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 동구 | 도시재생 들여다보기 | 공동체 및 주민 | 도시재생 사업의 이해, 도시재생과 마을공동체 | 2회 | 도시재생 대학 |
커뮤니티 비즈니스 참여하기 | 공동체 | 사회적경제의 이해, 사회적기업 설립 및 인증제도 | 2회 | 도시재생 대학 |
뉴딜사업 알아가기 | 공동체 | 도시재생 뉴딜정책의 이해, 뉴딜 단위산업 유형과 사례 | 2회 | 도시재생 대학 |
충북 | 청주시 | · | 청주시 전역 주민, 청주시청, 구청, 주민센터, 유관기관 등 도시재생 관련 담당자 | 도시재생사업의 이해, 사업추진 기법, 도시재생을 위한 주민-전문가-행정의 노력(성공 사례) | · | · |
서울 | 종로구 | 활동가양성 | 시민 | 도시재생의 기본 이해, 주민 참여의 의미와 사례, 커뮤니케이션 역량강화, 도시재생 사업 배경의 이해, 주민공모사업의 이해, 연계사업 발굴, 지역자원조사의 이해, 도시재생기업(CRC)의 이해, 도시재생과 기획 | 3월 (1회+5개권역) | 초급, 중급 |
대상별 직무교육 | 공무원, 주민리더, 관련기관 | 도시재생 정책, 예산의 이해, 도시재생과 협치, 주민참여, 지역 도시재생 역량 | 3~4월, 10월 | · |
열린시민교육 | 도시재생 아카데미 | 시민 | 인문학으로 보는 도시재생 | 연4회 | · |
찾아가는 도시재생 | 시민 20인 이상 | 인문학으로 보는 도시재생 | 연4회 | · |
도시재생 이야기 | 초등학생~청소년 | 도시재생이야기관, 돈의문박물관 탐방, 도시재생 게임 등 | 9월~12월 | 센터, 학교연계 |
광주 | 동구 | 동구 도시재생 리노베이션 아카데미 | 주민 30명 내외 | 커뮤니티 비즈니스, 지역문제 및 지역자원, 소규모환경개선사업, 선진지 답사, 마을사업 실행계획 | 9월~10월 | 사회적 기업 및 창업 컨설팅 지원 |
전북 | 군산시 | · | 주민 | 도시재생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이론 교육 심화·실행과정: 이론+실습 병행 분야(주제)별 맞춤 교육 | · | 도시재생 대학 |
전남 | 목포시 | 마을학교 | 주민 | 마을기업, 게스트하우스의 이해, 사업계획서 작성, 운영자, 해설사, 마을학교 및 마을기업 육성과정 | 2개월 | 도시재생대학 |
경북 | 영주시 | · | 주민, 활동가, 청소년 | 프로그램 전략, 소규모사업 전략 세우기, 청소년도시재생대학, 우수사례지 방문 | · | 도시재생 대학 |
경남 | 창원시 | 한복입고 골목여행 | 주민 | 전통한복, 생활한복, 교복 및 교련복, 한복체험관 | 상시 | |
창동 Do드림 | 초ㆍ중ㆍ고등학생 최대 120명 | 창동 7080과 도시재생 이야기, 울려라~골든벨, 창동΄S 마블, 찰칵찰칵 Pick Me!, 걸어서 창동 속으로, 부림창작공예촌 예술작품만들기 | 특강, 퀴즈 각 1회, 프로그램 5회 | 특강, 퀴즈, 프로그램 |
도시재생투어 | 시민 | 도시재생 선도지역 현장답사를 통해 원도심 역사 문화 스토리 투어 | 4회 | 여행지도 제공 |
도시재생 서포터즈 | · | · | · | |
대구 | 남구 | 도시재생대학 교육 프로그램 | 시민 | 도시재생대학 교육 프로그램 주민커뮤니티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주민참여 동단위 마을계획 | · | |
강원 | 태백시 | 철암 역사∂문화장터 만들기 | 시민 | 지역상품 개발 프로그램-“스토리가 있는 다육이야기” | · | |
충남 | 천안시 | 제11기 남산마을 도시재생대학 | 시민 | 텃밭가꾸기, 병천 답사, 폐자재이용 업사이클 가구 만들기, 전주답사, 빈집은행, 천안청년들 특강 | 10회 | 도시재생대학 |
충남 | 공주시 | 원도심 도시재생 투어 | 시민 20인 이상 | 공주하숙마을, 근대문화유산 골목길, 공주 원도심의 젖줄 제민천, 원도심 문화예술 플랫폼 공주문화예술촌, ‘풀꽃’의 작가, 나태주 시인이 있는 풀꽃문학관, 대한민국 최초의 메이저리거 박찬호기념관 | 1회 | 답사코스 추천 |
공주시민대학 | 시민 | 거주 지역의 문제 진단 및 발전계획 수립, 선진사례 답사, 전문가 강연 | · | |
우리동네 자랑하기 | 시민 |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대학생 트럭다방, 바이크 다방 | · | |
전남 | 순천시 | 도시재생 새싹학교 | 시민 | 도시재생 초급 이론교육, 사업아이템 발굴 및 구상, 주민참여 마을공동체 활용 사례 답사 | 5회 | 수료식 |
순천시 그린리더 양성교육 | 시민 | 그린리더의 역할과 자원봉사의 의미, 탄소포인트제 작성요령,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에너지 저감주택, 녹색생활실천, EM활성액 제작 및 활용 | 6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