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국민여가활성화기본계획 | 여가참여기반 구축 | 여가권의 사회적 확산 | 여가친화기업인증제 확대 |
여가의 발견 프로젝트 추진 |
여가인식 확대를 위한 여가교육 강화 |
<삶을 살다!> 여유 캠페인 실시 |
공감형 국민여가지수의 지속관리 |
잃어버린 삶의 시간 회복 | 노동시간 총량 관리 |
근로자 휴가권 강화 |
공휴일 확대를 통한 국민휴식보장 |
일상의 여가공간 확대 | 생활밀착형 여가공간 확대 |
국·공유지를 활용한 여가접근성 확대 |
여가친화도시 구축 지원 |
여가공간 관리체계 구축 |
여가접근성개선 | 수요자 맞춤형여가프로그램 확대 | 순수 장르의 대중화 지원 |
예술체험 확대 |
수요 창출형 여가프로그램 개발 지원 |
장애 없는 여가서비스 구현 | 무장애 여가서비스 기반 조성 |
아동, 청소년, 여성 여가서비스 확대 |
실버세대 여가서비스 확대 |
직장인 ‘일과 여가의 균형’ 지원 |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 확대 |
수요자 친화적 공급체계 구축 | 여가서비스 네트워킹 구축 지원 |
복합여가서비스 모델개발 및 리모델링 지원 |
스마트 여가정보체계 구축 |
여가서비스 편의성 강화 지원 |
여가활성화 추진체계 구축 |
여가생태계확대 | 여가서비스 전문인력관리체계 구축 | 여가산업 분류체계 구축 |
여가전문인력 통합관리 |
재정지원 여가서비스 일자리 창출 |
여가서비스러닝 시스템 구축 |
미래 여가산업 생태계 구축 | 여가산업 종 다양성 확대 |
지속가능한 여가산업 육성 |
체험형 여가산업 플랫폼 구축 |
제2차국민여가활성화기본계획 | 자유로운여가누림확대 | 여가를 통한 휴식과즐김 문화 확대 | 여가권·휴가권 제고를 위한 제도 운영및 문화 개선 |
여가친화인증제 개선 및 확산 |
생활 속 여가누림 활성화 |
일·여가 조화 지수 개발 및 관리 |
건강한 여가공간 조성 | 여가공간 확충 및 개선기반 마련 |
국민의 자연 누림 확대 |
숲길 환경 조성 |
농촌체험관광 기반 조성 |
해양레저환경 조성 |
생애주기별 맞춤 여가정책 추진 | 아동·청소년 대상 능동적 여가활동을 위한 여가교육 |
청년·중장년층 일과 여가 균형 지원 |
여가로 어르신 삶의 활력과 품격 제고 |
공정하게 누리는여가문화 실현 | 약자 프렌들리 여가문화 활성화 | 저소득층 등 소외계층 대상 여가활동 지원 |
장애인 프렌들리 여가 지원 |
생활권 기반의 상생 여가 환경 조성 | 생활밀착형 여가환경 기반 조성 |
문화소외지역 여가누림 지원 |
함께하는 여가문화 실현 | 여가로 사회 연결과 치유 |
친환경·탄소중립 여가문화 활성화 |
미래형여가생태계 구축 | 미래여가 생태계 구축을위한 환경 조성 | 일과 여가의 균형을 위한 미래형 환경 조성 |
안전한 여가환경 구축 |
여가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운영으로여가누림 지원과 여가다양성 확보 |
미래형 여가누림 지원 |
여가산업 경쟁력 강화 | 여가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 |
여가 분야별 기업 육성 |
여가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