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문화영향평가 지표 정립 및 개발의 변천사

연도 평가지표 핵심 내용 평가항목 평가지표
문화영향평 가제도 연구 (2003) 국민들의 삶의 종합적인 상태와 문화의 수준 및 발전을 진단하는 평가지표를 도출함 국가 차원 국정목표 문화적 가치의 사회적 확산을 위한 국정목표와 제안 여부 평가
분야별 국정과제 문화정책과 타 정책과의 유기적 시너지 효과 증대에 관한 과제의 포함 여부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문화적 악영향 최소화 방안 및 문화정책과의 유기적 연계와 협력방안 평가
문화관광부 문화관광부의 권고나 요구사항에 대한 수용 정도
생활차원 문화적 역량 자기개발성 / 쾌적성 / 심미성 / 자율성 / 접근성 / 편의성 / 다양성
문화민주주의 민주성 / 공익성 / 소수자 배려 / 다양성
공동체 형성 공공성 / 지역성 / 정체성 / 연대성 / 자치성
생태학 자연친화성 / 다양성
문화적 생산과 전문성 창의성 / 고유성 / 효율성 / 타당성
문화적 가치의 사회적 확산을 위한 제도 도입 방안 연구 (2004) 보다 본질적인 문화에 대한 접근을 기반으로 ‘문화적 가치’와 ‘문화적 권리’ 및 세부지표를 형성하고, 이들 간의 상호관계가 이루어지도록 함문화적 가치 (가치의 침해 여부) 사회발전 / 창조성 / 문화자원 / 다양성 / 사용과 향유
문화적 권리 (권리의 훼손 여부)

(사회발전) 문화 환경 / 문화공동체 형성 / 문화정체성 확보

(창조성) 문화활동(창작) 참여

(문화자원) 유·무형 문화유산 보존

(다양성) 의사·표현·정보의 자유 / 믿음·사상에 대한 자유

(사용과 향유) 문화접근성

문화영향평가 지표개발 및 법제화 방안 연구 (2006) 문화영향평가가가 추구하는 최고의 정책목표를 ‘문화적 발전’에 두고,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체계를 개발함 창조 공급자의 창조성 / 수혜자의 창조성 /전문가 및 시민의 창조성
계승 문화유산 보존 / 기존의 공동체망 보존 / 지역고유문화 보존
관용 개방적 문화수용 / 소수문화에 대한 관용
형평 계획의 민주성 / 계획의 시민참여
신뢰 정책의 실현가능성 / 정책의 투명성
문화영향평가 실행을 위한 기초연구 (2013) ‘정책목표-상위지표-하위지표’ 체계에 따라 규범적 성격의 평가제도로서 가치 중심의 정성적 지표를 통해 정책목표 및 핵심가치 제고 여부를 서술형으로 평가함 문화 기본권 보장 평등/다양성 문화적·지역적 격차 / 문화의 지역·집단 간의 불균등 / 문화적 차이·다양성 / 특정 집단 등에 대한 고정관념
자유/자율 문화향유 및 창작 기회 균등 / 소외 집단이나 계층 / 문화향유 및 창작에 따른 표현의 자유와 자율권 저해
소통/교류 새로운 문화·트렌드 접촉 및 타 문화 간의 소통, 교류 기회 / 문화유산 보존 및 계승에 저해 또는 보존을 위한 노력
문화 정체성 확립 정신문화/관습 전통적 관습·통념·가치관 해체에 대한 영향 / 문화유산 보존 및 계승에 저해 또는 보존을 위한 노력
문화유산/계승 전통적인 문화경관을 보존·발전하는 데 저해요소 /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상생발전의 저해
상생/발전 우리 문화를 알리고자 하는 노력 / 문화융합 및 복합을 통한 새로운 문화발전의 방해
문화영향평가 실행에 관한 연구 (2014) 핵심가치인 문화기본권 및 문화정체성 강화를 위하여 정책 및 계획 주체들이 추진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중심으로 정량적, 정성적 지표를 동시에 구성함 문화 기본권 소극적 권리 문화인프라 충분성 / 문화인력 배치계획 / 문화프로그램 계획 / 문화재정확보 정도
적극적 권리 문화 수요와 표현 충족 / 문화 장벽과 차별 해소
문화 정체성 지역 고유성 지역 고유자원 보호, 지역 고유자원 활용
공동체 소통·발전 지역주민 참여와 소통, 지역공동체 상생 및 발전
2015년 시범 평가 제시된 공통 평가지표를 기본으로 정책(계획)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기관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평가지표를 추가할 수 있게 함 문화기본권 문화격차에 미치는 영향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체성 문화유산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경관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2016~2019년 본평가 6개의 평가지표, 12개 세부지표(8개 필수지표, 4개 선택지표)로 구성하여 각 지표별 핵심개념, 범주, 판단기준을 사전에 제시하여 평가의 타당성을 높임 문화기본권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문화접근성, 문화향유수준)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표현 및 참여 기회, 생활문화예술 참여)
문화정체성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에 미치는 영향(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의 보호/활용)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 문화공동체)
문화발전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종 다양성, 소수집단의 문화적 표현)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창조자본, 창조기반)
2020년 본평가 2019년까지 사용된 지표에서 세부지표의 개수 및 일부 용어와 그 정의가 조금 개편되었음 문화기본권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문화향유권, 문화환경권)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문화참여권, 정보문화 향유권)
문화정체성 문화유산에 미치는 영향 (문화유산 보호, 문화유산 향유권)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지역공동체, 갈등발생 가능성, 사회적 합의)
문화발전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다양성 권리, 문화평등권, 문화격차)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 발전, 미래지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