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이용 행태 및 인식 연구:성남시를 중심으로

이보라 1
Bora Lee 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이보라_신라대학교 조교수/주저자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Silla University

* 본 연구는 2021년 성남시의 ‘성남시 작은도서관 중장기 발전 계획’으로 수행된 결과를 발췌ㆍ요약한 것임.

© Copyright 2019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Feb 15, 2023; Revised: Mar 03, 2023; Accepted: Apr 05, 2023

Published Online: Apr 30, 2023

국문초록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이용자의 이용 행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작은도서관 이용자 및 운영자의 인식을 연구함으로써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지자체 중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은 경기도에서 공립작은도서관의 수가 가장 많은 성남시의 거주 주민 및 이용자와 운영자에게 설문조사와 표적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이용 행태를 분석하고 인식을 연구하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도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도서관은 재정 확보와 운영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작은도서관은 정보 제공과 함께 독서문화 및 평생교육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해관계자들이 작은도서관 정책, 계획 등 의견을 교류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rive an operational plan for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small libraries by conducting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users, operators, and experts of small libraries. To analyze the usage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residents and small-library users of Seongnam-si,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public small libraries in Gyeonggi-do. Another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mall library operators and experts to study their perception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the operational strateg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mall libraries must secure finances and expand their operational workforces. Second, small libraries must strengthen their functions as spaces for promoting literacy and lifelong education, along with providing information. Third, local governments must form consultative bodies where stakeholders can exchange opinions concerning small library policies and plans.

Keywords: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 인식 조사; 활성화 방안
Keywords: small library; usage behavior; perception servey; effectiveness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도서관은 지역공동체의 중심적인 위치에서 생활ㆍ문화ㆍ복합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도래와 코비드-19로 개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공동체 붕괴 등의 문제가 야기될 것이 예측되어 지역공동체에서의 도서관 역할 강화가 대두되고 있다. 1960년대 문맹 퇴치와 농촌 계몽을 위해 자발적으로 설립된 마을문고에서 시작된 작은도서관은 설립 주체에 따라 공립과 사립으로 구분되며, 지역주민이 가장 낮은 단계에서 풀뿌리 독서 활동을 통해 친숙하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문화시설로 정보의 수집 및 제공뿐 아니라 교육 서비스와 문화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문화 시설이다. 최근 작은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와 정부의 생활형 SOC사업의 추진 등으로 작은도서관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작은도서관의 양적 증가와 함께 인력 부재 및 관리 소홀 등으로 운영이 부실화되는 작은도서관도 증가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작은도서관 운영 평가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도 기준 전국 작은도서관 중 45.9%에 해당하는 2,900여개의 작은도서관이 운영 부실에 해당하는 DㆍF 등급으로 평가받았다. 이에 작은도서관은 지역주민들과 긴밀하게 소통하며 지식정보 서비스 제공, 독서문화활동, 평생학습 활동 등 마을공동체의 거점 역할과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보완하는 고유기능의 활성화 방안 마련과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1)에 따르면 2020년 12월 31일 기준, 전국 지자체에 등록ㆍ운영 중인 작은도서관은 6,474개관이며, 그 중 경기도의 작은도서관이 1,508개관으로 가장 많다. 성남시는 경기도 31개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30개관의 공립작은도서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립작은도서관을 포함한 전체 작은도서관의 수는 화성시(161개관), 수원시(124개관)에 이어 3번째로 많은 123개관에 이른다.

이에 본 연구는 성남시 작은도서관 현황을 파악하고 작은도서관 이용자와 운영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포커스 그룹인터뷰 실시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여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와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작은도서관이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작은도서관에 대한 연구는 작은도서관 법제도 및 정책 연구, 작은도서관 운영 및 활성화 연구, 작은도서관 사례 및 실태 분석 연구, 작은도서관 성과 및 평가 연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작은도서관 법제도 및 정책 연구와 관련하여 김유승(2014)은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 및 자치 법규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 관련 법제도의 당면 과제를 시설 및 자료 기준, 운영 인력, 지원 및 관리의 세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최만호 외(2020)는 경기도 내 31개 시군의 작은도서관 조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여 경기도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개정 방향과 조례를 제안하였다. 김보일ㆍ김홍렬ㆍ이보라(2020)는 전국 작은도서관 실태와 정책 및 지원과 법규 조사를 진행하여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3가지 추진과제와 14가지 세부과제를 제안하였다.

작은도서관 사례 및 실태 분석 연구와 관련하여 조미아ㆍ변현주ㆍ김보일(2013)은 전국 작은도서관 22개관을 선정하고 직접 방문하여 실태조사 실시와 운영자를 면담을 통해 실태를 분석하고, 작은도서관 활성화 정책을 제안하였다. 이보라ㆍ김미란(2018)은 작은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작은도서관 운영자와 사서의 인식차이에 대해 분석하여 작은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작은도서관 성과 및 평가 연구와 관련하여 안인자, 윤소영ㆍ차성종(2011)는 경기도 3개 지자체의 작은도서관 108개관을 현장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작은도서관 통계지표를 제안하였으며, 김보일(2018)은 피평가자인 작은도서관의 요구를 반영하여 작은도서관의 기본적 목적과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정성적 평가를 포함하는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안)을 제안하였다.

국외의 경우 작은도서관을 공공도서관의 범주 속에서 포함시키고 운영하기 때문에 공공도서관 평가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작은도서관 평가 관련 연구를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현대적 의미의 공공도서관이 최초로 설립된 미국에서는 작은도서관을 구분하지 않고 도서관 서비스 지역과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인구 등 지역과 봉사인구에 기반한 정의와 도서관 직원, 장서, 면적, 예산 등의 규모에 기반한 소규모 공공도서관으로 구분하고 있다. Deanne W. Swan 등(2013)은 미국의 작은도서관을 규정하는 다양한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 기준으로 지리적 요건과 인구수 등으로 정의하는 경우와 도서관의 서비스 지역 또는 봉사 인구 수, 도서관 직원 수, 장서 수, 예산과 같은 작은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을 제시하였다.

Ⅱ.연구방법

1.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림 1] 및 다음의 연구 내용으로 체계적으로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jcp-37-1-291-g1
그림 1. 단계별 연구 방법 및 내용
Download Original Figure

첫째, 작은도서관 활성화 및 정책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성남시 작은도서관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 및 인식 연구를 위한 설문 문항 및 표적집단인터뷰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둘째, 완성된 조사도구(설문지)의 배포 및 조사를 통해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 행태를 분석하였다.

셋째, 완성된 조사도구(설문지)의 배포 및 조사를 통해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자, 운영자의 작은도서관 인식을 분석하였다.

넷째, 완성된 조사도구(표적집단인터뷰)를 활용하여 성남시 작은도서관 관련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표적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작은도서관 운영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다섯째,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에 대한 설문조사, 작은도서관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및 표적집단인터뷰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위한 이용행태 및 인식 조사는 전국 지자체 중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은 경기도에서 공립작은도서관의 수가 가장 많은 성남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주요 현황에 대한 조사는 국가 승인 통계인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데이터의 활용을 위해 검색시스템에서 검색조건으로 지역(시군구)을 ‘성남’으로 제한하였으며, 공립 30개관과 사립 93개관의 데이터를 살펴보았다.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와 인식 조사는 성남시 거주 주민과 작은도서관 이용자, 운영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표적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작은도서관 이용자, 운영자를 대상으로 조사도구(설문지)를 인쇄하여 배포하는 오프라인 방식과 도서관 홈페이지를 활용한 온라인 방식을 병행하였으며 이용자 382명, 운영자 111명이 응답하였다. 표적집단인터뷰는 이용자 2명, 운영자 6명, 정책관련 전문가 3명이 참여하여 2회에 걸쳐 대면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Ⅲ.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성남시 작은도서관 주요 운영 현황은 국가 승인 통계인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http://www.libsta.go.kr)」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주요 운영 현황의 조사는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를 개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 나타난 가장 최근 3년(2018년~2020년)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범위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작은도서관으로 등록된 도서관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1. 작은도서관 일반 현황

2020년 12월 기준 성남시의 작은도서관은 123개관으로 공립작은도서관이 30개관(24.4%), 사립작은도서관이 93개관(75.6%)로 나타났다. 행정 권역별로 살펴보면 공립작은도서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수정구(12개관, 33.3%)이며, 사립작은도서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분당구(39개관, 79.6%)이다. 작은도서관 1관당 봉사대상 인구수는 성남시는 7,643명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는 분당구(9,841명), 수정구(6,714명), 중원구(5,688명)으로 나타났다.

표 1. 봉사대상 인구수 대비 행정 권역 작은도서관 수 비교
구분 도서관 수 작은도서관 1관당 봉사대상 인구수
공립 비율% 사립 비율%
(A)
총인구수(명)
(B)
1관당 인구수(명)
(B/A)
성남시 30 24.4 93 75.6 123 940,064 7,643
수정구 12 33.3 24 66.7 36 241,701 6,714
중원구 8 21.1 30 78.9 38 216,131 5,688
분당구 10 20.4 39 79.6 49 482,232 9,841
Download Excel Table

성남시 작은도서관을 설립 주체에 따라 살펴보면 공립작은도서관 30개관 가운데 20개관(15.4%)은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10개관(6.5%)은 위탁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작은도서관을 운영 주체별로 살펴보면 새마을문고 작은도서관은 운영되지 않으며, 아파트 작은도서관이 36개관(28.5%), 종교시설 작은도서관 32개관(22.0%), 개인 및 민간단체 설립 작은도서관 20개관(17.9%), 법인 설립 5개관(4.1%)로 나타났다.

표 2. 성남시 작은도서관 설립 주체별 현황
항목 2020년
관수 %
설립 주체 공립 지자체 직영 20 15.4
민간 위탁 10 6.5
사립 개인 및 민간단체 설립 20 17.9
새마을문고 0 -
종교 시설 32 22.0
법인 설립 5 4.1
아파트 작은도서관 36 28.5
합계 123 100.0
Download Excel Table
2. 시설 및 인력 현황

2020년 12월 기준 성남시의 작은도서관의 전용 면적은 1관당 평균 99.0 m2로 나타났으며, 공립작은도서관의 평균면적은 110.7 m2 , 사립작은도서관은 95.5 m2로 공립작은도서관의 전용 면적이 사립작은도서관보다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작은도서관은 전용 면적이 100-165 m2 이하가 8개관(26.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사립작은도서관도 100-165 m2 이하가 21개관(2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남시 작은도서관 중 전용 면적이 264 m2 이상의 도서관은 4개관으로 면적은 공공도서관 기준에 해당되나 사서 수와 시설 등이 공공도서관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작은도서관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 3. 성남시 작은도서관 전용 면적
항목 33-66 m2
이하
67-99 m2
이하
100 m2-165 m2
이하
166 m2-263 m2
이하
264 m2
이상
전체 평균 면적
(m2)
성남시 관수 % 관수 % 관수 % 관수 % 관수 % 관수 % 평균값
51 44.0 21 18.1 29 25.0 10 8.6 5 4.3 116 100.0 103.1
공립 9 33.3 6 22.2 7 25.9 3 11.1 2 7.4 27 100.0 114.3
사립 42 47.2 15 16.9 22 24.7 7 7.9 3 3.4 89 100.0 99.7
수정구 10 34.5 8 27.6 8 27.6 2 6.9 1 3.4 29 100.0 98.8
중원구 18 51.4 5 14.3 10 28.6 2 5.7 0 0 35 100.0 86.1
분당구 23 44.2 8 15.4 11 21.2 6 11.5 4 7.7 52 100.0 117.0
Download Excel Table
표 4. 성남시 연도별 직원 현황
항목 2020년
공립 사립 전체 %
없음 8 31 39 31.7
1인 15 38 53 43.1
2인 이상 7 24 31 25.2
합계 30 93 123 100.0
총인원수 132명
Download Excel Table

성남시 작은도서관 전체 123개 작은도서관 중 직원(전일제+시간제)이 있는 도서관은 84개관(68.3%)이며 공립이 22개관(73.3%), 사립이 62개관(66.7%)으로 나타났다. 직원이 없는 도서관은 39개관(31.7%)로 공립이 8개관(26.7%), 사립이 31개관(33.3%)이며, 직원이 있는 작은도서관 84개관 중 53개관은 직원 1명, 31개관은 직원 2명 이상이 근무하고 있었다.

자원봉사자가 있는 작은도서관은 82개관(66.7%)이며, 자원봉사자가 없는 작은도서관은 41개관으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자가 있는 82개관 중 48개관은 직원이 있으면서 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하고 있지만, 34개관(공립 5개관, 사립 29개관)은 직원 없이 자원봉사자들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소장 자료 및 독서ㆍ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

성남시 작은도서관 보유 도서자료 수는 1관당 평균 7,410권이며, 공ㆍ사립작은도서관의 보유 도서자료 수를 비교해보면 공립은 평균 8,749권, 사립은 평균 6,978권을 보유하여 공립작은도서관이 1관당 평균 1,771권 정도의 도서자료를 더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성남시 연도별 1관당 평균 보유 도서자료 수
항목 2020년
공립 사립 전체
도서관 수 30 93 123
총 보유 도서자료 수 262,468 648,951 911,419
1관당 평균 보유 도서자료 수 8,749 6,978 7,410
Download Excel Table

2020년 독서ㆍ문화프로그램을 실시한 성남시 작은도서관은 55개관(44.7%)으로, 공립작은도서관은 11개관(36.7%), 사립작은도서관은 44개관(47.3%)으로 조사되었으며, 3개 행정 권역의 독서ㆍ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분당구 25개관(51.0%), 중원구 17개관(44.7%), 수정구 13개관(36.1%)이 독서ㆍ문화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ㆍ문화프로그램은 코비드-19 확산에 따른 영향으로 예년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표 6. 성남시 작은도서관 독서ㆍ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
항목 실시 실시하지 않음 합계
성남시 관수 % 관수 % 관수 %
55 44.7 68 55.3 123 100.0
공립 11 36.7 19 63.3 30 100.0
사립 44 47.3 49 52.7 93 100.0
Download Excel Table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에서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도서관의 운영은 인적 자원인 직원과 자원봉사자의 전문성 및 운영 의지 등에 따라 좌우됨에도 불구하고, 최근 3년(2018~2020년) 동안 성남시 작은도서관 인적 자원 현황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2020년 기준 사서 직원이 있는 공립작은도서관은 15개관(50%)이며, 사립작은도서관은 8개관(8.6%)에 불가하다. 이에 인력 지원에 따른 방안으로 운영 의지 및 활성화 정도 등을 고려하여 단계적 지원 방안과 순환 인력 지원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2020년 기준 공공도서관과 연계협력을 위한 상호협력망을 구축하고 있는 작은도서관은 31개관(25.2%)에 불과하며, 상호대차를 이용하고 있는 작은도서관도 23개관(18.7%)에 불가하다. 공공도서관의 자료 및 정보서비스의 공동 활용을 위해 상호협력망 운영 인력 확보와 필요한 시설 및 장비 등의 마련을 마련과 함께 공공-작은도서관 간 상호협력망 구축의 확대 추진이 필요하다.

Ⅳ.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 및 인식 분석

1. 주민 및 이용자 이용 행태 및 인식 분석

본 조사는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와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남시 거주 주민 및 작은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사 내용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작은도서관에 대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전자는 성별, 연령, 직업, 거주지 등의 보편적 내용을 조사하였고, 후자는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 작은도서관 이용 만족도, 작은도서관 운영방향 요구 및 정책 의견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기간은 2021년 5월~6월에 약 50일간 진행하였고, 응답자 수는 382명이다. 조사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남시 도서관 홈페이지 및 작은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와 오프라인 조사를 병행하였다.

1) 인구통계학적 분석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여성 응답자(83%)의 비율이 남성 응답자(17)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나이는 40대(38.7%), 50대(20.6%), 30대(20.4%)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직업은 일반사무직(37.4%)과 주부(31.9%)가 다수로 나타났으며, 거주 지역 분석 결과 성남시 내 모든 지역의 응답자들이 골고루 참여하였으나, 분당구(43.5%) 중원구(29%) 수정구 (24.3%)순으로 응답률이 나타났다.

표 7.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자 일반 사항
구분 일반 사항
성별 여성(83%), 남성(17%)
나이 40대(38.7%), 50대(20.6%), 30대(20.4%)
직업 일반사무실(37.4%), 주부(31.9%), 대학(원)생(8.9%), 전문직(4.71%)
거주지 분당구(43.5%), 중원구(29%). 수정구(24.3%)
Download Excel Table
2)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와 관련해서는 코로나 상황을 반영하여 최근 3년 간의 이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응답자 중 최근 3년 간 작은도서관을 이용해 보았다는 응답은 50.3%, 이용하지 않았다가 40.3%로 응답하였으며,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는 이용과 비이용을 구분하여 작은도서관 이용 행태 결과를 분석하였다.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이용자는 작은도서관을 1개관을 주로 이용(72%)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말(18%) 이용보다 평일 이용(72%)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용빈도는 주 2~3회 이용(23%)가 가장 많고 월 1회 이용(20%)이 그 뒤를 이었으며, 1회 평균 이용시간은 1시간 미만(62%)로 나타났다. 주이용 시간은 평일 15-18시(31%)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평일 12-15시(27%)로 나타났으며, 이용 목적은 도서 대축 및 독서를 위해(69%)를 가장 많이 응답했다.

표 8.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자 이용 행태
구분 이용자 응답
이용 패턴
  • · 작은도서관 1개관만을 주로 이용(72%)

이용 빈도 및 1회 이용 시간
  • · 이용 빈도: 주 2~3회 이용(21%), 월 1회 이용(20%)

  • · 1회 평균 이용 시간: 1시간 미만(62%)

주이용 시간
  • · 평일 15-18시(31%), 평일 12시~15시(27%)

  • · 평일 주이용(75%), 주말 주이용(18%)

이용 목적
  • · 도서 대출 및 독서를 위해(69%), 자녀교육(6.2%)

주이용 자료
  • · 일반(성인)도서(42.7%), 아동도서(19.5%), 청소년도서(11.3%)

Download Excel Table

성남시 작은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 추가 질문을 통해 비이용 이유와 향후 이용에 대해 추가 질문을 하였으며, 향후 이용에 대해서는 향후 이용 의향과 이용 의향 이유와 비이용 의향 이유로 구성되었다.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비이용 이유는 바빠서 이용할 시간이 없어서(19.8%), 도서관까지의 거리가 멀어서(18.6%) 직장, 학교, 공공 등 다른 도서관 이용(16.7%)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향후 이용 의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8%가 향후 이용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용 의향의 이유로는 독서 및 자료 대출(59.4%), 문화프로그램 참여(25%)로 나타났다. 향후 비이용 의향에 대한 이유로는 바빠서 이용할 시간이 없음(22.3%)과 필요성을 못 느껴서(21%)가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표 9. 성남시 작은도서관 비이용 이유
구분 비이용자 응답
비이용 이유
  • · 바빠서 이용할 시간이 없어서(19.8%)

  • · 도서관까지의 거리가 멀어서(18.6%)

  • · 직장, 학교, 공공 등 다른 도서관 이용(16.7%)

향후 이용 의향
  • · 의향 있음(68%), 의향 없음(32%)

이용 의향 이유
  • · 독서 및 자료 대출(59.4%), 문화 프로그램 참여(25%)

비이용 의향 이유
  • · 바빠서 이용할 시간이 없음(22.3%), 필요성을 못 느껴서(21%)

Download Excel Table

성남시 작은도서관 서비스 이용도는 자료 대출, 정보서비스, 상호대차, 희망도서신청의 이용 빈도를 살펴보았으며, 서비스 만족도는 전반적인 만족도와 함께 도서관 이용, 환경 및 시설, 독서 문화 프로그램을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자는 도서관 서비스에 대해 모든 항목에서 이용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료 대출과 상호대차 서비스의 이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표 10. 성남시 작은도서관 서비스 이용도
구분 서비스 이용도
자료 대출
  • · 매우 그렇다(35.2)%, 그렇다(30%), 보통이다(27.9%)

정보서비스 이용 빈도
  • · 보통이다(38.3)%, 그렇다(18.1%), 그렇지 않다(16.1%)

상호대차 서비스 이용 빈도
  • · 매우 그렇다(33.7%), 보통이다(22.8%), 그렇다(19.7%)

희망도서신청 이용 빈도
  • · 보통이다(31.6%), 그렇다(18.7%), 보통이다(18.7)%)

Download Excel Table

이용자들은 자료와 관련된 만족도에서 인쇄 자료와 자료의 최신성은 만족하는 편이나, 비도서 자료와 전자 자료는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과 관련된 만족도는 직원의 전문성과 친절도에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이용 규정과 검색의 편리성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 만족도
구분 이용 만족도
인쇄 자료
  • · 보통이다(40.9)%, 그렇지 않다(24.4%), 그렇다(20.2%)

비도서 자료
  • · 그렇지 않다(35.2)%, 보통이다(34.7%), 전혀 그렇지 않다(19.1%)

전자 자료
  • · 그렇지 않다(36.8)%, 보통이다(31.6%), 전혀 그렇지 않다(22.3%)

자료의 최신성
  • · 보통이다(42.5)%, 그렇지 않다(20.2%), 그렇다(18.6%)

이용 절차
  • · 보통이다(33.2)%, 그렇다(32.1%), 매우 그렇다(22.8%)

검색의 편리성
  • · 그렇다(36.3)%, 보통이다(25.9%), 매우 그렇다(16.6%)

이용 규정
  • · 그렇다(41.5)%, 매우 그렇다(25.4%), 보통이다(24.3%)

직원의 전문성
  • · 그렇다(34.7)%, 보통이다(31.1%), 매우 그렇다(20.7%)

직원의 친절도
  • · 매우 그렇다(39.4%), 그렇다(33.2)%, 보통이다(18.7%)

Download Excel Table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서비스 환경 및 시설 만족도는 교통의 편리성, 운영 시간의 적절성, 도서관 관리, 도서관 청결도, 냉난방 시설 가동, 조명 밝기, 자리 배치 및 공간을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자는 교통의 편리성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교통, 운영 시간, 공간, 도서관 전반적인 관리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표 12. 성남시 작은도서관 서비스 환경 및 시설 만족도
구분 환경 및 시설 만족도
교통의 편리성
  • · 매우 그렇다(37.8%), 그렇다(29.5)%, 보통이다(23.8%)

운영 시간의 적절성
  • · 그렇다(45.1%), 매우 그렇다(24.35%), 보통이다(18.13%)

도서관 관리
  • · 그렇다(37.8%), 매우 그렇다(30.6%), 보통이다(23.8%)

공간의 편의성
  • · 그렇다(37.3%), 매우 그렇다(30.6%), 보통이다(19.7%)

도서관 청결도
  • · 그렇다(35.6%), 매우 그렇다(33.2%), 보통이다(22.8%)

냉난방 시설 가동
  • · 그렇다(38.3%), 매우 그렇다(32.6%), 보통이다(22.3%)

조명 밝기
  • · 그렇다(39.4%), 매우 그렇다(28.5%), 보통이다(25.4%)

자리 배치 및 공간
  • · 그렇다(34.1%), 보통이다(32.6%), 매우 그렇다(15.6%)

Download Excel Table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자의 독서문화 프로그램 이용 빈도에 대한 응답은 이용해 본 적 없음(30.6%)과 거의 이용하지 않음(26.9%)이 높게 나타나 이용 빈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비이용 이유에 대한 문항에 대해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39.1%)와 함께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알지 못해서(21.1%), 관심 주제의 프로그램이 없어서(11.7%)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운영 고려사항 문항에서는 독서활동 지원 및 독서교육 프로그램(33.8%), 문화활동 관련 프로그램(21.4%)이 높게 나타났다.

표 13. 성남시 작은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만족도
구분 독서문화 프로그램 만족도
이용 빈도
  • · 이용해 본 적 없음(30.6%), 거의 이용하지 않음(26.9%),

  • · 가끔 이용함(26.9%)

비이용 이유
  • ·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39.1%), 어떤 프로그램이 있는지 알지 못해서(21.1%), 관심 주제의 프로그램이 없어서(11.7%)

프로그램의 다양성
  • · 그렇다(52.4%), 보통이다(20.7%), 매우 그렇다(15.9%)

구성 및 내용의 충실성
  • · 그렇다(37.8%), 매우 그렇다(20.7%), 보통이다(17.1%)

프로그램 홍보
  • · 그렇다(40.2%),보통이다(30.5%), 매우 그렇다(17%)

운영 시설
  • · 그렇다(45.1%), 보통이다(26.8%), 매우 그렇다(14.6%)

이용자 요구 반영
  • · 그렇다(37.8%), 보통이다(29.2%), 매우 그렇다(24.4%)

타 기관과의 차별성
  • · 보통이다(34.2%), 그렇다(29.3%), 매우 그렇다(19.6%)

프로그램 수준 및 전문성
  • · 그렇다(39%), 보통이다(29.2%), 매우 그렇다(22%)

프로그램 고려사항
  • · 독서활동 지원 및 독서교육 프로그램(33.8%)

  • · 문화활동 관련 프로그램(21.4%)

  • · 평생교육 활성화 및 지원프로그램(18.1%)

  • · 지역사회 교류 및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15.7%)

Download Excel Table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만족도는 만족(40%), 보통(33.8%), 매우 만족(18.1%)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추후 작은도서관 이용 추천 의향에 대한 항목에 대해서는 그렇다(40.9%), 매우 그렇다(27.6%), 보통이다(22.9%)로 나타나 지속적인 작은도서관 이용에 대한 의사를 나타냈다. 성남시 작은도서관에 불만족 이유로는 원하는 자료를 구할 수 없어서(38.5%), 독서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아서(23%)로 나타났다.

표 14.
구분 만족도
전반적인 만족도
  • · 만족(40%), 보통(33.8%), 매우 만족(18.1%)

불만족 이유
  • · 원하는 자료를 구할 수 없어서(38.5%)

  • · 독서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아서(23%)

도서관 이용 추천 의향
  • · 그렇다(40.9%), 매우 그렇다(27.6%), 보통이다(22.9%)

Download Excel Table

향후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 방향 요구 및 정책에 대해 주요 고려 대상은 어린이(40.3%), 일반성인(24.1%), 청소년(14.1%)으로 나타났고, 중점 수행 역할로는 독서활동 지원 및 독서 프로그램 운영(28.3%), 필요한 정보 제공(20.7%)이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성남시 작은도서관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20.4%)과 도서관 시설 등 환경 개선(17.3%), 도서관 자료의 증대(16.7%)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표 15.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 방향 및 정책 의견
구분 운영 방향 및 정책 의견
주요 고려 대상
  • · 어린이(40.3%), 일반성인(24.1), 청소년(14.1%)

중점 수행 역할
  • · 독서활동 지원 및 독서 프로그램 운영(28.3%)

  • · 필요한 정보 제공(20.7%)

  • · 문화 활동을 누릴 수 있는 기회 제공(19.1%)

정책 방향
  • ·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20.4%)

  • · 도서관 시설 등 환경 개선(17.3%)

  • · 도서관 자료의 양적 증대(16.8%)

Download Excel Table

성남시 거주 주민 및 작은도서관 이용자들의 이용 행태 및 인식 분석에서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도서관의 주 이용 목적은 도서 대출 및 독서이며, 자료 대출 서비스 이용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자료와 관련된 만족도에서 인쇄 자료와 자료의 최신성은 만족하였으나 비도서 자료와 전자 자료는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도서 자료와 전자 자료를 포함한 다양한 자료를 통한 정보 제공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향후 작은도서관이 중점적으로 수행하기를 기대하는 역할에 대해 독서 활동 지원 및 독서프로그램운영(22.64%)과 문화 활동 기회 제공(15.58%)의 응답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독서ㆍ문화프로그램의 이용률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에 성남시 작은도서관은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및 지원을 통해 독서문화 활동의 공간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2.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자 인식 조사
1) 인구통계학적 특징

설문에 응답한 도서관은 분당구(47개관), 중원구(36개관), 수정구(28개관)에 고르게 위치하고 있으며, 작은도서관의 주이용자는 어린이(33.6%), 성인(31.8%), 영유아(13.8%), 어르신(8.9%)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운영예산은 인건비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도서구입비, 프로그램 운영비로 나타났으며, 모든 공립도서관의 운영 예산은 연 2,001만 원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사립작은도서관은 연 500만 원 이하가 46.5%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표 16. 성남시 작은도서관 일반 사항
구분 일반 사항
도서관 위치
  • · 분당구 47개관, 중원구 36개관, 수정구 28개관

  • · 분당구(공립 9개관, 사립 38개관)

  • · 중원구(공립 8개관, 사립 28개관)

  • · 수정구(공립 8개관, 사립 20개관)

주이용자
  • · 어린이(초등33.6%), 일반(성인31.8%), 영유아(13.8%), 어르신(8.9%) 순으로 나타남

운영예산 (인건비, 운영비, 자료구입 포함)
  • · 공립: 연 2001만 원 이상 100%로 나타남

  • · 사립: 연 500만 원 이하(46.5%), 연 1,001만 원~2,000만 원 이하(19.77%), 연 501만 원~1,001만 원(18.60%)로 높게 나타남

예산 주요 항목
  • · 공립: 인건비(48%), 도서구입비(24%), 프로그램운영비(16%)

  • · 사립: 프로그램운영비(32.56%), 도서구입(22.09%), 인건비(18.6%)

Download Excel Table
2) 운영 중요 요소와 활성화 방안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 중요 요소를 살펴보기 위하여 인력, 예산 지원, 공간 및 환경을 살펴보았으며,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 법ㆍ제도, 활성화 방안에 대해 조사하였다.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운영자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공립에 비해 사립이 운영의 어려움을 느끼는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작은도서관 운영인력(사서, 전담 운영자, 자원봉사자)과 작은도서관 운영의 관련성이 높다고 나타났으며, 공립에 비해 사립이 운영 관련성에 대해 월등히 높게 응답하였다. 예산과 작은도서관의 관련성은 공ㆍ사립 모두 매우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국가 및 시의 지원과 작은도서관 운영의 관련성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는 응답은 사립이 72.1%로 높게 나타났다. 사립은 지역공동체와 작은도서관 운영의 관련성이 높다고 응답하였으며, 공립은 도서관 주변 환경과 운영 관련성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운영 교육과 관련해서는 공ㆍ사립 모두 연관성이 높다고 응답하였으며, 사립의 경우 법ㆍ제도와 작은도서관의 연관성이 많다고 응답하였다. 활성화 방안으로는 공ㆍ사립 모두 1순위로 예산확보, 2순위로 운영인력 보충을 꼽았으며, 3순위로 공립은 전문교육, 사립은 장서 확충을 응답하였다.

표 17.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 중요 요소와 활성화 방안
구분 운영 중요 요소와 활성화 방안
운영 시 어려움
  • · 공립: 매우 그렇다(8%), 그렇다(56%), 보통(20%)

  • · 사립: 매우 그렇다(32.6%), 그렇다(44.2%), 보통(19.8%)

사서의 부재와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8%), 그렇다(56%), 보통(20%)

  • · 사립: 매우 그렇다(32.6%), 그렇다(44.2%), 보통(19.8%)

전담 운영자와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8%), 그렇다(56%), 보통(20%)

  • · 사립: 매우 그렇다(32.6%), 그렇다(44.2%), 보통(19.8%)

자원봉사자와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24%), 그렇다(44%), 보통(20%)

  • · 사립: 매우 그렇다(40.7%), 그렇다(38.3%), 보통(16.3%)

예산과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68%), 그렇다(32%)

  • · 사립: 매우 그렇다(68.6%), 그렇다(26.7%)

국가 및 시의 지원과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48%), 그렇다(48%)

  • · 사립: 매우 그렇다(72.1%), 그렇다(16.3%), 보통(10.5%)

공간과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44%), 그렇다(48%)

  • · 사립: 매우 그렇다(59.3%), 그렇다(32.6%)

지역공동체와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24%), 그렇다(52%), 보통(24%)

  • · 사립: 매우 그렇다(47.7%), 그렇다(37.2%), 보통(11.6%)

프로그램 운영과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40%), 그렇다(32%), 보통(28%)

  • · 사립: 매우 그렇다(33.7%), 그렇다(40.7%), 보통(22%)

홍보와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40%), 그렇다(52%), 보통(8%)

  • · 사립: 매우 그렇다(41.9%), 그렇다(38.3%), 보통(18.6%)

도서관 주변 환경과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44%), 그렇다(44%), 보통(12%)

  • · 사립: 매우 그렇다(18.6%), 그렇다(48.8%), 보통(29%)

행정업무처리와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24%), 그렇다(36%), 보통(36%)

  • · 사립: 매우 그렇다(30%), 그렇다(42%), 보통(20%)

운영 관련 교육과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20%), 그렇다(52%), 보통(28%)

  • · 사립: 매우 그렇다(21%), 그렇다(38%), 보통(36%)

법·제도와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16%), 그렇다(56%), 보통(28%)

  • · 사립: 매우 그렇다(34%), 그렇다(30%), 보통(33%)

이용률과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성
  • · 공립: 매우 그렇다(28%), 그렇다(60%), 보통(12%)

  • · 사립: 매우 그렇다(35%), 그렇다(45%), 보통(19%)

활성화 방안
  • · 공립 : 1순위(예산확보), 2순위(운영인력보충), 3순위(전문교육)

  • · 사립 : 1순위(예산확보), 2순위(운영인력보충), 3순위(장서확충)

Download Excel Table
3) 성남시 작은도서관 협력 사항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협력 사항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역 내 협력기관, 공공도서관, 작은도서관과의 협력 사항을 조사하였다. 도서관을 제외한 지역 내 협력 기관으로는 행복복지센터가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복지회관, 교회, 지역 아파트 등과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내 작은도서관과의 협력은 공립은 60%, 사립은 47.7%가 협력하고 있으며, 협력 사항은 공ㆍ사립 모두 도서관 운영정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립은 독서문화프로그램정보, 사립은 멘토-멘티 협업이 그다음 순위였다. 관내 공공도서관과는 공립의 88%, 사립의 54.6%가 협력하고 있으며, 협력 사항은 공립은 문화프로그램과 도서 지원, 사립은 도서 지원과 순회 사서로 차이점을 보였다.

표 18. 성남시 작은도서관 협력 사항
구분 협력 사항
지역 내 협력 기관
  • · 공립: 행복복지센터(36%), 복지회관(24%), 기타

  • · 사립: 기타(50%), 지역아파트(20.9%), 청소년수련관(11.63%)

  • · * 기타사항 : 교회(16%), 지역아동센터(9.2%) 등

성남 내 작은도서관과의 협력
  • · 공립: 협력함(60%) 협력하지 않음(40%)

  • · 사립: 협력함(47.7%) 협력하지 않음(52.3%)

작은도서관과의 협력 사항
  • · 공립: 도서관운영정보(47%), 독서문화프로그램정보(27%)

  • · 사립: 도서관운영정보(44%), 멘토-멘티협업(27%)

성남 내 공공도서관과의 협력
  • · 공립: 협력함(88%) 협력하지 않음(12%)

  • · 사립: 협력함(54.6%) 협력하지 않음(45.4%)

공공도서관과의 협력 사항
  • · 공립: 문화프로그램(50%), 도서지원(25%)

  • · 사립: 도서지원(46.2%), 순회사서(22.4),문화프로그램지원(16.4%)

Download Excel Table
4) 운영 방향 요구 및 정책 의견

성남시작은도서관의 역할과 중심 수행 역할에 있어 공립은 생활밀착형도서관 서비스를, 사립은 생활문화복합공간으로 가장 높게 응답하였으며, 향후 작은도서관의 수행 역할에 있어 공립은 도서 및 정보제공, 사립은 복합생활공간의 역할을 수행해야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향후 성남시 작은도서관 추진 정책과 관련하여 공립은 독서프로그램 제공, 사립은 예산 확대를 나타냈으며, 향후 성남시 공공도서관 추진 정책으로는 공사립 모두 독서프로그램 운영과 평생 교육을 가장 많이 요구했다. 현재 특성화 운영 여부는 공사립 모두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향후 도서관 자료의 특성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보통의 응답이 가장 높았고, 이용대상 특성화의 필요성은 공립과 사립 모두 매우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표 19. 향후 작은도서관 운영 방향 요구 및 정책 의견
구분 운영 방향 및 정책 의견
작은도서관의 역할
  • · 공립: 생활밀착형도서관서비스(44%), 생활문화복합공간(36%)

  • · 사립: 생활문화복합공간(36%), 지역공동체중심역할(27.9%)

중심 수행 역할
  • · 공립: 생활밀착형도서관서비스(44%), 생활문화복합공간(32%)

  • · 사립: 생활문화복합공간(39.5%), 지역공동체중심역할(23.2%)

향후 수행 역할
  • · 공립: 도서및정보제공(34%), 독서문화프로그램운영(26%)

  • · 사립: 복합생활공간(27.3%), 도서및정보제공(18.6%)

향후 성남시 작은도서관 추진 정책
  • · 공립: 1순위(독서프로그램제공 49%), 2순위(예산확대 26%)

  • · 사립: 1순위(예산확대29%), 2순위(평생교육11.7%),(지역주민교류11.7%)

향후 성남시 공공도서관 추진 정책
  • · 공립: 1순위(독서프로그램운영 20%), 2순위(평생교육 16%)

  • · 사립: 1순위(독서프로그램운영 20%), 2순위(평생교육 16%)

특성화 (이용자 및 자료) 운영 여부
  • · 공립: 그렇지 않다(48%), 그렇다(20%)

  • · 사립: 그렇지 않다(32.6%), 그렇다(27.9%)

자료 특성화 필요성
  • · 작은도서관 운영시 행정업무처리는 연관성이 많다고 응답함

  • · 공립: 보통(32%), 그렇다(28%), 그렇지 않다(28%)

  • · 사립: 보통(32%), 그렇다(28%), 그렇지 않다(28%)

이용대상 특화 필요성
  • · 작은도서관 운영시 행정업무처리는 연관성이 많다고 응답함

  • · 공립: 매우 그렇다(24%), 그렇다(36%), 보통(36%)

  • · 사립: 매우 그렇다(30%), 그렇다(42%), 보통(20%)

Download Excel Table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자 인식 조사 분석에서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도서관 운영과 관련하여 공립과 사립의 차이점이 나타났으며, 사립이 공립에 비해 운영의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예산에 대한 관련성은 공립과 사립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과 관련한 운영 중요 요소에서 사서의 부재와 자원봉사자 항목이 사립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작은도서관의 재정 확보와 운영 인력 확충에 대한 필요성을 나타낸다.

둘째,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은 향후 성남시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이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독서프로그램과 예산 확대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성남시 작은도서관 정책은 도서관 예산 확대 방안을 주요한 정책으로 논의해야 하며, 지역 주민이 교류하고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3.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분석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의 신뢰성 향상과 전문성 확보를 위하여 작은도서관 분야의 전문가 및 활동가를 대상으로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표적집단인터뷰 진행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참여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최대한 자유롭게 진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관련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질문을 구성하였다.

표적집단인터뷰에 참여하는 작은도서관 전문가 및 활동가 집단은 ① 성남시 작은도서관 관련 기관 근무자 또는 작은도서관 관련 단체 근무자 ② 성남시 작은도서관 정책 관련 업무를 경험한 자 ③ 성남시 작은도서관 활성화와 관련하여 자문을 경험한 적 있는 자로 조건 중 두 가지 이상을 충족하는 연구 참여자 11명을 선정하여 2회에 걸쳐 대면으로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표적집단인터뷰 진행 개요와 주요 질문은 표와 같다.

표 20. 표적집단인터뷰(FGI) 진행 개요
구분 작은도서관 운영자와 이용자, 성남시 작은도서관 관계자
일시 2021년 6월 21일(월) 10:00 ~ 11:30, 2021년 8월 18일(수) 10:00~11:30
장소 성남시 중앙도서관 독서치료실
조사 방법 대면 포커스 그룹 인터뷰
조사 대상
  • · 성남시 작은도서관 운영자 6인

  • · 성남시 작은도서관 이용자 2인

  • · 성남시 작은도서관 정책관련 담당자 및 자문위원 3인

조사 내용
  1. (만족사항) 가장 만족도가 높은 작은도서관 운영/정책 분야

  2. (애로사항) 작은도서관 운영 및 정책 중 애로사항과 문제점

  3. (개선과제) 가장 개선이 필요한 운영 및 정책 분야 및 이유

  4. (차별화 전략) 가장 주요하게 추진해야 할 정책과 차별화해야 할 부분

  5. (정책 추진 방향) 향후 지향해 나가야 할 정책 비전/방향

Download Excel Table

2회에 걸쳐 진행된 표적집단 인터뷰를 통해 제시된 주요 내용을 조사 내용인 만족사항, 애로사항, 개선과제, 차별화 전략, 정책 추진 방향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만족사항과 관련하여 도서 지원과 운영비 지원의 이원화, 보조금 지원을 위한 필수 운영 시간 지정(일 4시간~6시간), 공공도서관 연계 협력, 공ㆍ사립 작은도서관 운영자를 위한 교육 운영, 멘토링 사업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둘째, 애로사항과 관련하여 신생 작은도서관 지원 마련, 세분화된 교육의 필요성, 상근자에 대한 지원, 순회 사서 확대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셋째, 개선과제와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홍보 확대, 독서문화 프로그램의 확대, 자원봉사자 교육, 순회 사서의 지속적 운영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넷째, 차별화 전략 및 정책 추진 방향과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네트워크 마련, 작은도서관 협의체 마련, 공공도서관과의 연계 서비스 강화, 우수도서관 선정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를 정리한 내용은 <표 21>과 같다.

표 21. 표적집단인터뷰(FGI) 내용 요약
질문 항목/내용 의견 사항
1. (만족사항)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정책 중 가장 만족도가 높은 분야 및 유지/계승해야 할 부분
  1. 작은도서관 운영비 지원으로 안정적 운영 기반 마련함

  2. 도서 지원을 도서관별 상황에 맞춰서 시기/주기 선택 가능

  3. 사립 5개 도서관에서 시범적으로 실시 중인 상호대차 서비스 덕분에 신규회원 가입 및 이용자 증가함. 상근

  4. 인력 파견으로 운영 시간 연장됨. 참여 확대 및 안정적 인력 지원 바람.

  5. 성남시 작은도서관 워크숍, 도서관학교, 멘토링 사업의 지속 및 확대 운영 바람

2. (애로사항)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정책 중 애로사항과 문제점
  1. 신규도서관에 대한 도서 및 운영 지원 바람

  2. 운영자 대상 교육이 형태/상황별로 세분화/다양화 필요함

  3. 작은도서관 간담회를 통한 주기적 교류와 소통 필요

  4. 작은도서관 협의회에 대한 안내/홍보 및 지원 필요

  5. 작은도서관 D, E 등급의 별도 지원으로 도약 기회 주길 바람

  6. 사립작은도서관의 상근 인력의 지원이 필요함

  7. 보조금 지원 비율을 운영 주체/상황에 따라 탄력적 적용 바람

3. (개선과제)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정책에서 가장 개선이 필요한 분야 및 이유
  1. 공공도서관의 주변 작은도서관 홍보 및 지도 게시 바람

  2. 작은도서관의 “한 책 읽기” 사업을 시 지원사업으로 추진 바람

  3. 전문인력 확보도 필요하지만 기존 봉사자에 대한 지원 필요함

  4.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의 활동과 의욕 고취 방안의 마련이 필요함

  5. 지역에 남아 지속적으로 활동할 인력이 필요함

4. (차별화 전략) 성남시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정책 중 가장 주요하게 추진해야 할 정책과 차별화해 나가야 할 부분
  1. 시 자원/재원은 적고 작은도서관의 수는 많으므로 정해진 규칙대로 지원금을 사용해야 함

  2. 자체 재원 마련을 위해 작은도서관 후원금, 기부금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지역 내 공적인 공간 및 소통창구 필요함

  3. 작은도서관 정책 관련 협의체가 필요함

5. (정책 추진 방향) 작은도서관의 발전을 위해 향후 지향해 나가야 할 비전/방향
  1. 작은도서관의 정책, 계획을 함께 논의할 수 있는 구조 필요

  2. 작은도서관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뚜렷한 정책과 지원 방향성이 필요함

  3. 작은도서관이 각자 색깔을 낼 수 있는 시스템이 되었으면 함

  4. 기존 사립작은도서관을 공립 수준으로 활용하는 정책 필요

  5. 사립, 공립이 협력하고 함께 할 수 있는 정기적인 기회 필요

  6. 성남시 인증 우수 작은도서관 선정을 통해 주민에게 도서관의 역할을 알리고 운영자의 자부심을 고취하면 좋겠음

  7. 성남시 관내 대학생들과 연계하는 프로그램 적극 활용 필요하며, 이를 위한 시 차원의 지원 필요

Download Excel Table

Ⅴ. 결론 및 제언

작은도서관은 지역 주민이 친숙하고 편리하게 접근하는 문화공간이다. 지역 주민의 가장 가까이에서 독서활동을 추진하고 정보 제공, 독서문화 서비스의 제공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복합문화시설로 발돋움하고 있다. 특히 성남시는 123개의 작은도서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공립작은도서관을 운영하고 있어 작은도서관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활성화하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남시 거주 주민 및 이용자와 운영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표적집단인터뷰를 진행하여 이용 행태를 분석하고 인식을 조사ㆍ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도서관 재정 확보와 운영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 작은도서관 예산과 운영은 관련성이 매우 높다. 성남시의 작은도서관 운영비 지원은 기존 작은도서관들의 안정적인 운영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나 신규 도서관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현실이며, 인력 운영 및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재정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작은도서관의 운영에 있어 핵심적인 주제가 되는 인력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자원봉사자 교육, 순회 사서 지원 확대, 전담사서 배치 등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작은도서관은 정보 제공과 함께 독서문화 및 평생교육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성남시민과 작은도서관 이용자들은 향후 작은도서관이 중점적으로 수행하기 기대하는 역할로 독서활동 지원 및 독서 프로그램 운영과 문화활동을 누릴 수 있는 기회 제공을 높게 요구하고 있으며,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은 시에서 가장 중요하게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다양한 독서문화 프로그램 제공 지원을 꼽고 있다. 이에 작은도서관은 정보 제공과 함께 다양한 독서문화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을 통해 평생교육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해관계자들이 작은도서관 정책, 계획 등 의견을 교류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 성남시 작은도서관들의 협력 사항을 살펴보면 운영 주체에 따라 협력 기관과 사항이 다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긴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협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역사회와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은 서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주기적인 교류가 필요하며, 작은도서관 정책과 발전 방안을 논의할 구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이해관계자들은 작은도서관 정책, 계획 등의 논의를 위해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작은도서관의 내실있는 운영을 위해서는 법제도와 정책 연구는 물론, 실제적인 이용행태와 인식, 요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은 꾸준하게 연구되고 보완될 필요가 있다. 작은도서관 이용행태 및 인식 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이 기초 및 광역자치단체의 적극적인 활용 및 우수작은도서관 사례 발굴의 기반으로 작은도서관 자생력 강화의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

Notes

1) 도서관법 제2조에서 정의한 도서관을 대상으로 1년 단위로 8개 영역(도서관 기본자료, 소장자료, 시설 및 설비, 인적자원, 예산현황, 이용 및 이용자, 장애인 및 어린이서비스, 전자서비스)의 도서관 현황을 조 사는 국가도서관통계서비스(https://www.libsta.go.kr).

참고문헌

1.

김보일(2018),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권 1호, 5-34.

2.

김보일ㆍ김홍렬ㆍ이보라(2020),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7권 3호, 157-175.

3.

문화체육관광부 (2019), 「작은도서관 정책 연구 결과 보고서」, 세종 : 문화체육관광부.

4.

문화체육관광부 (2021), 「2020년도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및 운영평가 결과보고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5.

안인자ㆍ윤소영ㆍ차성종(2011), 작은도서관 통계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42권 4호, 375-398.

6.

이보라ㆍ김미란 (2018), 「작은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을 위한 인식 연구. 작은도서관을 들여다보다: 2017 작은도서관 정책연구 보고서」, 서울: 어린이와 작은도서관협회, 469-492.

7.

조미아ㆍ변현주ㆍ김보일 (2013), 운영진단을 통한 유형별 작은도서관 사례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권 2호, 293-314.

8.

최만호ㆍ노영희ㆍ장로사ㆍ김윤정(2020), 경기도 작은도서관 조례 분석 및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51권 2호, 187-212.

9.

Swan, D. W., Grimes, J., & Owens, T.(2013), The state of small and rural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Brief, 5, 1-13.

1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Report on the results of a small library policy study,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1), Report on operation status and evaluation of operation of small libraries in 2020.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2.

Ahn, I. J., Yoon, S. Y., & Cha, S. J.(2011), A study to improve the statistical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375-393.

13.

Choi, M. H., Noh, Y. h., Chang, R. S., & Kim, Y. J.(2020), A study on the analysis and direction for revision of the small library ordinance in Gyeonggi-do.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2), 187-212.

14.

Cho, M. A., Byeon, H. J. & Kim, B. I.(2013), A case study on measures to revitalize small libraries of the type through operational diagnosit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2), 293-314.

15.

Kim, B. I., Kim, H. R., & Lee, B. R.(2020), A study on the policy for the activation of smal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7(3), 157-175,

16.

Lee, B. R., & Kim, M. R.(2018), A study on recognition for developing a cooperation model for small and public libraries. 2017 Small Library Policy Research Report, Look into a Small Library, 469-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