의 주요 이용자로서 박물관에 적합한, 현재 유효한 그리고 잠재적 이용자 | |
2.4.20 | 이용자(user) | 박물관(2.1.5) 서비스의 수혜자 수혜자는 사람 혹은 박물관을 포함한 기관이 될 수 있다.(2.1.5) 박물관 서비스란 전자 서비스, 물리적 서비스, 그리고 박물관 경내의 방문을 포함한다. [SOURCE: ISO 2789:2013, 2.2.36 - modified] | ||
2.4.24 | 방문객(visitor) | 박물관(2.1.5) 경내에 들어오는 사람(개인) | ||
2.5 컬렉션 및 컬렉션과 관계된 절차(Collections and processes relating to collections) | ||||
소장품 개념 | 2.5.24 | 유물(object) | 박물관(2.1.5) 컬렉션(2.5.9)을 구성하는 물품(item) 자연과학(natural science) 컬렉션에 대해서는 ‘표본(specimen)’ 용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문서를 포함한다. | |
2.5.9 | 컬렉션(collection) | 박물관(2.1.5) 소유의, 수집된 유물의 모음 | ||
2.5.13 | 디지털 컬렉션 (digital collection) | 원(原) 디지털이든 디지털화된 것이든 상관없이, 박물관(2.1.5) 컬렉션(2.5.9)내 디지털 형태의 모든 유물 | ||
2.5.14 | 디지털 유물 (digital object) | 디지털적으로 제작되었거나 박물관(2.1.5)에 의해 디지털화되었거나 디지털형태로 획득된 유물 | ||
2.5.7 | 원(原)-디지털 유물 (born digital object) | 본래 디지털 형태로 제작된 유물 | ||
2.5.15 | 디지털화된 유물 (digitized object) | 디지털적으로 재생산된 유물 2차원 혹은 3차원 유물은 그것의 메타데이터 및 최소한 한 개의 이미지가 디지털 형태로 이용가능하다면 디지털화된 것으로 집계한다. 서명(autographs), 도서(2.5.6), 시청각 문서(2.5.5)와 같은 문서의 경우, 그것의 메타데이터와 콘텐츠가 디지털 형태로 이용가능하다면 디지털화된 것으로 집계한다. 문서를 포함한다. | ||
2.5.32 | 복제품(replica) | 유물의 정밀한(exact) 혹은 원본에 충실한(faithful) 복제품 | ||
소장품 대분 | 2.5.4 | 인공물(artefact) | 도구나 예술품(2.5.3)과 같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역사, 문화적 가치가 있는 것 심미적 가치를 위해 만들어진 유물은 예술품(art object)으로 간주된다. 복제품(replicas)은 제외한다. | |
2.5.35 | 표본(specimen) | 강(綱, class), 종(種, species) 등의 예시로서 보존되고 수집되는, 유기물, 식물, 바위 등의 전체 혹은 부분 | ||
소 장 품 세 분 류 | 문 서 류 | 2.5.16 | 문서(document) | 문서화 과정에서 한 단위(a unit)로 취급될 수 있는 기록된(recorded) 정보 |
2.5.22 | 비인쇄문서 (manuscript) | 손으로 쓴 혹은 타자로 쓴(typescript) 문서(2.5.16) | ||
2.5.30 | 인쇄물 (printed document) | 문자, 그림, 드로잉(drawings)이 어떠한 기계적 인쇄(mechanical impression) 혹은 컴퓨터 인쇄 방법에 의해 그 안에서 재생산된 문서(2.5.16) | ||
2.5.8 | 지도제작관련 문서 (cartographic document) | 축소한 축적에서의, 공간과 시간적으로 국소화될 수 있는 구체적 혹은 추상적 현상에 대한 관습적인 묘사품 이는 2차원·3차원 지도, 지구본, 설계도(plans), 지형학적 모델(topographic models), 촉각으로 읽을 수 있는 지도(tactitle maps), 항공 묘사품(aerial representations)과 같은 문서(2.5.16)들은 포함하지만 아틀라스(atlases)나 도서(2.5.6)로 집계되는 코덱스 형태의 지도제작관련 문서는 제외한다. [SOURCE: ISO 5127:-, 4.4.7.58 - modified] | ||
2.5.21 | 그래픽 문서 (graphic document) | 그림 묘사가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이고, 평면 위에서의 그래픽 기술에 의해 제작된 문서(2.5.16) 이는 형태면에서 언어적(linguistic), 음악적, 지도제작적(cartographic)이기보다는 그림적(pictorial)이다. 이는 아트 프린트(art print), 오리지날 아트(original art), 미술 복제품(art reproductions), 사진(2.5.28), 포스터, 스터디 프린트(study prints), 테크니컬 드로잉(technical drawing) 등을 포함하지만 코덱스 형태, 시청각/전자 형태의 그래픽 문서는 제외한다. [SOURCE: ISO 2789:2013, 2.3.25 - modified] | ||
2.5.5 | 시청각 문서 (audiovisual document) | 소리 그리고/혹은 그림이 주가 되는, 또한 보기 위해서 그리고/혹은 듣기 위해서 특별한 장비의 사용이 필요한 문서(2.5.16) 이는 음반 레코드(2.5.27), 테이프, 카세트, 오디오 CD, DVD, 디지털 오디오 녹음 파일과 같은 오디오 문서를 포함한다. ※디지털 오디오 녹음 파일 : 시각적 문서(슬라이드, transparency 등), 복합 시청각 문서(영화(motion picture), 비디오 레코딩, 컴퓨터 게임 등) 마이크로폼(microform)은 제외한다. [SOURCE: ISO 5127:-, 4.3.3.07 - modified] | ||
2.5.23 | 마이크로폼 (microform) | 사용할 때 확대(magnification)가 요구되는 사진형태의 문서(2.5.16) 마이크로피시(microfiches), 마이크로필름(microfilms)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및 이와 유사한 문서는 시청각 문서(2.5.5)로 집계한다. [SOURCE: ISO 2789:2013, 2.3.30 - modified] | ||
예 술 품 | 2.5.3 | 예술품(art object) | 예술적 의도를 가지는, 혹은 예술적 가치가 고려된 유물 | |
2.5.18 | 드로잉(drawing) | 단단한 광물성 물질 또는 뾰족한 도구로 제작한 그림 | ||
2.5.26 | 회화(painting) | 안료(pigments) 또는 종이나 캔버스와 같은 표면에 형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든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이미지 | ||
2.5.33 | 조소(sculpture) | 조각(carving), 성토(mounding), 주물(casting) 등에 의해 제작된 3차원적 미술품(work of art) | ||
기 타 | 2.5.6 | 도서(book) | 코덱스 형태(codex form)의 비연속(non-serial) 인쇄 문서(2.5.16) | |
2.5.19 | 필름(film) | 스크린에 잇따라 빠르게 투사되거나 보여질 때 자연발생적이고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투명성 재질의 스트립(strip) 혹은 전자 데이터 매체에 기록된 일련의 그림 | ||
2.5.27 | 음반 레코드 (phonographic record) | 삭제 불능(non-erasable)의 소리가 기록된 디스크 형태의 사운드 매체(sound carrier) | ||
2.5.28 | 사진(photograph) | 전자기 복사(electromagnetic radiation) 작용을 통한 감광된(sensitized) 표면에 직접적이고 내구성이 있는 이미지를 고정하는 과정에 의해 얻어진 그림 | ||
소장품 단위 | 2.5.29 | 물리적 단위(physical unit) | 어떠한 보호 장비를 포함하며, 다른 문서 단위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물리적으로 결합성 있는(coherent) 문서(2.5.16) 단위 결합성은 예를 들어 바인딩(binding), 상자화(encasement)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운드된 인쇄 문서에 대해서는 용어 “권(volume)”이 물리적 단위로 사용될 수 있다. [SOURCE: ISO 2789:2013, 2.3.44 - modified] | |
2.5.34 | 세트(set) | 일반적 기준(common criterion)을 이유로 그룹으로 구성되는 여러 개의 물리적 유물 | ||
2.5.36 | 볼륨(volume) | 세트의 전체 혹은 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하나의 덮개(cover) 아래에 일정 수의 책장을 모은 문서(2.5.16)에 대한 물리적 단위 | ||
소장품 관리 절차 | 2.5.10 | 컬렉션 관리 (collection management) | 컬렉션(2.1.5) 유물의 수집, 문서화, 취급, 등록, 카탈로깅, 수장, 보안, 대여, 보존, 페기에 대하여 박물관이 수행하는 모든 관습과 절차 | |
2.5.11 | 컬렉션 정책 (collection policy) | 컬렉션 관리(2.5.10)에 대한 박물관(2.1.5)의 범위, 목표, 관습, 절차 | ||
2.5.1 | 소장품 등록 (accession, addition) | 박물관(2.1.5) 컬렉션(2.5.9)에 유물을 포함시키는 공식적 행위 | ||
2.5.12 | 소장품 탈등록 (deaccession, withdrawal) | 보고기간 동안 박물관(2.1.5) 컬렉션(2.5.9)에서 탈등록된 유물 탈등록은 예를 들어 폐기, 이관, 판매, 파일 삭제(전자 자원의 경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망실과 도난을 포함하지만 별도로 집계해야 한다. [SOURCE: ISO 2789:2013, 2.3.51 - modified] | ||
2.5.2 | 수집(acquisition) | 구입, 기증(2.5.17), 유증(bequest), 이관, 발굴을 통한, 박물관(2.1.5) 컬렉션(2.5.9)에 유물의 법적 소유권을 획득하는 절차 | ||
2.5.17 | 기증(donation, gift) | 소유권과 법적 권리의 변화를 수반하는, 박물관(2.1.5) 자원에서의 지불이 없는 유물 수집(2.5.2) | ||
소장품 관련 기타 | 2.5.31 | 유물 송환(repatriation) | 문화적 유물 혹은 예술품(2.5.3)이 원래의 국가 혹은 커뮤니티 혹은 원래의 소유주에게 되돌아가는 것 | |
2.5.20 | 무료 인터넷 자료 (free Internet resource) | 어떤 지불도 요구하지 않는, 무제한 (오픈) 접근이 가능한 인터넷 자원 | ||
2.5.25 | 오픈 엑세스 (open access) | 정보, 문서(2.5.16), 정보 서비스에 대한 무제한의 접근(unrestricted access) 이는 반드시 접근이 무료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정보, 문서, 정보 서비스는 현재 법률 조항의 결과로서 “비공개(non-open)"로 선언될 수 있다. [SOURCE: ISO 5127:-, 4.11.1.05] | ||
2.6 접근과 시설(Access and facilities) | ||||
접근과 시설 | 2.6.1 | 연면적 (gross floor area) | 건물의 모든 층의, 모든 바닥 면적의 합계 순사용면적(net usable area), 통로 공간(circulation space), 기능적 공간 및 건물의 건축적 요소(기둥, 내벽 등)에 따라 점유된 공간을 포함한다. [SOURCE: ISO 2789:2013, 2.4.2 - modified] | |
2.6.2 | 박물관 단지 (museum complex) | 2개 이상의 다른 박물관을 수용하는 박물관(2.1.5) 건물 | ||
접근과 시설 | 2.6.3 | 순사용면적 (net usable area) | 박물관(2.1.5) 건물의 주요 용도로 활용되는 연면적의 일부 상설전시(2.4.13), 특별전시(2.4.18), 수장고, 방문객 서비스(임대된 경우가 아니라면 레크리에이션/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공간, 상점, 레스토랑을 포함한다), 박물관 운영과 기술적 서비스, 보존 구역, 이벤트(2.4.5), 미팅, 청소 창고, 실험실, 박물관 아카이브(2.1.2), 박물관 도서관(2.1.4), 통로, 화장실을 위한 공간, 그리고 박물관 컬렉션(2.5.9)과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공간을 포괄한다. 현관(vestibules), 교통 구역, 엘리베이터, 계단 공간, 건물 통로, 유틸리티 관리를 위한 공간은 제외한다. 건물의 중앙 운영 장비를 수용하는 기능적 공간은 제외한다.(하수처리, 난방, 컨베이어 기술 등) 오픈-에어 박물관(2.2.13)은 건물 주변 부지에 대한 별도의 수치를 제공해야 한다. [SOURCE: ISO 2789:2013, 2.4.10 - modified] | |
2.6.4 | 운영시간 (opening hours) | 방문객(2.4.24)이 박물관(2.1.5)에 접근가능한 통상적 주(week) 내의 시간 | ||
2.6.5 | 수장 공간(storage area) | 전시중이거나 기술적 처리 중이 아닐 때, 유물이 통제된 컨디션을 유지하고 있는 박물관(2.1.5)의 구역 | ||
2.8 운영관리(Management) | ||||
소장품 목록화 | 2.8.11 | 레코드(record) | 사전 정의된 목적을 위해 선별되고 제시되는, 한 사람 혹은 한 유물 혹은 한 이벤트(2.4.5)에 대한 데이터 세트 | |
2.8.2 | 카탈로그(catalogue) | 박물관(2.1.5) 컬렉션 내 개별 유물에 대한 모든 알려진 관련 정보를 담고 있는 레코드(2.8.11)의 컬렉션(2.5.9) | ||
2.8.3 | 카탈로깅(cataloguing) | 카탈로그(2.8.2)를 준비하고 유지하는 절차 | ||
2.8.7 | 인벤토리(inventory) | 박물관(2.1.5) 컬렉션(2.5.9) 내에 있는 모든 유물의 명세화된 리스트 혹은 레코드(2.8.11) | ||
2.8.8 | 인벤토리 통제 (inventory control) | 박물관이 권리를 가지며 법적 책임이 있는 박물관(2.1.5)의 모든 유물의 물리적 존재를 구축하는 과정 | ||
2.8.1 | 소장품 등록부 (accession register) | 특정한 기간 동안 박물관(2.1.5) 컬렉션(2.5.9)에 공식적으로 추가된 유물에 대한 명세화된 리스트 혹은 레코드(2.8.11) | ||
보존 활동 | 2.8.9 | 보존활동(preservation) | 재정적, 전략적 결정을 포함하는, 문서(2.5.16) 혹은 컬렉션(2.5.9)의 온전성을 유지하고 수명을 늘리기 위해 취해지는 모든 조치 | |
2.8.4 | 보존처리(conservation) | 열화(deterioration)를 예방, 방지 또는 지연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개입 기법(intervention techniques) | ||
2.8.12 | 복원처리(restoration) | 열화 혹은 손상을 입은 유물을 최대한 그것의 원 상태에 가깝게 돌려놓기 위해 취해지는 모든 행위 | ||
2.8.5 | 디지털 보존활동 (digital preservation) |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존 활동(2.8.9) 전략의 적용을 포함하는, 오랜 기간 동안의 디지털 유물(2.5.14)에 대한 저장, 유지, 접근 [SOURCE: ISO/TS 21547:2010, 2.3.15] | ||
기타 운영 관리 | 2.8.6 | 디지털화(digitization) |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형태로 유물을 변환하는 과정 | |
2.8.10 | 프로젝트(project) | 시간, 비용 및 자원의 제약을 포함한 특정 요건을 준수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착수일과 종료일을 가진 조정되고 통제된 일련의 활동으로 구성된 고유한 과정 | ||
2.9 박물관 직원(Museum staff) | ||||
박물관 직원 | 2.9.1 | 박물관 고용인 (museum employee) | 임금 지불을 대가로 박물관(2.1.5)을 위해 일하는 사람 | |
2.9.2 | 직원 교육(staff training) | 내부 혹은 외부에서 개최될 수 있는, 그리고 박물관(2.1.5) 직원 혹은 외부 전문가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는 공식적인 사전 기획된 훈련 현장실무교육(point-of-use training)과 같은 비공식 훈련은 제외한다. 온라인 훈련을 포함한다. [SOURCE: ISO 2789:2013, 2.7.6 - modified] | ||
2.9.3 | 자원봉사자(volunteer) | 임금 없이 박물관(2.1.5)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 자원봉사자는 토큰 환급(token reimbursements)이나 교제비(expence allowances : 식비 등 봉급 외 지불되는 돈)를 받을 수 있다. [SOURCE: ISO 2789:2013, 2.7.7 - modifi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