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관계적 지역문화자원, 문화 거버넌스 활성화 간 상관관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 | 1 | | | | | | | | |
(2) | −0.083 | 1 | | | | | | | |
(3) | −0.292* | −0.036 | 1 | | | | | | |
(4) | −0.240* | −0.108 | 0.002 | 1 | | | | | |
(5) | 0.062 | −0.091 | −0.198* | −0.204* | 1 | | | | |
(6) | 0.130 | 0.075 | 0.011 | −0.184* | 0.146 | 1 | | | |
(7) | 0.124 | 0.002 | −0.049 | −0.031 | 0.157* | 0.567* | 1 | | |
(8) | 0.150 | −0.060 | 0.049 | −0.138 | 0.139 | 0.667* | 0.607* | 1 | |
(9) | 0.048 | −0.132 | 0.035 | −0.038 | 0.116 | 0.397* | 0.468* | 0.363* | 1 |
관계적 지역문화자원: (1) 예술가 및 예술단체, (2) 정책 또는 기획 전문가, (3) 지역문화 관심많은 주민, (4) 활성화된 시민사회, (5) 지역문화재단.
지역문화 거버넌스 활성화: (6) 조직 구조 및 체계, (7) 공동의 목표, (8) 참여 및 커뮤니케이션, (9) 지식 및 역량.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