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애착 | 장소와의 연결 수준이 명백하고 종종 열정적으로 강조되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사건이나 경험 | 장소와 연계된 긍정적 정서를 통해 나타나는 유대감 | 긍정적 정서에 기반한 장소와의 유대 관계 형성 |
가족 및 지인들과 만족스러운 시간을 보낸 것에서 비롯된 장소와의 긍정적인 정서적 연결 |
장소 정체성 | 장소에서 발견되는 측면이나 사건을 통해 해석되는 장소에 대한 관찰 | 개인적인 관점 또는 감각에서 나타나는 장소에 대한 지각 | 개인적인 관점에서 장소에서의 발견을 통해 나타나는 긍·부정적 관계 형성 |
개인적인 관점 또는 이점의 유무를 통해 나타나는 장소에 대한 긍·부정적인 의견 |
개인적인 관점에서 나타나며 장소와 연계된 인간 활동 및 빈번히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 |
장소 의존성 | 다른 장소와 차별화되는 명소나 활동에 부여된 높은 가치 | 독특한 장소 또는 랜드마크 | 다른 장소와 차별화된 장소적 가치 보유에 따른 의존 관계 형성 |
장소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장소 기능의 혼합 |
장소와 관련한 특유의 긍·부정적 경험 |
다른 곳에서 제공되지 않는 우수하거나 독특한 장소적 볼거리와 경험 |
장소 품질 | 장소와 관련된 실용적인 고려 사항 | 장소에서 제공되는 인적 서비스 (직원 응대 등) | 장소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질적 및 양적 정도와 이에 따라 부차적으로 따라오는 실용적 고려사항의 유무에 따른 긍·부정적 관계 형성 |
장소에서 제공되는 물적 서비스 (시설 환경, 안전 및 방역 관리 등) |
접근 용이성(장소 위치, 주변 편의시설, 교통수단과 관련된 대중교통·자가용·보행 관련 사항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