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3유형에서 적극 동의 문항과 표준점수

문항번호 Q 진술문 내용 Z점수
1.00 이상 9 참여자들의 개별특성을 예술강사에게 사전에 제공하는 것은 참여자에 대한 편견으로 작용할 수 있다. 2.078
55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할 때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것은 참여자들과 친밀함을 형성하는 것이다. 1.516
21 문화예술교육의 진행과정에서 예술강사만의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1.444
18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동안 참여자 간에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일어나야 한다. 1.365
15 문화적 생활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보장을 위해 필요하다. 1.304
41 외부예산을 확보하지 못하면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힘들다. 1.271
30 문화예술교육에 참여자들의 의견을 듣고 반영해야 한다. 1.248
58 예술강사가 참여자의 도전적 행동에 대해 사전에 숙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224
20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 예술강사, 참여자 간에 각자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1.148
3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장애유형은 통일되는 것이 좋다. 1.103
23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으면 좋은 문화예술교육이다. 1.026
16 예술강사와 문화예술교육의 사회복지적 역할과 필요성에 대한 소통이 필요하다. 1.022
−1.00 이하 2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1.137
6 비장애인과 함께 하는 통합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비장애인 위주로 프로그램이 흘러가는 경우가 많다. −1.213
31 참여자들의 즉각적인 반응에 맞춰 단순한 즐거움 추구에 그치는 프로그램에 대해 문제의식을 느낀다. −1.380
13 현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은 한때 장애인 바리스타 직업 교육 붐이 일었던 상황과 다르지 않다. −1.584
8 참여자들의 개별특성을 예술강사에게 사전에 제공하는 것은 참여자에 대한 편견으로 작용할 수 있다. −1.646
36 성공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는 결과물을 공연, 전시 또는 출판한 경우이다. −1.804
39 문화예술교육은 백화점 등 문화센터에서 하는 사업이지 사회복지관에서 할 일은 아니다. −2.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