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완주군 문화공동체 지원 사업(공모, 메이드 인 공공) 선정 현황(2019년)

추진공동체 공동체 발견 지역 문제 문제해결 제안 문화사업
깔깔깔 인형극단 -공동체 확장을 위해 인재 발굴 및 육성이 필요. -인재육성과 공동체 활성화 위한 인형극 아카데미
완주드림 컬처랜드

-생활권 내 문화 활동 공간의 부재

-귀촌인과 원주민의 문화차이 갈등 해소 필요.

-사유지를 문화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문화프로그램의 시범 운영

-핼러윈 파티 및 과학 교실

-생활문화 수다방

다문화공동체 보물섬

-인식 개선 위한 다문화프로그램 발굴

-다문화 음식자원 활용하여 다문화 이해 공감 프로그램 발굴 필요.

-세계음식 한마당 잔치

-다문화 음식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공감 클래스

We’C

-전업예술인으로 살려는 청년이 중심인 공동체 부재

-문화예술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로 구성된 청년 문화공동체의 활동이 필요.

-주민들의 바람을 들어주는 청년 예술 단체 성장 프로그램
책이음 -엄마로, 아내로, 며느리로 살아가면서 잃어버린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 -멘토(작가) 만남을 통해 엄마들의 자아찾기 프로그램
작은곰자리 -로컬푸드를 이용한 디저트 상품이 없어 지역과 상생하고 있지 못함. 로컬푸드를 활용한 디저트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아이템이 필요. -로컬푸드를 활용, 디저트 개발 및 지역 청년작가들과 협업을 통한 문화예술작품 제작
만마관주민 자치공동체 -만마관은 호남제1관으로 역사적 가치가 있으나, 많은 주민이 알지 못함. -만마관 토크콘서트 및 역사문화 탐방
아리아리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필요함.

-사회적 편견 개선 위한 주민소통 프로그램 필요.

-정신장애인 사진교육과 전시

귀동골 지키미 -구이면 마을특화사업(떡공장)이 기대하는 바에 미치지 못하고, 적자 장기화하면서 주민갈등이 심화. -주민 갈등 해소를 위한 문화프로그램으로, 떡 프로그램 및 작은 마을축제
맹그러브

-지리적 한계, 고령화로 인한 공연감상 기회 적음.

-젊은 귀농, 귀촌인 유입이 늘어남에 따라 문화 향유 프로그램이 필요.

-문화예술교육 및 지역 유휴공간을 활용한 결과발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