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문화정책 재구성

목표 1 지속가능한 문화거버넌스 체계 지원
핵심원칙 정보전달이 정확히 이루어지고, 참여과정이 투명하고 거버넌스 체제를 기반한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을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을 채택하고 실행하는 국가의 정책이 보장되어야 함.
기대효과 창조성, 생산성, 배급을 증진하고 다양한 문화상품과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으며, 문화거버넌스와 관련한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고, 투명하고 참여적인 체계에 기여하기 위한 국가적 정책과 방안이 실행되어야 함.
모니터링 분야 문화정책 공공서비스 미디어 디지털 환경 시민사회와의 협력
핵심지표

다양한 문화상품과 서비스의 창조, 생산, 배급, 접근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문화정책 지원

정책 결정에 다수의 정부 관계 기관의 참여

고지된 정책 결정 과정에 당사국의 적극적인 지원

미디어의 자유와 다양성을 위한 법률 지원

공공서비스 미디어 목표의 법적 규정과 보장

모든 사회 단체의 욕구에 충족하는 공공서비스 미디어 정책 방안

인터넷의 보편적인 접근을 위한 법률 지원

디지털 환경에 시민사회 참여 증진과 디지털 창조를 격려하는 정책 방안

역동적이고 다양한 디지털 문화 산업 시장을 지원하는 정책 방안

시민사회에 대한 법률 및 재정 지원

정책 계획과 실행에 시민사회의 참여

협약을 비준하고 증진하는 데 시민사회의 적극적 참여

성과 도전과제 권고사항

문화 산업 입법 기반, 인터넷․언론 자유 및 다양성 확립

창조경제를 위한 각국 간 협력 확대

디지털 창의력과 기업가 정신에 대한 투자 증가

문화정책 이슈에 시민 사회단체의 참여

문화정책을 완전히 이행하기 위한 예산 부족

시민사회단체의 정책 행동에 완전히 영향을 줄 수 있는 역량 부족

사회의 모든 그룹이 공공서비스 미디어 정책에 의해 제공되는 것은 아님.

디지털 환경에서 제작자에 대한 불공정한 보수

정책 대화를 위한 구조화된 플랫폼 개발

포괄적인 디지털 어젠다 및 인프라 계획 채택

시민사회단체를 위한 적절한 자원과 기술 제공

지역 품질 컨텐츠 제작에 투자

데이터 요구사항

디지털 배급 플랫폼 및 아티스트에 의해 발생한 수익

공공서비스 미디어의 게이트키핑(gatekeeping) 위치에 있는 여성의 수

문화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시민사회단체 수

수주: 「문화정책 재구성」보고서 중 문화거버넌스와 관련 있는 목표 1 부분만 발췌함
자료: 유네스코․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5); UNESCO(2017: 33)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