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Nvivo 15 코드 분류 체계의 재구조화

대범주 주요 범주 세부하위 항목 빈도(개) %
1단계 (형성단계) 공동의 목표 설정 일방적 목표 설정 15 2.29
합의된 공동의 목표 9 1.38
신뢰 구축 과학적 지식에 대한 예술가 존중 14 2.14
상호 간 이해 7 1.07
역할 기대의 불일치 6 0.92
역할 능동적 역할 분배 7 1.07
수동적 역할 분배 3 0.46
2단계 (폭풍단계) 상호 간 이해 예술적 관점에 대한 이해 18 2.75
상호 간 이해 부족 5 0.76
상호 간 이해 충족 5 0.76
소통 의사소통의 한계 13 1.99
소통 한계 극복을 위한 노력 5 0.76
직무기술 상대방 직무 기술에 대한 지식 21 3.21
상대방 직무 기술 이해를 위한 노력 10 1.53
3단계 (규범단계) 소통 소통의 어려움 25 3.82
원활한 소통 18 2.75
역할 상호작용과 협업 13 1.99
예술가 주도 협업 12 1.83
명확한 연구원의 역할 10 1.53
4단계 (수행단계) 팀 목표 달성 성과 5 0.76
한계 3 0.46
동기 내재적 동기 38 5.81
외재적 동기 11 1.68
5단계 (달성 및 해체 단계) 예술과 과학기술 융합의 의미 ArtScience 33 5.05
사회적 영향력 30 4.59
각 분야별 학문적 성과 기여 13 1.99
SciArt 12 1.83
협업과정에서의 성과 12 1.83
Scicomm 5 0.76
협업성과 새로운 통찰력 35 5.35
창작(연구) 분야 적용의 한계 26 3.98
단순한 흥미 13 1.99
창작(연구) 분야 기여 8 1.22
관객과의 상호작용 9 1.38
팀 해체 지속적 교류와 재참여 의지 5 0.76
아티언스 시스템 시스템의 한계 28 4.28
예술가 중심의 아티언스 시스템 17 2.60
예술과 과학기술 융합 생태계 예술과 과학을 바라보는 시각 예술을 바라보는 연구원 시각 24 3.67
과학을 바라보는 예술가 시각 7 1.07
구조적 한계 현행 융합 지원 제도의 문제점 26 3.98
사회적 인식 문제 17 2.60
융합에 대한 부정적 시각 16 2.45
성공적 협업을 위한 제언 역할과 상호작용 15 2.29
예술과 과학의 협업 조건 13 1.99
융합의 본질과 과정 9 1.38
매개자 8 1.22
합계 40 654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