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다변량 프로빗 모형에 따른 장르별 문화예술 관람 분석결과

구분 전시예술 공연예술 대중예술
성별(기준: 남성) 0.156***(0.024) 0.158***(0.021) 0.008(0.035)
연령 −0.003**(0.001) 0.004***(0.001) −0.023***(0.002)
거주지역(기준: 비수도권) 0.158***(0.025) 0.290***(0.022) 0.058(0.037)
동거 가구원 수 −0.024*(0.014) −0.035***(0.012) −0.064***(0.022)
배우자 유무(기준: 없음) −0.053(0.040) 0.003(0.033) −0.288***(0.045)
동거 자녀 유무(기준: 없음) 0.084**(0.037) −0.081**(0.032) 0.022(0.051)
월평균 가구소득 0.031***(0.007) 0.030***(0.007) 0.070***(0.012)
최종학력(기준: 중학교 졸업 이하) 고등학교 졸업 0.135***(0.047) −0.132***(0.037) 0.295***(0.049)
대학교 졸업(전문대 포함) 0.422***(0.050) 0.154***(0.040) 0.520***(0.061)
대학원 이상 0.945***(0.096) 0.506***(0.092) 0.839***(0.184)
유·아동기(3~12세) 문화예술 교육 여부(기준: 없음) 0.103***(0.034) 0.150***(0.031) 0.164**(0.070)
청소년기(13~18세) 문화예술 교육 여부(기준: 없음) 0.238***(0.035) 0.130***(0.033) 0.141*(0.074)
현재(최근 1년) 문화예술 교육 여부(기준: 없음) 0.850***(0.036) 0.731***(0.036) −0.153**(0.064)
현재(최근 1년)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 여부(기준: 없음) 0.447***(0.041) 0.395***(0.041) −0.152**(0.069)
현재(최근 1년) 문화예술 자원봉사 활동 여부(기준: 없음) 0.267***(0.040) 0.306***(0.038) −0.163**(0.068)
동행유형(기준: 혼자 관람) 가족과 관람 0.836***(0.048) 1.154***(0.038) 3.038***(0.043)
지인과 관람 0.793***(0.047) 1.143***(0.038) 2.687***(0.043)
연도변수 0.054**(0.024) −0.084***(0.021) −0.124***(0.034)
상수항 −2.302***(0.095) −2.067***(0.081) −0.073(0.123)
Log likelihood −20,361.317
Chi2 12,550.989***
N 19,845
주1) *, **,*** 는 각각 0.1, 0.05, 0.01의 유의수준을 나타냄.
주2) 표의 값은 회귀계수(β)를 나타내고, 괄호의 값은 표준오차(standard error)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