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투자 | “K-콘텐츠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게 됨에 따라 그 투자의 범위가 글로벌로 확장되고 있다. 따라서 해외의 투자까지 유치할 수 적극적인 방안이 필요하다.”“정부에서도 <역동적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 방안>을 발표하면서 그 중 핵심적 전략으로 글로벌 자본의 확대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방향성에 가장 부합한 영역이 콘텐츠 투자이다.” |
산업고도화 영역투자 | “콘텐츠 산업 투자의 주된 기능은 단순히 수익성뿐 아니라 영화계정이 영화산업의 고도화에 기여했듯이 해당 콘텐츠 산업을 고도화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진다.”“투자가 들어가서 본격적으로 그 산업을 고도화 시킬 영역을 발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웹툰, OTT 등이 이에 해당하는 장르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콘텐츠IP 투자 | “K-콘텐츠를 주목하는 이유는 그 자체의 시장 규모보다는 소스로의 가치, 즉 IP 가치 때문이다.”“다양하고 경쟁력 있는 IP가 발생할 수 있도록 집중적 투자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콘텐츠 IP에 특화된 펀드 운용을 필요로 하고 있다.” |
선도콘텐츠 기업(대기업) 참여투자 | “현재 정부의 콘텐츠 관련 투자에서는 대기업이 투자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 이는 전략적 투자를 방지하기 위함인데, 한편으로는 그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전략적 투자도 어느 정도 필요할 수 있다.”“선도 콘텐츠 기업이 자펀드를 운용하고 주도적으로 관련 투자자를 구성하고 적극적으로 유치할 때 생태계를 바꿀 수 있는 시너지 효과들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
기업 지분특화 투자 | “프로젝트 투자는 수익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으며, 장기적인 투자라기보다는 단기적인 투자에 가깝다는 한계가 뚜렷하다.”“콘텐츠 투자에서도 지분이나 기업 투자의 비중이 늘고 있는 것은 산업이 그만큼 커졌다는 방증이며, 핵심 서도기업이 발생할 수 있는 기업들의 등장을 붐업 시킬 필요가 있다.” |
세컨터리펀드투자 | “투자와 회수 시장이 위축되면서 유동성이 필요한 기존 투자자와 검증된 투자처를 원하는 새로운 투자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세컨더리 펀드가 활성화 될 것이다..”“회수 시장 위축과 신규 투자 축소로 말미암아 투자자 유동성 수요가 기록적으로 높아지는 상황에서 콘텐츠의 세컨더리 펀드는 실효성 높은 투자 방식이 될 수 있다..” |
ESG 투자 | “최근 투자 트렌드에 있어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이슈 중에 하나는 ESG 투자이다.”“모태펀드 문화계정은 표준계약서 활용, 다양한 규제 적용 등을 통해서 이미 사회(Social)와 지배구조(Governance) 요소와 관련된 성격을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