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운영 방향 및 정책 의견 |
---|---|
작은도서관의 역할 | 공립: 생활밀착형도서관서비스(44%), 생활문화복합공간(36%) 사립: 생활문화복합공간(36%), 지역공동체중심역할(27.9%) |
중심 수행 역할 | 공립: 생활밀착형도서관서비스(44%), 생활문화복합공간(32%) 사립: 생활문화복합공간(39.5%), 지역공동체중심역할(23.2%) |
향후 수행 역할 | 공립: 도서및정보제공(34%), 독서문화프로그램운영(26%) 사립: 복합생활공간(27.3%), 도서및정보제공(18.6%) |
향후 성남시 작은도서관 추진 정책 | 공립: 1순위(독서프로그램제공 49%), 2순위(예산확대 26%) 사립: 1순위(예산확대29%), 2순위(평생교육11.7%),(지역주민교류11.7%) |
향후 성남시 공공도서관 추진 정책 | 공립: 1순위(독서프로그램운영 20%), 2순위(평생교육 16%) 사립: 1순위(독서프로그램운영 20%), 2순위(평생교육 16%) |
특성화 (이용자 및 자료) 운영 여부 | 공립: 그렇지 않다(48%), 그렇다(20%) 사립: 그렇지 않다(32.6%), 그렇다(27.9%) |
자료 특성화 필요성 | 작은도서관 운영시 행정업무처리는 연관성이 많다고 응답함 공립: 보통(32%), 그렇다(28%), 그렇지 않다(28%) 사립: 보통(32%), 그렇다(28%), 그렇지 않다(28%) |
이용대상 특화 필요성 | 작은도서관 운영시 행정업무처리는 연관성이 많다고 응답함 공립: 매우 그렇다(24%), 그렇다(36%), 보통(36%) 사립: 매우 그렇다(30%), 그렇다(42%), 보통(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