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청주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연도별 주민참여 변화(주요 사업)

시기 주민참여 형태 특징
명칭 활동내용
2016~2018년 (문화 특화 지역 조성 사업) 시민문화 네트워크 시민문화네트워크 포럼(시민들이 논의하여 발굴한 문화적 제안을 청주시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마스터플랜에 반영), 인문살롱(시민의견 수렴을 통한 정책과제 도출), 소설픽션(다양한 세대의 시민들과의 생각을 공유하고 청주시의 문화정책 수립에 필요한 의제 발굴) 시민에 의한 도시의 문화정책 의제를 발굴하여 정부 주도가 아닌 시민이 원하는 의 정책을 추진하고자 함
청년학당 대학생 대상 문화다이어리 기획/제작, 문화프로젝트 기획/실행중·고등학생 문화기획/실행 청년들의 문화사업 기획과 주관을 통해 문화적 역량 강화 및 지역 창의인재를 발굴하고자 함
문화 도시축제 문화도시 주간행사문화10만인 투게더 축제문화도시 페스티벌 기획부터 실행까지 시민의 아이디어를 통해 추진되는 문화 행사
2019년 (예비 문화 도시 조성 사업) 문화소통 원탁회의 포럼/살롱 도시 문화정책 의제 발굴
문화소통 시민모임 문화10만인 클럽에서 시민 모니터링단 운영 사업 및 행사에 방문하여 모니터링 수행
청년 기획자 양성 청년학당, 청년전문가 모임 청년 그룹 주도 문화도시 축제 기획
청년활동 공간조성 유휴자원 활용 공간조성 청년 단체의 주도로 공간 조성 사업 추진
2020~2021년 (법정 문화 도시 조성 사업) 시민위원 청주시 4개 권역에서 연령 및 성별을 고려하여 21명 선발, 문화도시 자율예산제 운영체계 논의와 마련, 안건 결정, 문화도시 조성사업 및 자율예산제 사업 모니터링 및 정책 제안 문화도시 멤버십 회원 중 시민대표를 중심으로 한 시민참여 의결기구로서 시민주도형 문화도시를 만들어가고자 직접 참여 체계 구축
문화도시 추진위원회 문화도시 추진 관련 각종 정책 계획 의결·심의 자문을 위한 기구로서 시민위원 1명을 포함하여 15명으로 구성 시민위원의 역할에 한정하지 않고 추진위원회에도 포함되어 정책 전반에 대한 심의와 자문 역할 부여
문화도시 시민회의 시민대표를 중심으로 한 시민참여 의결기구 구성으로 지역의 문제와 갈등을 스스로 해결 문화력 강화 및 공동체 활성화
문화도시 자율예산제 도시의 이슈·문제를 시민들의 창의적인 정책 제안·기획 사업으로 추진 시민 주인의식 제고 및 사회적 역할 수행
동네기록관 조성 및 운영 주민들 스스로가 지역의 역사, 현재, 미래를 나누며 마을의 기록문화를 만들어 가는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여 주민이 참여한 기록물 전시 주민이 만들어나가는 지역의 기록 아카이빙을 통해 주민 공동체 활성화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