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2018년 (문화 특화 지역 조성 사업) | 시민문화 네트워크 | 시민문화네트워크 포럼(시민들이 논의하여 발굴한 문화적 제안을 청주시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마스터플랜에 반영), 인문살롱(시민의견 수렴을 통한 정책과제 도출), 소설픽션(다양한 세대의 시민들과의 생각을 공유하고 청주시의 문화정책 수립에 필요한 의제 발굴) | 시민에 의한 도시의 문화정책 의제를 발굴하여 정부 주도가 아닌 시민이 원하는 의 정책을 추진하고자 함 |
청년학당 | 대학생 대상 문화다이어리 기획/제작, 문화프로젝트 기획/실행중·고등학생 문화기획/실행 | 청년들의 문화사업 기획과 주관을 통해 문화적 역량 강화 및 지역 창의인재를 발굴하고자 함 |
문화 도시축제 | 문화도시 주간행사문화10만인 투게더 축제문화도시 페스티벌 | 기획부터 실행까지 시민의 아이디어를 통해 추진되는 문화 행사 |
2019년 (예비 문화 도시 조성 사업) | 문화소통 원탁회의 | 포럼/살롱 | 도시 문화정책 의제 발굴 |
문화소통 시민모임 | 문화10만인 클럽에서 시민 모니터링단 운영 | 사업 및 행사에 방문하여 모니터링 수행 |
청년 기획자 양성 | 청년학당, 청년전문가 모임 | 청년 그룹 주도 문화도시 축제 기획 |
청년활동 공간조성 | 유휴자원 활용 공간조성 | 청년 단체의 주도로 공간 조성 사업 추진 |
2020~2021년 (법정 문화 도시 조성 사업) | 시민위원 | 청주시 4개 권역에서 연령 및 성별을 고려하여 21명 선발, 문화도시 자율예산제 운영체계 논의와 마련, 안건 결정, 문화도시 조성사업 및 자율예산제 사업 모니터링 및 정책 제안 | 문화도시 멤버십 회원 중 시민대표를 중심으로 한 시민참여 의결기구로서 시민주도형 문화도시를 만들어가고자 직접 참여 체계 구축 |
문화도시 추진위원회 | 문화도시 추진 관련 각종 정책 계획 의결·심의 자문을 위한 기구로서 시민위원 1명을 포함하여 15명으로 구성 | 시민위원의 역할에 한정하지 않고 추진위원회에도 포함되어 정책 전반에 대한 심의와 자문 역할 부여 |
문화도시 시민회의 | 시민대표를 중심으로 한 시민참여 의결기구 구성으로 지역의 문제와 갈등을 스스로 해결 | 문화력 강화 및 공동체 활성화 |
문화도시 자율예산제 | 도시의 이슈·문제를 시민들의 창의적인 정책 제안·기획 사업으로 추진 | 시민 주인의식 제고 및 사회적 역할 수행 |
동네기록관 조성 및 운영 | 주민들 스스로가 지역의 역사, 현재, 미래를 나누며 마을의 기록문화를 만들어 가는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여 주민이 참여한 기록물 전시 | 주민이 만들어나가는 지역의 기록 아카이빙을 통해 주민 공동체 활성화 도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