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 대상 | 방법 | 주요 변수 | 주요 결과 |
---|---|---|---|---|
지역 주민 | 회귀 모형 | ․ 독립변수: 무형적 편익(문화유산 자부심, 공동체, 정책 인식) ․ 종속변수: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만족도, 문화유산 보존 참여 의지, 거주자 보상 필요성 | ․ 무형적 편익이 보존지역 만족도나 보존 참여 의지에 긍정적 영향 미침 | |
지역 주민 | 구조 모형 | ․ 독립변수: 문화유산 ․ 매개변수: 접근성, 문화향유, 참여, 공동체 ․ 종속변수: 창조성 | ․ 접근성→창조성 유의미(−) ․ 2개 가설 기각, 나머지 경로 유의미(+) | |
지역 주민 | 회귀 모형 | ․ 독립변수: 지역사회 애착(정체성, 착근성, 의존성) ․ 종속변수: 근대문화유산 인식(관광상품화, 유산보전) | ․ 관광상품화에는 모든 독립변수 유의미(+) ․ 유산보전에는 정체성, 의존성이 유의미(+) | |
관광객 | 구조 모형 | ․ 독립변수: 향수(노스텔지어) ․ 매개변수: 태도, 관여 ․ 종속변수: 장소애착 | ․ 독립→매개→종속변수간 유의미한 인과관계 도출(+) | |
관광객 | 구조 모형 | ․ 독립변수: 문화유산 인식(보존, 활용) ․ 매개변수: 장소애착심(정체성, 의존성) ․ 종속변수: 태도(인지, 행위) | ․ 장소정체성→행위적 태도를 제외하고, 독립→매개→종속변수간 유의미한 인과관계 도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