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 및 이해 | 제도운영여건 | 평가체계 | 평가환류 | |||
---|---|---|---|---|---|---|
문화영향평가에 대한 | 인센티브 부여 | 문화영향평가 신청서를 | 사후관리 고도화 | |||
평가에 대한 | 전문가 정보 공유 | 다양한 평가대상 선정 | 평가결과의 정책 반영 | |||
담당자 사전 교육 | 일정 규모 이상 사업의 | 지역 특성을 반영한 | 평가 후 활용방안에 | |||
중앙정부의 교육 지원 | 예산 확보 | 평가기간의 | 평가지표의 활용도 제고 | |||
지방고유의 문화적 자산에 | 전문인력 확충 |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 평가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