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육아기 여성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 육아부담이 문화예술관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계층의 조절 효과*

김두이1, 김상훈1,*
Dooiee Kim1, Sang-Hoon Kim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객원연구원
2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1Visiting Researcher, Institute of Management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2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Corresponding author :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E-mail: profkim@snu.ac.kr

© Copyright 2019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Dec 24, 2018; Revised: Mar 07, 2019; Accepted: Mar 07, 2019

Published Online: May 31, 2019

국문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육아기 여성들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문화예술향유에 있어 육아부담과 계층 요인, 즉, 소득과 학력, 지역규모의 조절 효과를 검토했다. 이때 문화예술향유는 관람하는 문화예술의 양과 다양성을 통해 관찰했다. 여기서 ‘양’은 향유한 모든 문화예술관람 빈도의 총합을 뜻한다. 다양성은 관람한 문화예술 장르의 수를 나타내는 ‘가짓수’, 각 장르를 얼마나 균등한 분포로 향유했는지 나타내는 ‘균등성’, 그리고 관람한 문화예술장르들이 속한 위계의 수를 나타내는 ‘혼종성’을 통해 관찰했다. 이를 위해 2016년 문화향수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 육아부담은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를 감소시켰다. 또한 계층 요인들의 조절효과를 검토한 결과, 육아부담이 가중되는 조건에서는 소득과 거주지역의 규모에 따라 문화예술관람의 격차가 뚜렷이 나타났다. 즉, 소득수준이 낮은 여성은 육아부담이 가중될수록 문화예술관람 가짓수가 현격히 감소했다. 반면 소득수준이 높은 여성들은 육아부담이 증가해도 문화예술관람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규모가 작은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들은 육아부담이 가중될수록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 균등성이 감소했으나, 규모가 큰 지역에 사는 이들은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여성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 문제에 있어 육아부담과 계층의 역할을 관찰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inequality of cultural consumption in Korea among women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6. Specific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cultural consumption among women with the burden of childcare. Cultural consumption is measured in two dimensions – the quantity and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here, quantity is the ‘frequency’ of each cultural consumption activity. Diversity consists of three metrics -- ‘number of types’ indicating the number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ies, ‘equality’ indicating the uniformness in the distribution over the frequency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ies, and ‘hybridity’ indicating the heterogeneity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ies across cultural boundaries. We use the data of 2016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for our analysis.

The analysis shows that childcar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quantity and the number of the types of the consumed cultural activity. Further analysis also discovered two moderators between cultural consumption with the children burden as the size of resident city and level of income. Specifically, when the childcare burden increases, the lower income group has a significantly less number of type of cultural consumption than the higher income group. Moreover, when the childcare burden increases, the smaller resident city group has a significant low quantity, number of types, and equality of cultural consumption than larger resident city group. A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we presen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cultural consumption among women with the burden of childcare. We also provid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 to resolving the cultural inequalities among women in Korea.

Keywords: 문화예술향유 다양성; 육아부담; 여성; 옴니보어; 계층
Keywords: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childcare burden; women; omnivore; social-economic status

Ⅰ. 서론

문화예술 시장 내 여성 소비자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라이브 콘서트와 뮤지컬의 여성 예매자 비율은 70%를 넘어섰고, 전통적으로 남성 관객 위주의 장르로 알려진 록페스티벌이나 누아르 액션 영화에까지 20, 30대 여성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1) 주요한 문화 세력으로서 ‘여덕(여성덕후)’ 혹은 ‘여성팬덤’ 등 특정 장르나 아티스트를 열성적으로 좋아하는 여성 소비자에 대한 논의도 심심찮게 들려온다.

적극적인 문화예술향유의 주체로서 여성이 등장한 것은 일견 긍정적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풍(女風)의 주체가 과연 여성 전체를 뜻할까? 물론 교육 수준 향상과 사회 참여 증대로 여성들의 문화예술향유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은 사실이다(양정혜, 2007; 김현지·이철원·임진선, 2012). 그러나 여성은 결혼과 임신, 출산 등 생애주기에 따라 역할 비연속성(role discontinuity)이 크며,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생활양식의 차이가 심하다(Kline, 1975). 문화 소비자로서 여성 역시 이러한 격차에 따라 향유하는 문화예술의 폭과 깊이가 상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우리 사회 여성의 문화예술향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일한 범주의 ‘여성’이 아닌, 여성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집단의 차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즉, 평균 양적 접근이 아닌 다양한 사회적 분절선에 따른 불평등(inequality)한 분배 구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물론 한정된 자원의 제약 조건에서 모든 여성이 동일한 수준의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이 보이지 않는 제약에 의해, 집합적인 현상으로 고착화한다면 장기적으로는 문화생태계의 균형 있는 성장이 저해될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 여성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에 관한 논의는 아직 소수에 불과하다(오미란, 2009). 이는 문화예술향유 불평등에 대한 논의 자체가 풍성하지 않은 상황에서 여성이라는 특정성별 내 격차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성, 특히 이들의 생애주기 중 ‘육아기’는 문화예술향유격차 문제에 있어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육아기 여성들에게 있어 문화예술향유는 사회적 책무가 아닐 뿐더러 육아와 같이 사회적 요구도 뚜렷하지 않아 자원 배분의 우선순위를 차지하기 어려운 활동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육아기 여성들이 육아와 문화예술향유를 병행하는 대처 전략에는 이들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차이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육아기 여성은 자녀의 생애 최초 문화향유 경험을 결정하는 전달자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가 이론과 문화자본론에 따르면 생애 최초 문화향유 경험은 자녀의 이후 삶에서 여가 선택에 지속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본의 형태로 축적된다(Roberts, 2006; Bourdieu, 1984).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육아기 여성 간 문화예술향유 격차는 단순히 특정 젠더나 문화 영역의 문제를 넘어, 이후 세대의 불평등이 발현되고 재생산될 수 있는 분기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육아기 여성들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과 그 기제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의 육아기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육아부담과 문화예술향유불평등의 관계에 있어 계층 요인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때 계층은 소득과 학력, 그리고 지역규모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향유를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다양성의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관찰할 것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현대사회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더욱 다양한 범주의 문화를 포식적(omnivore)으로 향유한다(Peterson & Kern, 1996). 따라서 소득과 학력, 그리고 지역규모의 차원에서 상위 계층에 속한 여성들은 육아부담이라는 제약이 가중되어도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다양성 수준이 감소하지 않으나, 하위 계층에 속한 여성들은 육아부담이 가중될수록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다양성이 뚜렷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하에서는 먼저 문화예술향유불평등과 육아기 여성의 문화예술향유, 그리고 문화예술향유의 측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문화예술관람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통해 육아부담의 역할, 그리고 계층 요인들과 육아부담의 조절 효과를 관찰할 것이다. 4장에서는 분석 결과에 대한 요약과 시사점을 논의할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예술향유불평등

문화예술향유란 공연이나 전시 형태로 유통되는 문화예술 생산물을 직접 소비하거나(류태건, 2008; 김수현 등, 2013; Chan & Goldthorpe, 2007; Lopez-Sintas & Garcia-Alvarez, 2002), 이러한 문화예술을 즐기려는 의지나 선호 같은 태도(Bourdieu, 1984; Peterson, 2005)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2003년 60%대에 머물던 문화예술 관람률이 2016에는 약 80%에 이르는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6). 특히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것이 교육과 공동체 활성화를 비롯해 다양한 사회경제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사례들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양현미, 2007; 양혜원, 2012; 2014; Throsby, 1994; Towse, 2005). 이에 따라 다양한 국가에서 문화향유를 독려하는 정부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추세다.

그러나 이러한 전반적 성장과는 별개로 실제 문화향유수준에는 격차, 즉 불평등이 나타난다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여기서 문화예술향유격차, 혹은 문화예술향유불평등이란 사회경제적, 혹은 개인의 신체적 여건 등으로 인해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접근과 이용이 개인마다 다르게 작용하는 현상을 뜻한다(박용치, 2003). 실제로 2016년 문화향수실태조사에 따르면 소득과 지역에 따라 문화향유율의 차이가 뚜렷이 드러난다. 월소득 200만 원 이상 가구의 문화 관람률은 71%에 이르지만 100만 원 미만 가구는 31%에 머물렀고, 대도시의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은 81%이지만 읍면 지역은 65%에 불과하기 때문이다(문화체육관광부, 2016). 물론 한정된 비용과 시간 조건을 고려할 때 개인의 선호와 여건에 따라 여가 시간을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가 보이지 않는 요인에 따라 집합적인 현상으로 고착화하는 것에는 사회적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문화자본론은 문화향유격차에 사회적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근거를 사회적 불평등과 관련하여 설명했다(Bourdieu, 1984). 문화자본론에 따르면, 특정한 문화를 선호하고 즐기는 능력은 즉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취향과 능력, 즉 문화자본은 가정환경과 교육을 통해 은밀하고도 지속적으로 축적된다. 그리고 누적된 문화자본은 계급적 지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어 상류층 간 결속을 돕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문화자본은 사회적 특권을 차지하게 하고 경제자본으로 쉽게 전환된다. 그리고 이는 다시금 새로운 문화자본을 축적시키는 연쇄적인 순환 고리로 작동하게 된다(Bourdieu, 1984).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문화향유 격차는 단지 문화영역에서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보이지 않는 경로로 간주할 수 있다.

이후 1990년대 미국에서 제기된 옴니보어 가설(Omnivore hypothesis)은 문화자본론이 처음 소개되었던 1960년대 프랑스 사회와 비교해 계층별 문화향유의 양상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했다.2) 이들은 계급을 구별하는 특징이 더 이상 특정 문화에 대한 선호나 배척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방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Peterson & Kern, 1996). 즉, 사회경제적으로 높은 지위에 있는, 이른바 미국의 젊은 엘리트들은 고급문화뿐 아니라 대중문화를 아우르는 풍부한 문화 선집(portfolio)을 보유한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변화의 원인으로 지리적·사회적 이동의 증가, 관용적인 가치관의 등장, 그리고 혁신과 변화를 강조하는 새로운 예술 사조의 출현 등 다양한 가능성을 제기했다(Peterson & Kern, 1996; Van Eijck, 1999; 2001; Van Rees & Verhoord, 1999).

문화 취향과 계급 간 상동성을 강조한 문화자본론이나 문화 취향의 다양성에 대해 주목한 옴니보어 가설은 표면적인 차이가 존재하지만, 계층과 문화향유실천 방식이 서로 연동되어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특히 옴니보어 가설은 2000년 중반 이후 우리나라와 유럽을 비롯해 다양한 국가와 문화 영역, 방법론적 확산을 거듭하며 여전히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김수정·최샛별, 2018; 김두이·금현섭, 2018; 김은미·서새롬, 2011; 김은미·이혜미·오수연, 2012; 이호영·장미혜, 2008).

2. 육아부담과 문화예술향유불평등

2000년대 이후 문화예술향유격차에 대한 논의는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나, 대부분 포괄적인 범주의 향유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김두이·금현섭, 2018; 김옥희·민웅기, 2017; 정광호·최병구, 2007; 전승훈·김진, 2016; 남은영·최유정, 2008).

그에 비해 여성, 특히 이들의 ‘육아기’라는 특정 생애주기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먼저 여성의 문화예술향유에 대한 관찰은 여가 영역에서 진행된 논의에서 일부 찾아볼 수 있으나, 이마저 대부분 포괄적인 범주의 여성, 혹은 문화 소비 주체로서 여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장서연·김영국, 2014; 이영자, 1996; 정명실·송지호, 2011). 그에 반해 문화 소비 약자로서 여성, 즉 여성 집단 내에서의 문화향유 격차에 대한 논의는 소수에 불과하다(김홍설·이문진·황선환, 2015; 오미란, 2009).

그러나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다양한 생애과업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다. 특히 결혼과 임신, 출산에 따른 역할 비연속성(role discontinuity)이 강해 생애주기에 따른 생활 패턴의 차이가 크다(Kline, 2075). 따라서 이들의 문화예술향유 실천 방식에는 이들이 속한 생애주기적 특수성이 강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

특히 육아기는 문화향유불평등 문제에 있어 두 가지 관점에서 다른 집단과 구별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육아기 여성들은 문화향유에 대한 현실적인 제약이 심하다. 육아기 여성들은 육아 책임을 전적으로 여성에게 부담시키는 사회 통념상 개인적 여가 시간에 대해 많은 비용과 시간 갈등을 겪는다(차민경, 2018; 신경아, 1998;윤택림, 1995; 노영주, 2000; 황경아·홍지아, 2011). 실제로 육아를 전담하는 많은 여성이 여가를 선택함에 있어 시간 소모가 적고, 가사와 병행할 수 있는 소극적인 대안, 이른바 ‘스낵 컬처(snack culture)’에 집중되어 있다(손명준·최영환·최정웅, 2011; 차민경, 2018). 문화예술향유 역시 사회적 책무가 아닐 뿐 아니라 육아와 같이 사회적 요구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자원 배분의 우선순위를 차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육아와 여가를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지원 체제가 온전히 갖춰지지 않은 환경에서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이 둘을 병행하기 위한 대처 전략의 차이가 클 수밖에 없다.

또한 육아기 여성들은 자녀들의 생애 초기 문화 경험을 결정짓는 문화 전달자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띤다. 지속 이론(continuity theory)에 따르면, 초기 문화향유 경험은 개인의 문화향유 경력을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Roberts, 2006). 이는 문화향유가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학습되고 발달하는 사회화(socialization) 과정이며, 생애 후반의 여가는 생애 초반의 경험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윤소영, 2014; 김태주, 2002; Troll & Skaff, 1997). 특히 연구자들은 어렸을 때 경험하지 못한 활동은 이후에 새롭게 시작하기가 어렵고 신체적·정신적·사회적 환경이 변화해도 비슷한 향유 패턴이 이어진다는 점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로버슨(Roboson, 2003)은 코호트(cohort) 조사를 통해 어린 시절 도서관, 박물관 및 음악 활동 경험이 이후 생애에서의 문화 소비 전제조건이 되며, 심지어 높은 교육 수준과 소득으로 이어졌음을 제시했다(윤소영, 2004; 2011 재인용). 이를 종합해볼 때, 문화예술을 풍부하게 향유하는 양육자들로부터 다양한 문화 경험에 노출된 자녀들은 이후 생애에서도 풍부한 문화 경험을 쌓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나 문화향유가 결핍된 양육자를 둔 이들은 그러한 기회에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육아기 여성 간 문화예술향유 격차 문제는 단순히 특정 젠더의 문제이거나 문화 영역의 문제라기보다는 향후 세대의 사회적 격차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사회적 문제로 볼 필요가 있다.

3. 문화예술향유의 측정

문화예술향유 불평등 논의에 있어 어떠한 기준으로 문화예술향유의 수준을 파악할 것인지의 문제는 중요하다. 특히 옴니보어 담론에 있어 문화예술향유의 다양성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측정할지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김두이·금현섭, 2018; 박주연·신형덕, 2018; 김은미·이혜미·오수연, 2012; 박근영, 2014; Ward, Wright & Gayo-Cal, 2011).

먼저 문화예술향유의 수준을 나타내기 위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척도는 문화예술관람 의 양(quantity)과 가짓수(the number of type)다. 문화예술관람의 양은 개인이 향유하는 문화예술장르의 관람 빈도의 합을, 가짓수는 개인이 향유하는 문화예술장르 종류의 수를 의미한다. 문화예술관람의 빈도와 가짓수는 사실상 문화예술향유의 폭과 넓이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며 손쉬운 정보다. 그러나 이 지표들은 장르 간 질적 상대성, 즉 위계의 문제나 장르들 간의 양적 상대성, 즉 분포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보를 주지 않는다. 예를 들어 대중가요와 영화를 한 번씩 소비하는 사람과 오페라 공연과 영화를 한 번씩 보는 사람은 빈도나 가짓수에 있어서는 동일하지만, 소비하는 문화 장르들의 위계를 고려한다면 후자의 문화소비가 더 포괄적, 즉 다양한 위계를 넘나드는 향유라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중가요와 영화를 소비할지라도 이 두 장르를 비슷한 비중으로 향유하는 것과 거의 대부분 대중가요만 감상하며 어쩌다 한 번 영화를 관람하는 것은 같은 소비 행태로 묶기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문화예술향유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와 더불어 문화향유의 균등성(equality)과 혼종성(hybridity)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김두이·금현섭, 2018). 여기서 균등성이란 문화 장르가 양적 측면에서 얼마나 편중되지 않은가를 뜻한다. 또한 혼종성이란 향유하는 문화 장르가 얼마나 질적으로 섞여 있는지를 뜻한다. 문화에 있어 위계를 뚜렷이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선행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접근성, 인지적 수준, 문화 리터러시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대중예술과 순수예술, 혹은 대중예술과 고급예술의 분류를 사용했다(김두이·금현섭, 2018; 박주연·신형덕, 2018; 김은미·이혜미·오수연, 2012; Purhonen, Gronow, & Rahkonen. 2010).

연구자들은 문화예술향유 수준을 이해함에 있어 특정한 지표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기보다는 다양한 지표를 개발하고 비교함으로써 각 지표가 지닌 한계를 보완하고 있다(박주연·신형덕, 2018; 김두이·금현섭, 2018; 김은미·이혜미·오수연, 2012; 김은미·서새롬, 2012; Purhone, Gronow, & Rahkonen, 2010). 본 연구에서도 문화예술향유의 차원을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 균등성과 혼종성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육아기 여성들의 문화예술향유격차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자 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기 여성들의 문화예술향유불평등 문제에 있어 육아부담과 계층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육아부담이 문화예술관람(양·가짓수·균등성·혼종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육아부담이 가중되었을 때 각 계층요인(소득·학력·지역규모)이 문화예술관람(양·가짓수·균등성·혼종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것이다. 이를 연구 모형([그림 1])과 연구 가설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H1. 육아부담이 여성의 문화예술관람(양·가짓수·균등성·혼종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H2. 여성의 육아부담과 문화예술관람(양·가짓수·균등성·혼종성)의 관계에 대해 각 계층요인(소득·학력·지역규모)의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즉, 낮은 계층에 속한 여성은 육아부담이 가중될수록 문화예술관람이 감소하나, 높은 계층에 속한 여성은 육아부담이 증가해도 문화예술관람이 감소하지 않는다.

jcp-33-1-5-g1
그림 1. 연구 모형
Download Original Figure
2. 활용 자료 및 연구대상

본 연구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예술향유 실태 파악을 위해 1991년부터 격년으로 실시하는 문화향수실태조사 중 2016년에 조사된 자료를 활용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문화예술향수 실태를 파악하는 조사 가운데 가장 광범위한 조사로서 개인 수준에서의 문화예술 관람 횟수, 학력, 소득을 비롯해 성별, 연령, 동거원수, 미취학 자녀의 수 등 인구사회학적 정보를 알 수 있는 조사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조사는 국내에 거하는 만 15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다단계층화집락추출(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법으로 추출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면대면 설문 방식으로 진행한 것이다. 본 연구는 총 10,716개의 유효 응답 중 20세부터 45세 기혼 여성 총 1,352명의 응답을 추출했다. 이는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의 일반적인 연령을 고려한 것으로, 비교 집단을 위해 현재 미취학 자녀가 없는 이들까지 포함했다.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표 1. 분석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빈도(명) 퍼센트(%)
연령 20대 98 7.2
30대 754 55.8
40대 500 37.0
미취학 자녀수 없음 755 55.8
1명 405 30.0
2명 이상 192 14.2
지역규모 읍면지역 250 18.5
중소도시 519 38.4
대도시 583 43.1
최종 학력 무학 2 .1
초등학교 1 .1
중학교 9 .7
고등학교 495 36.6
대학교(2년제) 390 28.8
대학교(4년제) 431 31.9
대학원 석사과정 21 1.6
대학원 박사과정 3 .2
경제활동 여부 비경제활동 710 52.5
경제활동 642 47.5
경제활동 유형 관리·전문·사무직 226 35.4
서비스 및 판매직 359 56.2
노동직 54 8.5
비경제활동 유형 전업주부 707 96.6
학생 2 .3
기타 1 .1
가구 월소득 300만 원 미만 255 18.9
300만~400만 원 477 35.3
400만~500만 원 357 26.4
500만 원 이상 263 19.5
합계 1,352 100
Download Excel Table
3. 변수의 정의 및 측정
1) 종속변수

종속변수는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 균등성과 혼종성이다. 이들 변수는 모두 문화예술 활동에 대해 지난 1년 간 직접 관람 횟수를 묻는 9개 문항을 통해 구성한 것이다. 먼저 문화예술관람은 문학행사/미술전시회/서양음악/전통예술/연극/무용/뮤지컬/영화/대중음악연예 등 9개 장르에 대한 가중 빈도로 측정했다. 가중 빈도는 실제 관람 횟수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산출했으며, 가중치는 한 해 동안 전체 문화예술 시장에서 이루어진 실제 관람 횟수의 총합(7,953회)을 각 장르별 실제 관람 횟수로 나누어 산출했다. 가중 빈도를 사용한 이유는 각 장르의 시장 규모를 고려하여 특정 장르의 빈도가 과다, 혹은 과소 추정되지 않기 위해서다.

문화예술관람의 ‘양’은 가중 빈도의 개인별 총합을 산출하여 사용했다. 또한 이들 9개 장르 중 한 번 이상 관람한 적이 있을 경우 1로 처리한 뒤 관람한 모든 장르의 수를 더해 ‘가짓수’로 사용했다. ‘균등성’은 집중도(concentration)를 계산하는 지수인 허쉬만-허핀달 지수(Hirschman-Herfindahl index)를 통해 측정했다. 본 연구에서는 각 개인의 문화예술 장르의 전체 관람 양 대비 각 장르 관람 비율을 구한 뒤, 이를 각각 제곱하여 합산한 뒤 역수화했다. ‘혼종성’은 얼마나 폭넓은 위계의 장르를 관람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장르별 관람자의 학력구성비율을 토대로 문화예술장르를 고급, 중급, 하급으로 계층화한 뒤,3) 응답자별로 계층화된 장르 중 한 가지라도 경험했을 경우 1점을 주어 이를 합산했다. 관람자의 학력구성 비율값에 따른 문화예술장르 간 위계설정 방식은 퍼호넨(Purhone, Gronow, & Rahkonen, 2010)의 방식을 참조하여 해당 장르를 관람하는 이들 중 최고학력(석사 이상)/ 최저학력(고졸 이하)의 비율을 산출했다.4) 이때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 갈수록 대중, 중급, 고급 예술 장르로 구분했다.

표 2. 문화예술장르의 위계
문화예술장르 학력구성 비율(%) 위계
서양음악 19 고급 장르
문학행사 13
뮤지컬 13
미술 전시회 12
무용 석사 이상 학력자 없음5) 중급 장르
연극 8
영화 4 대중 장르
대중음악연예 3
전통예술 3
Download Excel Table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 균등성과 혼종성을 측정한 결과의 기초통계량은 <표 3>과 같다.

표 3. 문화예술관람지표
평균(SD) 최솟값 최댓값
양(N=1,352) 52.9(114.6) 0 2,410
가짓수(N=1,352) 1.7(1.21) 0 9
균등성(N=1,197)6) 1.4(.7) 1 6.2
혼종성(N=1,352) 1.3(.8) 0 3
Download Excel Table
2) 독립변수

독립변수인 육아부담은 미취학 자녀의 수를 통해 추정했다. 이는 어린 자녀일수록 부모의 집중적인 돌봄이 필요하므로 학령기 이전 연령대 자녀의 수가 증가할수록 시간과 비용, 그리고 양육 스트레스 등 심리적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이다(Mattingly, Bianchi, & Robinson, 2004; 임종호, 2014; 차삼숙·신유림, 2005).

3) 조절변수

조절변수에 해당하는 계층 요인은 소득, 학력, 지역규모를 통해 관찰했다. 소득은 문화예술을 향유하게 하는 실질적 가용 자원으로서 가구 월소득을 통해 관찰했다. 가구 월소득은 100만 원 단위의 범주형으로 조사된 것을 각 범주별 중앙값으로 대체했다. 이때 가구별로 가구원 수의 차이를 고려해 가구원 수의 제곱근을 나누어 소득을 균등화했으며, 일반적으로 왜도(skewness)가 심한 소득 분포를 고려해 자연 로그를 취해 사용했다.

학력은 취향을 내면화해 문화 소비에 핵심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DiMaggio & Mohr, 1985; Van Eijck, 2001; 이호영·장미혜, 2008) 무학/초/중/고/4년제 미만 대학/4년제 이상 대학/대학원-석사과정/대학원-박사과정 등 서열 변수로 측정된 최종 학력을 사용했다.

지역규모는 문화예술향유를 위한 인프라 및 접근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은 정보(Chan & Goldthorpe, 2007; Purhonen, Gronow & Rahkonen. 2010)로, 대도시/중소도시/읍면 도시로 분류된 지역규모 변인을 읍면 도시(0)에서 대도시(2)의 순서로 재코딩하여 사용했다.

4) 통제변수

그 밖에 문화예술관람과 연관관계가 있는 연령, 가구원 수, 경제 활동 여부, 청소년기 문화예술교육 여부를 측정했다. 연령은 만 나이를 사용했다. 또한 여성의 가사 노동 및 돌봄 시간에는 가구 내 구성원 수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므로 가구원 수를 측정했다. 경제 활동 여부는 소득과 여가 시간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정보로서, 현재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지(1)를 기준으로 측정했다. 그 밖에 문화 취향과 지식 축적에 긴밀하게 연동된 정보인 청소년기 문화예술교육경험 참여(1) 여부를 측정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변수의 측정과 기초 통계량을 <표 4>에 제시했다.

표 4. 주요 변인의 기초 통계량
구분 측정 평균(SD) 최소, 최대
독립변수 육아부담 미취학 자녀의 수의 합 .59(.76) 0, 5
조절변수 학력 1=무학, 8=대학원 박사과정 4.97(.91) 1, 8
소득 가구 월소득을 가구원수 제곱근으로 나누어 균등화 후 로그 취함 14.53(.34) 13.33, 15.82
지역규모 0=읍면 도시, 1=중소도시, 2=대도시 1.25(.75) 0, 2
통제변수 연령 응답자 만나이 37.6(4.93) 22, 45
가구원수 가구 구성원 수의 합 3.67(.82) 0, 8
청소년기문화예술교육 0=없음, 1=있음 .26(.44) 0, 1
경제활동 여부 0=없음, 1=있음 .47(.05) 0, 1
Download Excel Table
4. 분석 방법

연구 자료는 SPSS 19.0를 사용해 통계처리했으며,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이 통제된 조건에서 육아부담이 문화예술관람의 양, 가짓수, 균등성, 혼종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육아부담과 각 계층요인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했다. 모형 1에는 통제변수와 육아부담을 포함했으며, 모형 2는 이에 육아부담과 소득 간 상호작용항, 그리고 소득을 추가로 투입했다. 모형 3은 모형 1에 투입된 변수에 육아부담과 학력 간 상호작용항, 그리고 학력을 추가로 투입했다. 모형 4는 모형 1에 투입된 변수에 육아부담과 지역규모 간 상호작용항, 그리고 지역을 투입했다.

각 변인을 평균 중심화(mean-centering)했으며, 상호작용항의 유의성은 단측 검증으로 확인했다. 또한 상호작용항의 유의미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사후 분석으로 단순 기울기 검증(simple slope test; Aiken & West, 1991)과 존슨-네이만 기법(Johnson- Neyman technique)을 활용했다.

Ⅳ. 연구결과

1. 문화예술관람 양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의 조절효과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표 5>에 제시했다. 먼저 모형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육아부담은 문화예술관람의 양(B=–8.67, se=5.06, p<.05)과 부적 관계다. 이는 육아부담이 증가할수록 문화예술관람의 양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표 5. 문화예술관람 양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요인의 조절효과 분석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B se B se B se B se
(상수) 46.76 28.45 40.98 27.46 40.32 27.45 41.24 27.27
연령 .54 .78 −.71 .78 −.52 .78 −.59 .78
가구원수 6.22 4.27 8.96 4.48 6.26 4.29 6.76 4.28
청소년교육 15.06 7.14 14.11 7.15 14.07 7.18 15.58* 7.17
경제활동 10.28 6.42 21.51 10.53 10.24 6.42 10.23 6.46
육아부담(A) −8.67* 5.06 −7.32 5.13 −9.80* 5.12 −9.13* 5.07
소득(B) 21.51* 10.53
A*B 10.35 12.40
학력(C) 3.88 3.55
A*C 3.91 3.83
지역규모(D) .47 4.21
A*D 9.37* 5.07
R 2 .01 .01 .01 .01
F 2.35* 2.35* 2.01* 2.11*

N=1,352

p< .10,

* p< .05,

** p< .01,

*** p< .001(단측검정).

Download Excel Table

문화예술관람 양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 요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형 4에 제시한 바와 같이 육아부담과 지역규모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B=9.37, se=5.07, p<.05). 육아부담과 지역규모의 상호작용항의 유의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단순 기울기 검증으로 확인한 결과(Aiken & West, 1991), 큰 지역규모에 거주하는 집단(평균+1SD)은 육아부담과 문화예술관람 양의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작은 지역규모에 거주하는 집단(평균–1SD)은 육아부담이 증가할수록 문화예술관람의 양이 뚜렷하게 감소(B=9.37, se=4.24, p<.05)했다([그림 2]). 존슨-네이만 기법을 활용하여 유의성 영역(region of significance)을 확인한 결과, 지역규모는 1.15(하위 56.88%, 상위 43.12%) 이하인 지점에서부터 육아부담에 따라 문화예술관람 양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범위에서 감소했다. 그 밖의 계층 요인과 육아부담의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jcp-33-1-5-g2
그림 2. 문화예술관람 양에 대한 육아부담과 지역규모의 상호작용 도식화
Download Original Figure
2. 문화예술관람 가짓수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의 조절효과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표 6>에 제시했다. 먼저 모형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육아부담은 문화예술관람의 가짓수(B=−.11, se=.53, p<.05)와 부적 관계다. 이는 육아부담이 증가할수록 문화예술관람의 가짓수가 감소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표 6. 문화예술관람 가짓수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요인의 조절효과 분석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B se B se B se B se
(상수) 1.4*** .30 1.32*** .28 1.19*** .28 1.34*** .04
연령 .00 .01 .00 .01 .00 .01 .00 .01
가구원수 .02* .05 .10* .05 .04 .04 .03 .04
청소년교육 .45*** .08 .43*** .07 .42 .07 .47*** .07
경제활동 .10 .07 −.03 .07 .11 .07 .11*** .07
육아부담(A) −.11* .05 −.07 .05 −.15 .05 −.12* .05
소득(B) .65*** .11
A*B .30* .13
학력(C) .19*** .04
A*C .04 .04
지역규모(D) .07 .04
A*D .11* .06
R 2 .03 .06 .05 .04
F 9.18*** 12.46*** 10.41*** 7.47***

N=1,352

p<.10,

* p< .05,

** p< .01,

*** p< .001(단측검정).

Download Excel Table

문화예술관람 가짓수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 요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형 2와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육아부담과 소득의 상호작용(B=.30, se=.13, p<.05), 그리고 육아부담과 지역규모의 상호작용(B=.11, se=.06, p<.05)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먼저 육아부담과 소득간 상호작용항의 유의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단순 기울기 검증으로 확인한 결과, 소득이 높은 집단 (평균+1SD)은 육아부담과 문화예술관람 가짓수의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소득이 적은 집단(평균‒1SD)은 육아부담이 증가할수록 문화예술관람 가짓수가 뚜렷하게 감소(B=−.17, se=.07, p<.00)했다([그림 3]). 더불어 존슨-네이만 기법을 활용하여 유의성 영역을 확인한 결과, 가구 월소득이 1,817,794원(하위 40.83%, 상위 59.17%) 이하인 지점에서부터 육아부담에 따라 문화예술관람 가짓수가 뚜렷이 감소했다.

jcp-33-1-5-g3
그림 3. 문화예술관람 가짓수에 대한 육아부담과 소득의 상호작용 도식화
Download Original Figure

육아부담과 지역규모의 상호작용을 단순 기울기 검증으로 확인한 결과, 큰 규모의 지역에 사는 집단(평균+1SD)은 육아부담과 문화예술관람 가짓수의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작은 지역규모에 거주하는 집단(평균‒1SD)은 육아부담이 증가할수록 문화예술관람 가짓수가 뚜렷하게 감소(B=−.20, se=.07, p<.00)했다([그림 4]). 더불어 존슨-네이만 기법을 활용하여 유의성 영역을 확인한 결과, 지역규모가 1.36(하위 56.88%, 상위 43.12%) 이하인 지점에서부터 육아부담에 따라 문화예술관람 가짓수가 뚜렷이 감소했다.

jcp-33-1-5-g4
그림 4. 문화예술관람 가짓수에 대한 육아부담과 지역규모의 상호작용 도식화
Download Original Figure
3. 문화예술관람 균등성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의 조절효과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표 7>에 제시했다. 먼저 모형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육아부담은 문화예술관람 균등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p>.05).

표 7. 문화예술관람 균등성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요인의 조절효과 분석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B se B se B se B se
(상수) 1.41*** .177 1.37*** .17 1.30*** .17 1.40*** .17
연령 .00 .01 .00 .00 .00 .00 .00 .00
가구원수 .00 .03 .04 .03 .01 .03 .00 .03
청소년교육 .23*** .04 .22*** .04 .21*** .04 .23*** .04
경제활동 .06 .04 .00 .04 .06 .04 .06 .04
육아부담(A) −.02 .03 −.01 .03 −.04 .03 −.03 .03
소득(B) .31*** .07
A*B .11 .08
학력(C) .10*** .02
A*C −.03 .02
지역규모(D) .03 .03
A*D .06* .03
R 2 .02 .04 .04 .03
F 6.29*** 7.97*** 7.77*** 5.15***

N=1,197

p<.10,

* p< .05,

** p< .01,

*** p< .001(단측검정).

Download Excel Table

문화예술관람 균등성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 요인들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형 4에 제시한 바와 같이 육아부담과 지역규모의 상호작용(B=.06, se =.03, p<.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먼저 육아부담과 소득의 상호작용항의 유의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단순 기울기 검증으로 확인한 결과, 큰 지역규모에 거주하는 집단(평균+1SD)은 육아부담과 문화예술관람 균등성의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작은 지역규모에 거주하는 집단(평균‒1SD)은 육아부담이 증가할수록 문화예술관람 균등성이 뚜렷하게 감소(B=−.07, se=.04, p<.05)했다([그림 5]). 더불어 존슨-네이만 기법을 활용하여 유의성 영역을 확인한 결과, 지역규모가 .04(하위 18.05%, 상위 81.95%) 이하인 지점에서부터 육아부담에 따라 문화예술관람의 균등성이 뚜렷이 감소했다.

jcp-33-1-5-g5
그림 5. 문화예술관람 균등성에 대한 육아부담과 지역규모의 상호작용 도식화
Download Original Figure
4. 문화예술관람 혼종성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의 조절효과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표 8>에 제시했다. 먼저 모형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육아부담은 문화예술관람의 혼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p>.05).

표 8. 문화예술관람 혼종성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요인의 조절효과 분석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B se B se B se B se
(상수) 1.14*** .19 1.08*** .18 1.01*** .19 1.12 .19
연령 .00 .00 .00 .01 .00 .01 .00 .01
가구원수 .00 .03 .06 .03 .01 .03 .00 .03
청소년교육 .33*** .05 .31*** .05 .30*** .05 .34 .05
경제활동 .06 .04 −.03 .05 .07 .04 .08 .04
육아부담(A) −.05 .03 −.02 .03 −.07* .03 −.05 .03
소득(B) .49*** .07
A*B .14 .08
학력(C) .13*** .02
A*C −.03 .03
지역규모(D) .08 .03
A*D .06 .04
R 2 .04 .07 .06 .04
F 10.38*** 14.69*** 11.94*** 8.80

N= 1,352

p<.10,

* p< .05,

** p< .01,

*** p< .001(단측검정).

Download Excel Table

문화예술관람 혼종성에 대한 육아부담과 계층 요인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형 2와 모형 4에 제시한 바와 같이 육아부담과 소득의 상호작용(B=.06, se=.03, p=.06) 및 육아부담과 지역규모의 상호작용(B=.06, se=.04, p=.06)이 통계적으로 제한적인(marginal) 범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 외의 계층요인들은 육아부담과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범위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Ⅴ.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2016년 문화향수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해 여성의 문화예술향유에 있어 육아부담과 계층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특히 소득·학력·지역규모의 격차가 육아부담과 문화예술향유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관찰했다. 이때 문화예술향유는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 균등성과 혼종성을 통해 입체적으로 관찰했다.

먼저 육아부담은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를 뚜렷이 감소시켰다. 이는 육아기 여성들에 대한 문화예술향유 지원의 방향이 양적 차원뿐 아니라, 다양성을 확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문화예술관람 각 지표와 계층 요인을 분석한 결과, 모든 지표에서 계층 요인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먼저 지역규모는 육아부담과 문화예술관람의 양, 가짓수 및 균등성을 모두 조절했다. 즉, 대도시같이 큰 규모의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은 육아부담이 증가해도 문화예술관람 양과 다양성에 변화가 없으나, 중소도시 이하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들은 육아부담이 늘수록 문화예술관람 양이 감소하고 편식이 증가했다. 이는 육아기 여성의 문화향유 결핍과 편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향유를 위한 물리적 접근성의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뜻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상생활권에서 문화를 소비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과 더불어 지방 문화 시설과 지역 예술인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소득 역시 육아부담과 문화예술관람 가짓수의 관계를 조절했다. 즉, 소득이 낮은 여성 집단은 육아부담이 증가할수록 관람하는 문화예술장르의 가짓수가 현격히 감소한 반면, 소득이 높은 여성 집단에서는 육아부담과 문화예술관람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문화예술향유 장르의 가격 장벽을 낮춰 저비용으로 다양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뜻한다.

학력의 경우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다양성을 모두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학력이 취향을 내면화한다는 선행 연구와 일관된 결과가 나타났다(김두이·금현섭, 2018; 이호영·장미혜, 2008; DiMaggio & Mohr, 1985). 비록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에서는 육아부담과 학력 간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동질혼(homogamy)이 가속될수록 고학력 남편을 둔 고학력 여성들과 저학력 여성간의 육아 갈등과 문화예술향유 격차는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박현주·김경근, 2011; 노혜진, 2014). 실제로 고학력 남편일수록 성평등에 대한 인식이 높을 뿐 아니라, 자녀 돌봄에 투자하는 시간의 질이 높고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권혜진, 2010).

이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문화예술향유 불평등 문제에 있어 육아기 여성집단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문화예술향유 연구의 폭을 확장했다는 데 있다. 특히 이 연구는 육아부담이 가중될수록 사회경제적 계층, 특히 소득과 지역격차가 문화예술향유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킨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 또한 문화예술향유를 문화예술향유 관람의 양과 가짓수, 균등성과 혼종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향유 불평등에 대한 단편적 조망을 넘어 여성 내 문화향유 취약계층과 그 양상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더했다.

육아기 여성들의 문화예술향유의 격차가 사회경제적 지위의 격차를 뚜렷이 반영한다는 것은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육아와 문화예술향유를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이 미비함을 반증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으로는 단기적으로는 육아 친화적인 문화예술향유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7) 장기적으로는 육아부담을 여성의 책무로 규정하지 않는 사회적 인식의 전환, 즉 성평등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지속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자료를 활용한 것으로 문화예술향유 현상과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데 몇 가지 제약이 있었다. 먼저, 본 자료는 회상(recall)을 통해 예술 관람 횟수를 측정했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경험을 더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가계 동향 조사 및 재정 패널 조사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도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제약으로 육아 부담을 미취학 자녀의 수로 한정했으나, 육아 환경을 반영하는 다양한 변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유년기 및 청소년 시기 교육 및 노동 형태 등 육아기 여성의 문화예술향유 불평등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문화예술향유 불평등의 결과를 주요한 사회 문제와 결부시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저출산과 고령화로 대변되는 사회 재생산 위기는 가족 여가의 질 저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MacInnes, 2006). 향후 연구에서는 육아기 여성들의 문화예술향유가 가족과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주목한다면 본 연구의 의미를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향유를 측정함에 있어 문화예술관람의 양과 가짓수, 균등성과 혼종성을 사용했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정교화된 측정을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문화예술의 경계가 다양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문화예술향유 다양성을 어떠한 기준으로 살펴볼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더 심도 있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우리나라 사회 구성원들의 문화예술향유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질 수 있을 것이다.

Footnotes

*이 연구는 아모레퍼시픽재단의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This research has been supported by the AMOREPACIFIC Foundation.

1) 2017년 기준 인터파크에서 구매한 전체 예매자(164,822명) 중 여성의 비율은 71%로 2016년(69%)에 비 해 증가했다(‘30대 여성, 뮤지컬 보러 간다… 2017 공연시장 결산’, 헤럴드경제, 2018. 1. 17)). 또한 CGV 리서치센터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개봉한 청소년 관람불가 누아르 액션 영화 9편을 분석한 결과, 20 대와 30대 여성 비율이 47%에 이른다(‘아수라’ 남자 영화인 줄 알았더니 여자 영화였네’, 한국일보, 2016. 10. 5), 인터파크 예매 결과에 따르면 국내 양대 록페스티벌인 펜타포트의 2017년 여성 예매율은 2015년 에 57%였던 것에 비해 71.7%로 급증했고, 지산 벨리 역시 54%에서 67%로 증가했다(‘거친 남심에서 말 랑말랑한 여심으로… ‘록페’는 변신중’, 조선일보, 2017. 7. 27).

2)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 이후 후속 연구 담론의 흐름에 대해서는 김수정․최샛별(2018) 참고.

3) 문화예술향유에 있어 장르 간 위계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많지만 예술성이나 접근성 등 예술 장르 간 난이도의 차이는 사실상 인정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고급 장 르, 중급 장르, 대중 장르라는 분류 명칭은 선행 연구들의 분류체계를 따른 것일 뿐 장르의 질(質)적 차이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님을 다시 한 번 밝힌다.

4) 선행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최저 학력의 기준을 초등학교 졸업자 이하로 정의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효 샘플수를 고려하여 고등학교 졸업 이하까지 최저 학력의 범주로 포함했다.

5) 무용의 경우 석사 이상의 학력을 지닌 경험자가 존재하지 않아 동일한 자료를 활용한 선행 연구의 결과(김두이·금현섭, 2018)를 참조했다. 그 밖에 모든 장르의 위계 서열은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했다.

6) 균등성은 문화향유를 전혀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155명(11.5%)의 결과를 제외한 나머지 응답자, 즉 한 번이라도 문화향유 경험이 있는 이들(N=1,197)을 대상으로 추산한 값이다.

7) 유아 동반 콘서트(부산광역시 ‘클래식 감상하세요’(2017. 7. 28), ‘아가랑콘서트’(2018. 9. 13), 영화(‘아이 울어도 괜찮아요…영유아 동반 극장’(2013. 3. 26) 등의 등장은 육아 친화적 문화예술향유 환경 조성의 쉬 운 예일 것이다.

참고문헌

1.

권혜진(2010), 영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버지 역할만족도와 역할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0권 4호, 87-106.

2.

김두이·금현섭(2018), 문화예술향유의 다양성 측면에 대한 분석, 「문화정책논총」, 32권 2호, 115-143.

3.

김수정·최샛별(2018), 부르디외의 지적 전통이 한국 문화정책에 갖는 함의, 「문화정책논총」, 32권 2호, 33-55.

4.

김옥희·민웅기(2017), 여성 여가문화의 새로운 사회적 쟁점에 대한 계급론적 소고, 「문화교류연구」, 6권 2호, 87-107.

5.

김은미·서새롬(2011), 한국인의 문화 소비의 양과 폭, 「한국언론학보」, 55권 5호, 205-233.

6.

김은미·이혜미·오수연(2012), 문화소비 행위로서 텔레비전을 본다는 것에 관하여, 「한국방송학보」, 26권 3호, 135-175.

7.

김현지·이철원·임진선(2012), 도시여성근로자의 여가동기, 여가만족 및 여가제약협상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0권 1호, 505-516.

8.

김태주(2002), 지속이론(continuity)에 대한 고찰, 「대구산업정보대학 논문집」, 16권, 307-314.

9.

김홍설·이문진·황선환(2015), 직장여성의 결혼에 따른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권 1호, 242-251.

10.

남은영(2010), 한국 중산층의 소비문화, 「한국사회학」, 44권 4호, 126-161.

11.

남은영·최유정(2008),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 격차: 여가 유형과 여가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1권 3호, 57-84.

12.

노영주(2000), 초기 모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권 3호, 71-83.

13.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6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14.

노혜진(2014), 부모의 교육적 동질혼에 따른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 「사회복지정책」, 41권 4호, 181-200.

15.

박근영(2014), 영화관람 행위에 있어 옴니보어(Omnivore) 존재 여부에 대한 실증적 고찰, 「문화와 사회」, 16권, 143-185.

16.

박주연·신형덕(2018), 문화자본론과 옴니보어 이론의 실증적 비교, 「문화정책논총」, 32권 2호, 57-86.

17.

박용치(2003), 문화격차와 문화산업의 육성, 「법률행정논집」, 12-147.

18.

박현준(2011), 한국 사회의 교육적 동질혼, 「교육사회학연구」, 21권, 51-76.

19.

변금선·허용창(2014), 보육료 지원 확대가 여성의 생활시간 배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66권 2호, 101-125.

20.

손명준·최영환·최정웅(2011), 노동가능여성의 여가활동에 따른 행복도 결정요인,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6권 1호, 567-581.

21.

신경아(1998), 한국 여성의 모성 갈등과 재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6권, 321-326.

22.

양정혜(2007), 여성 여가활동의 실태와 정책적 함의, 「한국사회과학연구」, 26권 1호, 345-362.

23.

양현미(2007), 문화의 사회적 가치- 행복연구의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4.

양혜원(2012), 문화복지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추정과 정책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5.

양혜원(2014), 문화 가치의 사회적 확산을 위한 협력과제 발굴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6.

윤택림(1996), 생활문화속의 일상성의 의미, 「한국여성학」, 12권 2호, 79-117.

27.

윤소영(2004), 영유아기 체험적 놀이교육을 통한 여가경력 확대 방안, 「육아정책 포럼」 40호, 38-47.

28.

윤소영(2011), 100세 시대 대비 여가 및 문화 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9.

이영자(1996), 소비사회와 여성문화, 「한국여성학」, 12권 2호, 43-77.

30.

이호영·장미혜(2008), 문화자본과 영화선호의 다양성, 「한국사회학」, 42권 1호, 62-95.

31.

임종호(2014), 미취학자녀를 둔 여성 임금근로자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권 5호, 132-143.

32.

장서연·김영국(2014), 자아일치성 이론을 적용한 20, 30대 여성의 공연문화 소비에 대한 이해, 「문화정책논총」, 28권 1호, 177-195.

33.

정광호·최병구(2007), 문화격차 분석과 문화바우처 정책설계, 「지방정부연구」, 10권 4호, 63-89.

34.

전승훈·김진(2016), 가계 문화소비지출의 불평등 분석, 「 문화경제연구, 19권 3호, 3-28.

35.

조미라(2016), 여가시간 불평등 연구, 「한국인구학」, 39권 1호, 29-57.

36.

조미라·윤수경(2014), 한국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연구-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44권, 5-30.

37.

차민경(2018), 현대 한국 여성의 여가문화에 대한 담론 변화 연구, 「문화경제연구」, 21권 2호, 197-229.

38.

차삼숙·신유림(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집」, 25권 1호, 163-181.

39.

황경아·홍지아(2011), TV 매체에 재현된 한국사회의 모성실천, 「미디어, 젠더 & 문화」, 19호, 213-252.

40.

Aiken, L. S., West, S. G., and Reno, R. R.(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41.

Bourdieu, P.(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2.

Chan, T. W., and Goldthorpe, J. H.(2007), Class and status: The conceptual distinction and its empirical releva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2(4), 512-532.

43.

DiMaggio, P., and Mohr, J.(1985),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ital selec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0(6), 1231-1261.

44.

Hayes, A. F.(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Guilford.

45.

Kline, C.(1975),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women: Implications for a theory of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15(6), 486-492.

46.

MacInnes, J.(2006), Work–life balance in Europe: A response to the baby bust or reward for the baby boomers?, European Societies, 8(2), 223-249.

47.

Milkie, M. A., Mattingly, M. J., Nomaguchi, K. M., Bianchi, S. M., and Robinson, J. P.(2004). The time squeeze: Parental statuses and feelings about time with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3), 739-761.

48.

Troll, L. E., and Skaff, M. M.(1997), Perceived continuity of self in very old age, Psychology and Aging, 12(1), 162.

49.

Peterson, R. A., and Kern, R. M.(1996), Changing hibrow taste: From snob to omnivor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1(5), 900-907.

50.

Purhonen, S., Gronow, J., and Rahkonen, K.(2010), Nordic democracy of taste? Cultural omnivorousness in musical and literary taste preferences in Finland, Poetics, 38(3), 266-298.

51.

Roberts, K.(2006), Work and leisure in young people’s lives. In Work, leisure and well-being, 157-176, Routledge.

52.

Sintas, J. L., and Alvarez, E. G.(2002), Omnivores show up again: The segmentation of cultural consumers in Spanish social space,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8(3), 353-368.

53.

Throsby, D.(1994),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arts: A view of cultural economics,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2(1), 1-29.

54.

Towse, R.(2006). Copyright and artists: A view from cultural economics, Journal of Economic Surveys, 20(4), 567-585.

55.

Van Eijck, K.(1999), Socialization, education, and lifestyle: How social mobility increases the cultural heterogeneity of status groups, Poetics, 309-328.

56.

Van Eijck, K.(2001), Social differentiation in musical taste patterns, Social Forces, 79(3), 1163-1185.

57.

Van Rees, K., Vermunt, J., and Verboord, M.(1999), Cultural classifications under discussion latent class analysis of highbrow and lowbrow reading, Poetics, 26, 349-365.

58.

Warde, A., Wright, D., and Gayo-Cal, M.(2007), Understanding cultural omnivorousness: Or, the myth of the cultural omnivore, Cultural Sociology, 1(2), 143-164.

59.

거친 男心에서 말랑말랑 女心으로… ‘록페’는 변신 중, (2017. 7. 27) 「조선닷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26/2017072603500.html

60.

30대 여성, 뮤지콜 보러 간다… 2017 공연시장 결산’(2018. 1. 17), 「헤럴드경제」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80117000867

61.

‘아수라’ 남자영화인 줄 알았더니 여자 영화였네(2016. 10. 5),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610051875539247

62.

부산광역시, 아기 울어도 괜찮아요, 맘 편히 클래식 감상하세요(2017. 7. 28), http://news.busan.go.kr/totalnews01/view?dataNo=58833

63.

SBS 뉴스, “아이 울어도 괜찮아요” … 영유아 동반 극장(2013. 3. 26),

64.

대구광역시북구어울아트센터, 아가랑 콘서트: 어아둥둥 첫 우리소리(2018. 9. 13), http://www.mcst.go.kr/web/s_culture/culture/cultureView.jsp?pSeq=26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