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7 2유형에서 적극 동의 문항과 표준점수

문항번호 Q 진술문 내용 Z점수
1.00이상 47 일회성 프로그램보다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많아져야 한다. 2.179
34 문화예술교육은 참여자들의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2.037
54 문화예술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관장의 인식이 변화해야 한다. 1.796
35 참여자들이 때때로 보여주는 예상치 못한 변화를 통해 고정관념이 깨질 수 있다. 1.672
19 프로그램의 운영방향을 구체적으로 정해놓기 보다는 참여자의 반응에 따라 변화를 주는 편이다. 1.467
40 참여자의 취향과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소통이 중요하다. 1.416
18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동안 참여자 간에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일어나야 한다. 1.328
30 문화예술교육에 참여자들의 의견을 듣고 반영해야 한다. 1.178
9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동안 나타나는 참여자의 행동, 관점 등을 존중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1.117
42 사회복지사가 얼마나 문화예술을 아는가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 1.027
−1.00이하 45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알겠으나,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막막하다. −1.490
2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1.539
48 비장애인 대상의 문화예술교육계획을 그대로 장애인 참여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1.708
13 현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은 한때 장애인 바리스타 직업 교육 붐이 일었던 상황과 다르지 않다. −1.837
36 성공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는 공연, 전시 또는 출판을 한 경우이다. −2.254
39 문화예술교육은 백화점 등 문화센터에서 하는 사업이지 사회복지관에서 할 일은 아니다. −2.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