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국가경쟁력에 관한 개념 정의

구분 개념(정의)
국제경영개발 대학원(IMD) 영토 내에서 활동 중인 기업들이 국내외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국가의 능력
세계경제포럼(WEF)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장기번영을 가능하게 하는 정책‧제도 및 제반 요소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Council(아일랜드) 아일랜드에 기반을 둔 기업의 국제시장에서의 경쟁 능력(교육, 훈련, 기업가 정신, 혁신, 경제 및 기술 인프라, 세제, 규제 등)
European Commission (2001) 국가경쟁력은 지속적인 기반에서 국민들에게 높은 생활 수준과 취업률을 제공하는 경제 역량
M. Porter(1990) 국가 차원에서 경쟁력의 유일한 의미 있는 개념은 국가의 생산성으로 정의. 생활수준의 향상은 기업들이 높은 수준의 생산성을 달성하고,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역량에 의존
Paul Krugman (1994) 일반적으로 경제학자들은 경쟁력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한 국가의 경제적 부가 세계시장에서의 성공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는 것은 가설이고, 반드시 진실이 아니라는 주장
한국기획재정부 (2011) 국민들의 생활 수준과 삶의 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한 국가의 총체적 역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