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항목/내용 | 의견 사항 |
---|---|
1. (만족사항)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정책 중 가장 만족도가 높은 분야 및 유지/계승해야 할 부분 | 작은도서관 운영비 지원으로 안정적 운영 기반 마련함 도서 지원을 도서관별 상황에 맞춰서 시기/주기 선택 가능 사립 5개 도서관에서 시범적으로 실시 중인 상호대차 서비스 덕분에 신규회원 가입 및 이용자 증가함. 상근 인력 파견으로 운영 시간 연장됨. 참여 확대 및 안정적 인력 지원 바람. 성남시 작은도서관 워크숍, 도서관학교, 멘토링 사업의 지속 및 확대 운영 바람 |
2. (애로사항)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정책 중 애로사항과 문제점 | 신규도서관에 대한 도서 및 운영 지원 바람 운영자 대상 교육이 형태/상황별로 세분화/다양화 필요함 작은도서관 간담회를 통한 주기적 교류와 소통 필요 작은도서관 협의회에 대한 안내/홍보 및 지원 필요 작은도서관 D, E 등급의 별도 지원으로 도약 기회 주길 바람 사립작은도서관의 상근 인력의 지원이 필요함 보조금 지원 비율을 운영 주체/상황에 따라 탄력적 적용 바람 |
3. (개선과제)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정책에서 가장 개선이 필요한 분야 및 이유 | 공공도서관의 주변 작은도서관 홍보 및 지도 게시 바람 작은도서관의 “한 책 읽기” 사업을 시 지원사업으로 추진 바람 전문인력 확보도 필요하지만 기존 봉사자에 대한 지원 필요함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의 활동과 의욕 고취 방안의 마련이 필요함 지역에 남아 지속적으로 활동할 인력이 필요함 |
4. (차별화 전략)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정책 중 가장 주요하게 추진해야 할 정책과 차별화해 나가야 할 부분 | 시 자원/재원은 적고 작은도서관의 수는 많으므로 정해진 규칙대로 지원금을 사용해야 함 자체 재원 마련을 위해 작은도서관 후원금, 기부금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지역 내 공적인 공간 및 소통창구 필요함 작은도서관 정책 관련 협의체가 필요함 |
5. (정책 추진 방향) 작은도서관의 발전을 위해 향후 지향해 나가야 할 비전/방향 | 작은도서관의 정책, 계획을 함께 논의할 수 있는 구조 필요 작은도서관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뚜렷한 정책과 지원 방향성이 필요함 작은도서관이 각자 색깔을 낼 수 있는 시스템이 되었으면 함 기존 사립작은도서관을 공립 수준으로 활용하는 정책 필요 사립, 공립이 협력하고 함께 할 수 있는 정기적인 기회 필요 성남시 인증 우수 작은도서관 선정을 통해 주민에게 도서관의 역할을 알리고 운영자의 자부심을 고취하면 좋겠음 성남시 관내 대학생들과 연계하는 프로그램 적극 활용 필요하며, 이를 위한 시 차원의 지원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