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접근성 분석’ 관련 선행연구

저자(연도) 연구내용 격자단위 대상 분석방법
안재성 (2014) 2SFCA를 개선한 V2SFCA 방법을 적용하여 구미시 노인복지시설 접근성 분석 200 m×200 m 노인복지 시설 2SFCA 분석
박현수 (2022) 청주시 재난대피시설의 인구특성별 이동거리 접근성 및 재난대피시설까지의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250 m×250 m 재난대피 시설 도로 네트워크 분석
황병묵 (2022) 서울시 도시공원의 보행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접근성 평가 100 m×100 m 도시공원 보행 네트워크 분석
이해빈 (2023) 서울시의 N분 도시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고 15분을 기준으로 유아, 청소년, 아동, 성인, 노인의 연령대를 고려하여 보행 네트워크 분석 250 m×250 m 지역생활 서비스시설 보행 네트워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