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춘천 문화도시의 효과와 개선점

구분 내용 특징
효과 문화접근성 향상

10분 문화안전망 구축, 일상공간의 문화적 전환

공간의 문화적 재생 강화

구도심 빈집 및 빈상가의 전환, ‘모두의 살롱’, ‘인생공방 약사스테이’ 등

심리적 안정감

새로 알게 된 이웃(사회적 네트워크), 춘천에 대한 애정감(지역애착감) 증가 등

도시이미지/정체성 강화

도시 이미지 개선 및 자부심 증가 등

지역균형발전

‘ON-다’를 통한 10개 읍면 지역의 2,000명 넘는 주민 참여, 도심-외곽 간 문화격차 해소 등

도시의 문화적 지속가능성

‘도시가 살롱’ 721회의 커뮤니티 운영, 주인장 모임 등

시민이 주도하는 문화 생태계, 자발적 문화 활동

개선점 포용적 접근 강화 필요

읍면 지역의 문화공간 접근성은 아직도 제한적

시설의 통합적 개선

장애인/노약자의 편의시설 부족

다양성 확대를 위한 전략 필요

지역주민 중 다문화가정, 장애인, 이주노동자 등의 문화적 소수자 참여 프로그램 개발 필요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유지방안

많은 참여자와 횟수는 이뤄지나 체계화된 접근 필요(기초-심화-실천 등)

디지털 전환 대응 필요

단순 정보제공 홈페이지에 대한 개선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접근성 강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