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다변량 토빗 모형에 따른 장르별 문화예술 관람 분석결과

구분 전시예술 공연예술 대중예술
성별(기준: 남성) 0.735***(0.121) 0.577***(0.080) 0.110(0.094)
연령 −0.000(0.006) 0.023***(0.004) −0.069***(0.004)
거주지역(기준: 비수도권) 0.650***(0.124) 0.950***(0.083) −0.774***(0.098)
동거 가구원 수 −0.014(0.069) −0.105**(0.046) −0.112**(0.054)
배우자 유무(기준: 없음) 0.175(0.209) 0.202(0.133) −0.671***(0.158)
동거 자녀 유무(기준: 없음) 0.132(0.189) −0.346***(0.122) −0.450***(0.143)
월평균 가구소득 0.154***(0.037) 0.146***(0.025) 0.272***(0.029)
최종학력(기준: 중학교 졸업 이하) 고등학교 졸업 0.440*(0.249) −0.775***(0.151) 1.029***(0.177)
대학교 졸업(전문대 포함) 1.875***(0.258) 0.377**(0.159) 2.238***(0.188)
대학원 이상 5.164***(0.468) 1.860***(0.325) 2.232***(0.422)
유·아동기(3~12세) 문화예술 교육 여부(기준: 없음) 0.402**(0.165) 0.504***(0.115) 0.053(0.137)
청소년기(13~18세) 문화예술 교육 여부(기준: 없음) 1.115***(0.172) 0.569***(0.121) 0.841***(0.147)
현재(최근 1년) 문화예술 교육 여부(기준: 없음) 3.524***(0.175) 2.423***(0.125) −0.201(0.161)
현재(최근 1년)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 여부(기준: 없음) 2.090***(0.195) 1.315***(0.141) −0.108(0.180)
현재(최근 1년) 문화예술 자원봉사 활동 여부(기준: 없음) 1.160***(0.192) 1.181***(0.135) 0.316*(0.171)
동행유형(기준: 혼자 관람) 가족과 관람 −0.598**(0.304) −0.571***(0.201) −0.836***(0.234)
지인과 관람 −0.440(0.293) −0.444**(0.194) −0.776***(0.226)
연도변수 0.421***(0.120) −0.413***(0.080) −0.832***(0.093)
상수항 −8.178***(0.522) −3.546***(0.340) 8.054***(0.391)
In sigma 1.661***(0.013) 1.409***(0.010) 1.743***(0.006)
Log likelihood −83,721.629
Chi2 5,028.010***
N 15,719
주1) *, **,*** 는 각각 0.1, 0.05, 0.01의 유의수준을 나타냄.
주2) 표의 값은 회귀계수(β)를 나타내고, 괄호의 값은 표준오차(standard error)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