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디지털 전환에 따른 국제사회 문화예술정책 전략 방안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 기회 1. 비즈니스 전환 기회 2. 이해관계자 역량 강화 기회 3. 시스템 변화
국제 기구 - 문화 예술 정책 방향 OECD 창작, 향유 활동 디지털화, 플랫폼 기반 구축 기술 혁신역량 구축, 저작권 제도 상호 연결(영역 간, 탈 영역 간 협력), 거버넌스
UNESCO 문화예술 분야의 기술적 개발 : 디지털 환경에서의 자유롭고 다양한 예술적 경험의 구현

실시간, 상호교류 특성의 예술적 활동과 창작에 대한 기술적 구현 지원

추천 알고리즘의 개선을 통한 다양성 증진과 사용자 선택의 제한 완화 등

교육을 통한 디지털 역량 강화(예술가, 프로그래머, 시민 등)

유관 법안 제 · 개정

거버넌스 시스템 강화

다양한 영역 간 협력

국제협력과 네트워킹

국가별 사례 - 정부 주도 정책 방안 영국(UK) 문화예술계 디지털 정책 방안

목표: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관객참여 증진

방법:

DCMS의 UK 예술참여 실태조사 활용: 분석 자료를 예술단체에 제공함으로써 창작과 관객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도서관, 박물관, 갤러리, 아카이브의 콜렉션 자료 전산화를 통한 관객 접근 기회 신장

R&D 혁신사업 ‘Audience Lab’ 운영: 로열 오페라 하우스 AR, VR 기술 활용 프로그램 개막

목표: 디지털 역량과 법제도 구축

방법:

지적재산 관련 법안(저작권법): 관련 법안 교육연수 제공, 법 전문용어 정리 등 교육자료 온라인 제공

협력 파트너십 구축 기회 제공: ‘Digital Culture Network’ 사업 정부 전문 기술 및 지식 역량 강화와 활용: ‘AI와

정부디지털서비스부(the Office for AI & Government Digital Service)’ 설립, 인력 양성과 기술의 행정 분야 활용

목표: R&D 혁신 사업을 통한 미래전략 계획

방법:

랩(Lab) 운영사업 개발 및 운영: ‘Innovation Lab’-내셔널 갤러리와 로열 오페라 하우스 협력 사업

이머시브 펠로십(Immersive Fellowship): 창작인력, 극작가, 기술인력 간 협력 지원 및 인력 양성 사업

UK-US ‘One by One’ 프로젝트: 영국 University of Leicester와 미국 스미스소니언 협회 주도 다자간 협력 연구 사업

캐나다

창작자, 문화 기업가 (cultural entrepreneurs)에 투자-총 예산(C$88.5m)의 25% 정도 투입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예: 영화)에 투자

원주민 예술 창작자에 투자

차세대 예술가 및 예술 전문가 양성을 위한 문화공간 설립 기금 조성(C$300m), 투자

지역 뉴스, 방송, 저널리즘의 현대화 및 디지털화 지원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증진

영화 및 영상 제작 관련 조세 제도의 현대화 및 개선

방송·통신 법안 개정

저작권 법안과 저작권 위원회 개편

창의산업위원회(Creative Industries Council) 창설

예술 분야의 조직 개편(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및 새로운 운영모델 개발과정 지원

신흥 유통 플랫폼(OTT)과의 협력관계 강화

디지털 세계의 문화 다양성을 위한 국제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