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문화정책논총은 1988년 창간되어 올해로 30년이 되었으며, 문화정책의 품질향상, 연구방법론 개발, 학제적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정책논총은 국내 유일한 문화정책 분야 논문집으로서의 자긍심과 함께 미래 문화정책의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인문학, 경제학, 행정학, 법률, 도시계획, 건축, 조경 등의 학제간 연구의 성과를 정책적으로 구체화시키고 문화콘텐츠의 개발 및 창의성 함양 등을 통해 해당 분야의 연구성과들이 정책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학문적 실용성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About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문화정책논총」은 국내 유일의 문화정책분야 학술지입니다. 「문화정책논총」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제간 연구를 통해 문화정책의 현장과 학문세계 사이의 가교 역할을 도모하는 정책연구 전문 학술지입니다. 문화정책과 문화정책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연구 성과를 「문화정책논총」에 적극 투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Intergenerational Humanities Mentoring Program: Focusing on Participant Experiences of the Life Sharing Classroom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세대 간 인문멘토링 사업의 현황과 과제: 수도권 인생나눔교실 참여자 경험을 중심으로
세대 간 인문멘토링 사업의 현황과 과제: 수도권 인생나눔교실 참여자 경험을 중심으로
J. Cult. Policy 2025;39(2):79-110.
https://doi.org/10.16937/jcp.2025.39.2.7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16937/jcp.2025.39.2.79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Korean Sign Language in Relation to Law and Policy: A Cultural Policy Perspective
한국 수어 관련 법률과 정책에 따른 연구 동향의 비판적 고찰 : 문화정책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 수어 관련 법률과 정책에 따른 연구 동향의 비판적 고찰 : 문화정책적 접근을 중심으로
J. Cult. Policy 2025;39(2):197-228.
https://doi.org/10.16937/jcp.2025.39.2.19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16937/jcp.2025.39.2.197
A Study on Nation Branding Communication Strategies Based on Foreigners’Cultural Consumption Patterns
외국인들의 정보 소비패턴에 기반한 국가브랜딩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외국인들의 정보 소비패턴에 기반한 국가브랜딩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J. Cult. Policy 2025;39(2):141-168.
https://doi.org/10.16937/jcp.2025.39.2.14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16937/jcp.2025.39.2.141
Exploratory Research on Achievement and Limitation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and Experts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고찰: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심층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고찰: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심층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J. Cult. Policy 2024;38(1):5-32.
https://doi.org/10.16937/jcp.2024.38.1.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16937/jcp.2024.38.1.5

Th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on Industrial Structure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 Case of Cultural Industry in South Korea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의 성장과정에서 정부지원의 영향 : 산업구조와 기업성과를 중심으로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의 성장과정에서 정부지원의 영향 : 산업구조와 기업성과를 중심으로
J. Cult. Policy 2023;37(1):181-210.
https://doi.org/10.16937/jcp.2023.37.1.18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16937/jcp.2023.37.1.181

Cultural Politics and National Role as Seen through Soft Power: Analyses of the US, the UK, France, and Germany
소프트파워 관점에서의 문화정치와 국가역할: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사례분석
소프트파워 관점에서의 문화정치와 국가역할: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사례분석
J. Cult. Policy 2021;35(1):163-191.
https://doi.org/10.16937/jcp.2021.35.1.16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16937/jcp.2021.35.1.163