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전라북도 문화예술 성평등 네트워크의 문화예술 비평학교 운영 현황

연도 구분 내용
2021년 프로그램명 성평등 예술비평학교 ‘문화예술다리미’
교육기간 2021년 6월3일~8월 12일매주 목요일 오후2시~5시(대면+비대면), 총 10회차
교육내용 여성주의 시각에서 연극, 문학, 시각, 영화 콘텐츠를 보고 비평문을 작성하는 워크숍 과정 및 공유회
교육대상 젠더 감수성이 있고 문화예술비평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자 하는 주민 또는 문화예술인(지역제한 없음)
성과 총 참여자 수 18명, 수료자 수 13명- 공유회(비평문 합평회) 1회, 비평문 15편, 비평집 1종(전북 성평등 예술비평학교 문화예술다리미 2021 비평집 『스팀steam』)
2022년 프로그램명 성평등 예술비평학교 ‘문화예술다리미’ 심화과정
교육기간 2022년 9월7일~11월 16일매주 수요일 오후2시~5시(대면+비대면), 총 11회차
교육내용 - 성평등 관점에서 지역문화예술을 바라보는 작업의 필요성 및 문화예술 장르별 비평 사례를 담은 전문가 특강- 지역문화예술작품(전북지역을 소재로 하거나 전북 문화예술인이 제작한 작품)을 보고 비평문을 작성해보는 쓰기 활동
교육대상 ① 2021년 ‘문화예술다리미’ 수료생② 젠더 감수성이 있고 성평등 관점으로 문화예술비평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시민 또는 문화예술인※ 2가지 지원 요건 중 1가지 선택 지원(지역제한 없음)
성과 총 참여자 수 9명, 수료자 수 6명- 공유회(비평문 합평회) 1회, 비평문 15편, 비평집 1종(전북 성평등 예술비평학교 문화예술다리미 2022 비평집 『스팀steam』)
2023년 프로그램명 성평등 예술비평활동 ‘문화예술다리미’
교육기간 2023년 6월28일~10월 11일매주 수요일 오후 2시~5시(대면+비대면), 총 10회차
교육내용 여성주의 시각에서 전북 지역을 소재로 하거나 전북지역 문화예술인이 제작한 문화예술 콘텐츠(연극, 문학, 시각, 영화 등)를 보고 비평문을 작성하는 활동 지원 및 공유회 운영
교육대상 ① 2021년(1기) 또는 2022년(2기) ‘문화예술 다리미’ 수료생② 젠더 감수성이 있고 성평등 관점으로 문화예술비평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자※ 2가지 지원 요건 중 1가지 선택 지원(지역제한 있음. 전북도민)
성과 총 참여자 수 9명, 수료자 수 7명-공유회(비평문 합평회) 2회, 비평문 15편, 비평집 : 1종※ 공유회(비평문 합평회) : 전북 14개 지자체 제작 콘텐츠 모니터링 결과 공유 1회, 비평문 합평회 1회(전북 성평등 예술비평학교 문화예술다리미 2023 비평집 『스팀s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